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65년 발표된
비틀즈의 곡.
Rubber Soul앨범에 수록되었다.
폴 매카트니가 메인 보컬을 담당하였다. 곡의 전체적인 구상은 폴 매카트니가 했지만 가사는 존 레논의 입김이 많이 들어갔다고 한다. 폴의 기타 리프로 시작
[1] 이 곡의 리드 기타는 폴 매카트니가 맡았고, 조지 해리슨이 베이스를 연주했다.
하는 곡이다. 가사의 내용은 유명한 영화 배우가 되고싶어하는 그녀는 그에게 운전 가사가 될 기회를 준다. "어쩌면 널 사랑해"
[2]라고 하면서. 그는 그녀에게 '나는 전망있는 녀석'이라고 하자 그녀는 반문한다. "이해해. 그런 심심한 것들을 하는 것도 좋긴하지만 내가 더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줄게." 그가 그녀의 제안에 응하자, 그녀는 사실 자신에게 차는 없다고 털어놓는다(...) 그리고 이어서 이렇게 말한다. "운전 기사를 찾았으니 이제 시작이야."
2. 가사
'''Drive My Car''' Asked a girl what she wanted to be 원하는 게 뭐냐고 그녀에게 물었어 She said "Baby, can't you see 그녀가 말했지, "자기, 모르겠어? I wanna be famous, a star on the screen 난 유명해지고 싶어, 스크린의 스타가 될거야 But you can do something in between" 하지만 그 사이에서 당신이 할 수 있는게 있지"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Yes I'm gonna be a star 그래, 난 스타가 될 거야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And maybe I love you 그리고 어쩌면 당신을 사랑해 I told a girl that my prospects were good 난 그녀에게 난 미래가 창창한 녀석이라고 말했어 And she said "Baby, It's understood 그리고 그녀가 말했지 "자기, 이해해 Working for peanuts is all very fine 그런 시시한 것들을 위해 일하는 것도 정말 좋지 But I can show you a better time" 하지만 난 당신이 더 좋은 시간을 보내게 할 수 있어."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Yes I'm gonna be a star 그래, 난 스타가 될 거야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And maybe I love you 그리고 어쩌면 당신을 사랑해 Beep beep'm beep beep yeah 빵빵, 빵빵, 예아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Yes I'm gonna be a star 그래, 난 스타가 될 거야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And maybe I love you 그리고 어쩌면 당신을 사랑해 I told that girl I can start right away 난 그녀에게 지금 당장이라도 시작할 수 있다고 했어 And she said, "Listen baby I got something to say 그녀가 말하더군, "자기, 일단 들어봐. 할 이야기가 있어 I got no car and it's breaking my heart 나 사실 차 없어, 그게 날 슬프게 만들지 But I've found a driver and that's a start" 하지만 운전사를 찾았으니 이제 시작 아니겠어?"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Yes I'm gonna be a star 그래, 난 스타가 될 거야 Baby you can drive my car 자기, 당신은 내 차를 운전할 수 있어 And maybe I love you 그리고 어쩌면 당신을 사랑해 Beep beep'm beep beep yeah 빵빵, 빵빵, 예아 Beep beep'm beep beep yeah 빵빵, 빵빵, 예아 [image]
|
3. 기타
•
폴 매카트니는 이 곡을 올드 블루스의 섹스에 대한 완곡어법
[3] anold blues euphemism for sex
이라 칭하며 성적인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