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버스 15-1

 


용남고속 운행 당시.
현재.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15-1번
기점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수원서부공영차고지)
종점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동탄2차고지)
종점행
첫차
04:40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2:40
막차
23:10
평일배차
출퇴근 25분/평시 60~80분
주말배차
60~80분
운수사명
제부여객
인가대수
9대
노선
수원서부공영차고지 - 능실마을20단지 - 능실초교 - 호매실마을12단지 - 칠보쌍용아파트 - 호반.일신건영[단독] - 홈플러스서수원점 - 금곡강남아파트 - 칠보입구 - 구운중 - 농촌진흥청 - 수원역 - 이춘택병원 - 성빈센트병원 - 법원사거리 - 태평양화학[단독] - 삼성디지털시티[단독] - 망포역3번출구.망포그대가프리미어.골든스퀘어 - 망포중학교 - 반월리큰고개 - 삼성반도체후문 - 한림대병원 (중) - 예당고사거리 - 한미약품 - 센트럴상록 - 이지더원 - 반도4차 - 신안1차 - 호반5차 - 창의고 - 금강팬테리움2차 - 정현초.청림중 - 동탄호수공원 - 동탄2차고지

2. 개요


제부여객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수원시 수원 호매실지구화성동탄2신도시를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9년에 15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당시엔 매탄4지구와 효원고, 수원시청을 경유하는 점만 빼면 15번과 동일한 노선이었다.
  • 2010년 2월 4일에 '다은마을 - 메타폴리스 - 한빛마을' 구간이 '동탄고 → 동탄파라곤 → 나루고 → 반송중 → 쌍용예가 → 동탄고'로 변경되었다.
  • 2012년 3월 21일에 기종점이 서로 바뀌었다.
  • 입북동 푸르지오아파트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15번이 다니던 삼성로를 대체하기 위해 2014년 3월 5일에 동탄신도시 구간이 단축되고 영통회차장으로 단축되었다.
  • 2014년 4월 18일에 팔달문 왕복이 사라졌다.
  • 2014년 5월에 능실마을15단지에서 서부차고지로 연장되었고, 산남중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4년 6월 10일부터 영통회차장으로 가지 않고 '신영통 - 한림대병원.동탄이마트' 구간이 연장되어 다시 동탄신도시로 들어가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 2015년 2월 10일에 동탄2신도시(한림대병원 - 예당고사거리 - 한미약품 → 동탄4동주민센터 → 경남.반도1차 → 우남퍼스트빌 → GS자이 → 한미약품)로 연장되었고, 2대가 증차되었다.
  • 2017년 6월 21일에 동탄2신도시 회차구간(한미약품 → 동탄4동주민센터 → 경남.반도1차 → 우남퍼스트빌 → GS자이 → 한미약품)이 '한미약품 → 동탄4동주민센터 → 예솔초교 → 호반5차.힐스테이트 → 신리입구 → 호반3차 → 반도3차 → 공공청사부지 → 한화꿈에그린 → 동탄역 → 우남퍼스트빌 → 한미약품'으로 연장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7년 10월 25일부터 능실마을15단지로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같은 날에 '호매실마을12단지 - LG빌리지1~3차 - 홈플러스서수원점' 구간이 '호매실마을12단지 - 칠보쌍용아파트 - 홈플러스서수원점'으로, '법원사거리 - 동남빌라.삼성2차아파트 - 원천삼성아파트 - 삼성디지털시티' 구간이 '법원사거리 - 태평양화학 - 삼성디지털시티'로 바뀌었다. 지금까지 금곡동 안쪽으로 돌면서 LG빌리지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은 없었는데 이 노선이 최초로 이것을 깨게 되었다.
이때부터 15-1번은 금곡동 강남아파트 일대 호매실고등학교 학생의 꽃, 알파이자 오메가가 된다.[1][2]
  • 호반베르디움 앞에 안 쓰는 정류장이 있었는데, 호반베르디움.일신건영아파트라는 이름이 붙어 2017년 2월 현재 정차중이다. 그리고, '매탄2동주민센터 - 동남빌라 - 산남중' 구간은 15-1번의 단독 구간이었는데, 이 변경으로 인해 더 이상 노선버스가 다니지 않게 되었다가 18번이 노선변경되면서 다시 운행 중이다.
  • 2020년 1월 3일에 동탄2신도시 편도구간 중 '한미약품 - 센트럴상록 - 이지더원 - 반도4차 - 신안1차 - 호반5차 - 창의고' 구간이 양 방향 운행으로 바뀌었고, '호반3차 → 리베라CC → 동탄역 → 센트럴상록' 구간이 '호반3차 - 금강팬테리움2차 - 정현초.청림중 - 동탄호수공원 - 동탄2차고지'로 변경, 연장되었다. 관련 게시물[3]
  • 2020년 3월 10일에 운행 업체가 용남고속에서 제부여객으로 이관되었다.

4. 특징


  • 수요는 비교적 많은 편이나, 배차가 좋지 못하다. 공식 배차간격은 35분이나, 실제로는 50분에 한 대가 올까말까하다. 심지어 1시간 넘게 오는 경우도 있다. 코로나 이후로 운행댓수가 줄은건 덤.
  • 금곡강남아파트에서는 양 방향 차량이 모두 정차하니 주의. 과거엔 능실마을15단지에서도 그랬으나 현재는 들어가지 않는다.
  • 삼성로를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게다가 삼성로 독점은 덤.
  • 모든 차량이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이루어져 있다. 용남고속이 운행할 당시 2015년 11월 51번에서 넘어온 NEW BS106 차량이 1대 투입했으나 예비차량으로 격하되었다가 새천안교통으로 매각되었다.
  • 제부여객 노선 최초로 금곡동을 경유한다.

5. 연계 철도역



[단독] A B C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1] 농담 아니다. 배차가 짧은 13, 9, 62-1번은 호매실고등학교보다 훨씬 윗쪽(신미주 아파트)을 지나가는데다가, 효율이 꽝이다.(금곡동 삼익3차~신미주까지 도보 15분이다. 근데 13, 9, 62-1번 버스는 상술했듯 지독하게 금곡동 호매실동을 도는지라 삼익3차~신미주까지 도보와 같은 15분이다.) 13-1번은 삼익3차 아파트에 한 번 정차하고나면 칠보입구에 한 번 정차하고 유유히 금곡동을 떠난다. 13, 9, 62-1번이 지나간 곳에는 버스가 아예 없다. 13-5번 버스, 11-1번 버스는 LG빌리지를 돌긴 하지만, 강남아파트는 커녕 홈플러스쪽을 경유하지 않고 당수동으로 빠진다. 강남아파트와 호매실고등학교를 이어주던 버스들중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편이던 18번은 배차간격을 줄인답시고 금곡동, 호매실동에서 완전히 손을 떼어버렸고, 다른 노선으로 99번은 여타 다른 노선들에 비해 덜 돌긴 하지만 아주 미묘한 차이인데다가 배차간격이 짧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배차간격이 좀 만만한 13-4번을 타자니 단지에서 꽤나 떨어진 홈플러스에서 버스를 타야하는 불상사가 일어난다. 게다가 수원역을 가는 금곡동 강남아파트 시민들 역시 15-1번을 애용하는데, 전혀 돌지 않고 수원역에 가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62-1, 99번 버스는 수원역 근처를 떠보지도 않으며, 13, 9번 버스는 금곡동과 호매실동을 지독하게 돈다. 13-1번은 금곡동, 호매실동을 돌지 않고 나가지만, 서둔동을 돌기 때문에 많이 애매하다.[2] 다만 배차가 발목을 붙잡는다. 15-1번 버스가 떠나는것을 목격했을때 다음 15-1번을 기다린다면 그게 바보짓인지라 채념한체 99번 버스가 언제오나 확인좀 하고 홈플러스를 향해 걸어가는게 금곡동 강남아파트 인근 호매실고등학교 학생들의 일상이다.[3] 같은 날 순환방향만 달랐던 51번도 변경되었으며, 15-1번은 편도구간의 동쪽(예솔초 구간), 51번은 서쪽(동탄역 구간)으로 나뉘어 전담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