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tous

 


[image]
1. 개요
2. 클리어 시 나오는 대사들
3. 해설


1. 개요


오스틴 브리드(Austin Breed)라는 유저가 제작한 플래시 게임.
흔히 국내에서 이 게임의 이름이 키메라 증후군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 배니싱 트윈 현상을 주제로 한 게임이다. 죽어서 살아남은 쌍둥이의 몸 속에 잠들어 있던 세포가 갑자기 되살아나 형제의 몸을 먹어치워 육체를 완성한 뒤 안에서부터 몸을 뚫고 태어나는 게 목적인 게임이다. 처음엔 도트 하나 크기의 세포 단위 에서 시작하며 진행될수록 점점 더 커지고, 먹을 것도 점점 더 커진다. 한마디로 죽은 쌍둥이 형제의 복수극(?). 스테이지 하나를 클리어할 때마다 대사(세포의 독백)가 나오며, 숙주의 표정도 웃는 얼굴에서 점점 기분 나빠하는 얼굴로 바뀐다.
조작은 단순하게 키보드 방향키만 사용한다. 게임 자체는 전혀 어렵지 않은데[1], 중요한 건 앞서 말했듯이 정말 기분 나쁘고 기괴하다. 8비트 그래픽으로 그려진 기괴한 인간의 모습, 계속 반복되는 잡음에 가까운 음악. 마지막에 몸을 뚫고 나올 때는 진짜 깜짝 놀라거나 혐오스러울수 있으니 주의바람.
여담으로 중간부터 광과민성 발작을 유발할 수 있을 듯한 이펙트가 배경에 깔린다. 포켓몬스터 무인편 38화와 매우 유사하다.
무려 멀티 엔딩을 가지고 있다. 분기점은 맨 마지막에 태어나는 데 성공했느냐 실패했느냐.

2. 클리어 시 나오는 대사들


By some kind of miracle, I was given another chance at life.

어떤 기적으로 인해, 나는 삶을 살아갈 또 다른 기회를 얻게 되었다.

I was the forgotten cell. Left to die in the flesh of my brother.

나는 잊혀진 세포였다. 내 형제의 몸 속에서 버려져 죽어가고 있었다.[2]

I felt myself become thick and lump. growing into the form that was robbed from me.

스스로가 점점 굵어지고 덩어리져 가는 것이 느껴진다. 내가 빼앗긴 그 형체로 자라나고 있다.

I'm so hungry.

너무 배고파.

To thrive is to eat. I must continue consuming my host, my ignorant kin.

성장하기 위해 먹는다. 나는 계속해서 나의 어리석은 혈육, 내 숙주를 흡수해야만 한다.

What kind of god gives entity just to let me '''DIE AGAIN''' tucked behind kidney and fat.

어떤 이 나를 그저 신장지방 뒤에 깔린 채로 '''다시 죽어가도록''' 나에게 자아를 준다는 말인가.

I love you my sweet brother, My forgiving host.

사랑한다 나의 형제, 자비로운 숙주여.

'''FUCKAND EAT YOU CUNT SHITPIG/'''

'''다 처먹어주마 이 개돼지새끼'''

I never desired wealth or status. just existence.

난 부나 명예를 바란 적 없다. 그저 존재만을 바랬지.

  • (마지막에 성공했을 때)

O, existence. Let me be known.

오, 존재여. 내가 알려지도록 해 다오.

  • (마지막에 실패했을 때)

In the end, I couldn't do it. I couldn't put myself to steal from another what was once stolen from me.

결국, 나는 할 수 없었다. 내가 한번 빼앗겼던 것을 다른 이에게서 빼앗아 버리는 짓은 할 수 없었다.


3. 해설


결국 이 게임의 엔딩은 '''흉측한 괴물로서 존재할 것인가, 아니면 한명의 인간으로서 사라질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실제로 성공 시 나온 모습은 결코 인간의 모습이라 할 수 없기에 성공 시에는 결국 자신이 죽인 형제처럼 인간이 되지는 못했다고 봐야 한다. 그저 본인이 원한대로 생명을 얻게 되었을 뿐 심리적으로도 위에 있는 대사들을 보면 나름대로의 사정이 있기 때문이기는 하지만 결코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다. 그리고 설령 태어난다 할지라도 결국에는 사살당할 운명이다. [3] 물론 그저 존재하기만을 바란 주인공 입장에서는 상관없을지도 모르겠지만.
실패 시의 메시지를 보면 결국 주인공은 형제를 없애는 데에 죄책감을 느껴 스스로 태어나지 않기를 선택한다. 게임 주인공인 세포는 비록 이 세상에 실제로 존재하지는 못했더라도 가장 고등적이고 윤리적인 감정인 죄책감자비를 느낌으로서 인간이 되는데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1] 참고로 키보드 조작과 상관없이 제멋대로 움직이는 버그가 있다.다만 게임자체가 의미심장한 만큼 의도적인 것인지는 불명.[2] 실제로도 베니싱 트윈 현상을 통해 흡수된 쪽은 아무런 역할이 없다. 그러니까 이로운 것도 없고 해로운 것도 딱히 없다. 심지어 아무것도 모른 채 병원에 갔다가 그런 일이 있었는줄 아는 사람도 많다.[3] 주인공이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을 하든 다른 사람들에게는 괴물밖에 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