호에이 대지진

 

1707년 호에이 대지진
[image]
호에이 대지진 당시 일본 각지의 추정 최대진도(사후분석).
발생일시
1707년 10월 28일 오후 2시경
진앙
일본 와카야마현 남쪽 해역
규모
'''ML 8.4-8.6, Mw 8.7-9.3'''
최대진도
일본 기준 진도 '''7'''[1]: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오사카시, 고치현
쓰나미
최고 25.70m
피해
사망자
5,000~20,000
이재민
불명
재산피해
가옥 29,000여 채 파괴
기타 주석
49일 뒤 후지산 대분화 발생
1. 개요
2. 이전의 타임라인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707년 호에이 대지진'''은 난카이 트로프에서 발생한 사상 최악의 지진 중 하나로, 규모는 '''M 8.6-9.3'''에 육박한다.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셋 다 연동하여 발생해, '''난카이 트로프의 모든 단층이 다 파열'''되게 한 유일한 지진이다.[2]
지난 2011년 3월 11일 전까지만 해도 일본 학계에서는 호에이 대지진(M 8.6)이 일본 역사상 가장 최악의 지진이라 보았다. 그러나 3월 11일 도호쿠 대지진이 터져서 옛말이 되고 말았다. 참고로 도호쿠 대지진의 규모는 M 9.1.
지진은 1707년 10월 28일 오후 2시에 발생했다. 도쿄대 츠지 요시노부 교수 및 나메가야 유이치 교수는 오사카부 가와치국에서 진도 '''7'''짜리 진동이 일어났으리라 추정했다. 이 지진으로 가옥 2만 9천여 채가 파괴되었고, 시즈오카현에서는 대형 산사태가 발생해서 '''1억 2천만 m3''' 부피에 달하는 토사가 쏟아져 1.8 km2에 달하는 면적이 파묻혔다. 거기에다가 나라현에서는 토양액상화까지 발생하는 등, 당시로서는 전대미문의 재앙이었다.
쓰나미 역시 발생해서 고치 현 남서쪽 해안에서는 평균 7.7~10 m짜리 파도가 덮쳤다. 고치현 나카토사정에는 25.70 m 높이의 쓰나미가 덮쳤고, 타네자키정에는 23 m 높이 쓰나미가 지역을 초토화시켰다.
이 지진으로 후지산이 영향을 받아 49일 뒤에 '''호에이 대분화'''가 1707년 12월 16일부터 1708년 1월 초까지 발생 및 계속되었다. 후지산은 이후로는 분화활동을 보이지 않는다.

2. 이전의 타임라인


발생일자
추정최대진도
추정규모
발생지
사망자
비고
출처
1643. 7. 24.
'''VIII~X'''
'''M6.5~7.4'''
울산광역시 인근 해안
불명
쓰나미 발생
조선왕조실록
한국기상기록집
NOAA
1668. 7. 25.
'''XII'''
'''M8.5'''
중국 산둥성
사망자 42,758명
'''진도 XII'''
NOAA
1668. 7. 31.
'''VI'''
'''M6.4'''
황해
불명

김소구 교수 논문[A]
1681. 6. 12.
'''VIII'''
'''M6.5'''
강원도 양양군 인근 해안
불명

한국기상기록집
KMA 지진연구소 논문[B]
1681. 6. 26.
'''VIII~IX'''
'''M7.5'''
강원도 양양군 인근 해안
불명
쓰나미 발생
KMA, NGDC
1703. 12. 31.
'''7'''
'''M8.2'''
일본 보소 반도 남서쪽 바다
사망자 5,233명
쓰나미 발생
최대높이 10.50m
NOAA
1707. 10. 28.
'''7'''
'''M8.6~9.3'''
일본 난카이 해역
사망자 5,000여 명
쓰나미 발생
최대높이 '''25.70m'''
NOAA
※1668년 4월과 1702년에는 백두산이 분화하였다.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1] '''진도 7 분류는 1949년에 신설되었다. 따라서 호에이 대지진이 발생한 1707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진이 일어난 지 300여년이 지나 사후해석을 한 경우이므로 편의상 진도 7로 기록한다.[2] 난카이 트로프 거대단층대는 A, B(이상 난카이), C, D(이상 도난카이), E(도카이) 등 총 5가지 세그먼트로 구분한다. 그런데 이 지진 한 방으로 A, B, C, D, E가 전부 파열되었다.[A] 김소구, 1982년, '한반도와 그 인접지역의 지진'[B] 2002년, '1681년 6월 12일, 17일, 그리고 26일 양양-삼척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기록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