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헤롱
일본어 츤데레를 순 우리말로 번역하려는 시도에서 제시된 단어 중 하나. 첫 사용은 반재원의 스트레이.
'흥!'하고 싫어하지만 사실은 '헤롱헤롱'거리며 좋아한다는 뜻이다. 우리말에 '내숭'이나 '새침데기'가 있는데, 이런 단어가 굳이 사용된 이유는 어감상의 문제인듯. 츤데레의 어원 자체가 츤 + 데레의 합성어이며, 또한 의성어/의태어이기도 하므로 원문에서 그런 요소를 강조해서 말장난을 하는 경우, 내숭, 새침데기 등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 내숭 떤다는 표현은 단지 츤데레의 경우에만 쓰이는 게 아니라[1] 훨씬 사용 폭이 넓다는 점도 있고.
일본 덕후계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유행어를 특정인이 한국식으로 무리하게 바꾼 것이다보니 어지간해서는 단어 자체에서 느껴지는 아스트랄함을 감당하기 어렵다. 다만 원어인 츤데레도 초창기에는 흥헤롱과 별 다를바가 없었다. 원래 아스트랄했던 단어가 너무 자주 쓰이면서 정상인 것처럼(?) 들리는 것. 창시자(?)인 반재원은 이후에도 계속 이 조어를 밀어붙이고 있지만, 독자들을 포함 오덕계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못해 싸늘하다. 이 바닥에서도 쓰는 사람이 극히 적은 편이다. 누군가가 네이버 오픈 국어사전에 등재시키면서까지 이 말이 널리쓰이길 바라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고 사실상 억지 밈에 가까웠으며 '''결국 흥헤롱이란 표현 역시 새침부끄와 함께 사실상 사장되었다.'''
류세린의 라이트노벨 당신과 나의 어사일럼에 한 번 등장했다. 정확히는 한유진이 은사자 백작에게 시이를 걱정하냐고 묻자 은사자 백작 왈: 누가 보면 제가 흥헤롱인 줄 알겠네요.
동 레이블인 시드노벨의 개와 공주의 히로인 돈가스(개와 공주)가 무리수 두지 말라고 깠다(...) 어차피 알 사람은 다 아니까 원어 쓰자고...
그러나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 츤데레라는 단어와 개념이 오덕계를 넘어 일반 대중에게 퍼지고, 츤데레라는 원어 그대로 사용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느는 건 물론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에 츤데레가 등재까지 되면서 현재의 한국에서 흥헤롱이라는 번역어는 현재는 사실상 사장된 상황이다.
'흥!'하고 싫어하지만 사실은 '헤롱헤롱'거리며 좋아한다는 뜻이다. 우리말에 '내숭'이나 '새침데기'가 있는데, 이런 단어가 굳이 사용된 이유는 어감상의 문제인듯. 츤데레의 어원 자체가 츤 + 데레의 합성어이며, 또한 의성어/의태어이기도 하므로 원문에서 그런 요소를 강조해서 말장난을 하는 경우, 내숭, 새침데기 등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 내숭 떤다는 표현은 단지 츤데레의 경우에만 쓰이는 게 아니라[1] 훨씬 사용 폭이 넓다는 점도 있고.
일본 덕후계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유행어를 특정인이 한국식으로 무리하게 바꾼 것이다보니 어지간해서는 단어 자체에서 느껴지는 아스트랄함을 감당하기 어렵다. 다만 원어인 츤데레도 초창기에는 흥헤롱과 별 다를바가 없었다. 원래 아스트랄했던 단어가 너무 자주 쓰이면서 정상인 것처럼(?) 들리는 것. 창시자(?)인 반재원은 이후에도 계속 이 조어를 밀어붙이고 있지만, 독자들을 포함 오덕계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못해 싸늘하다. 이 바닥에서도 쓰는 사람이 극히 적은 편이다. 누군가가 네이버 오픈 국어사전에 등재시키면서까지 이 말이 널리쓰이길 바라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고 사실상 억지 밈에 가까웠으며 '''결국 흥헤롱이란 표현 역시 새침부끄와 함께 사실상 사장되었다.'''
류세린의 라이트노벨 당신과 나의 어사일럼에 한 번 등장했다. 정확히는 한유진이 은사자 백작에게 시이를 걱정하냐고 묻자 은사자 백작 왈: 누가 보면 제가 흥헤롱인 줄 알겠네요.
동 레이블인 시드노벨의 개와 공주의 히로인 돈가스(개와 공주)가 무리수 두지 말라고 깠다(...) 어차피 알 사람은 다 아니까 원어 쓰자고...
그러나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 츤데레라는 단어와 개념이 오덕계를 넘어 일반 대중에게 퍼지고, 츤데레라는 원어 그대로 사용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느는 건 물론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에 츤데레가 등재까지 되면서 현재의 한국에서 흥헤롱이라는 번역어는 현재는 사실상 사장된 상황이다.
[1] 굳이 '내숭'에 해당하는 일본어 단어를 찾는다면 츤데레가 아니라 '猫かぶり'쪽이다. 그리고 내숭에는 사실 '츤'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