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c Rap Battles of History/시즌 1 Episode 7
원본
비하인드
ERB 위키
'''알버트 아인슈타인''' VS '''스티븐 호킹'''
'''시즌 1 최고의 배틀'''
두 거장 물리학자의 대결로, 물리 개그가 판을 치고 있다. 실제로 스티븐 호킹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호킹은 아인슈타인을 자주 비꼬기 때문에 배틀이 성립될 수 있었던 것이다.
시즌 2의 6편과 함께 사람들이 최고의 배틀 중 하나로 뽑는 대결이다.
여담이지만 스티븐 호킹의 모니터를 잘 보면 앵그리버드를 하고 있다.
1. 가사
[1] 다음 문장과 함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theroy of relativity)를 얘기한다. 물론 실제로 물리학 공부하다가 일반 상대성이론을 처음 접하면 상당히 골때리는 이론이기 때문에 멘탈이 붕괴된다.[2] 이 장면에서 아인슈타인이 혀를 내미는 포즈를 취하는데 이는 아인슈타인이 장난스럽게 혀를 내밀고 찍은 유명한 사진을 따라한 것이다.[3] Speak & Spell은 어린이용 컴퓨터 스타일 학습 장난감 시리즈이다. 글자를 치면 기계 음성으로 읽어준다.[4] 호킹은 루게릭병이라고 흔히 알려져 있는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을 앓고 있기에, 말을 할 수가 없다. 그리하여 자신의 눈을 이용해 단어를 골라 로봇이 말하게끔 하는데, 그 목소리는 호킹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5] MIT와 옥스퍼드는 스티븐 호킹과의 관계가 좋은 걸로 알려져 있다.[6] Hawk-ward는 호킹 박사의 Hawk와 어색하다는 뜻의 Awkward의 합성[7] 자기가 래퍼 두명분이라는 벌스는 결국 E = 'mc'의 제곱 = mc²라는 뜻이다.[8] 목 아래 전신이 마비되고 음성합성기로 대화하는 걸 감안하여 육성으로 랩을 하는 대신 오토튠 노래를 한다.[9] roll이 논다는 뜻과 문자 그대로의 휠체어 바퀴를 구른다는 뜻도 있다.[10] [image][11]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빨리 달리면 달릴수록, 또는 특정한 물체에 중력이 더욱 더 더해지면 더해질수록 시간은 느려진다. 호킹이 아무리 랩을 느리게 해도 아인슈타인보다는 빠를 거라는 의미다.[12] P-Brane은 초끈이론 및 M 이론과 연결되어 있는 개념으로, 호킹의 연구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 동시에, 발음이 같은 pea brain은 뇌가 콩알만하다는 뜻이다.[13] 여기서 언급된 스눕 독은 훗날 모세 VS 산타 편에서 모세 역으로 직접 등장했다.[14] 뉴턴이 사과나무에 누워있다가 사과를 맞고 만유인력을 생각해 냈다는 일화에서 따왔다. 물론 이 얘기는 사실이 아니다.[15] 내가 세상을 멀리 볼 수 있던 이유는 거인들의 어깨(다른 과학자들이 연구해놓은 업적들)에 서 있을수 있기 때문이다.' 라는 아이작 뉴턴의 명언을 인용했고, 호킹의 책 중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서'가 이를 본딴 것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 책에선 '프린키피아'나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같은 명저들을 그대로 실어놓았는데 그 중 하나로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 논문이 들어가 있다.[16] 참고로, 아이작 뉴턴과 스티븐 호킹 모두 영국의 과학자다.[17] 앞서 얘기했듯이 호킹의 책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서'에 아인슈타인의 논문이 들어가 있다는 걸 이용했다.[18] 스티븐 호킹은 거인의 어깨위에 "서 있다"고 했지만 호킹은 일어날 수 없는 상태다.[19] 고통의 역사는 스티븐 호킹 저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에서 따온 표현이다.[20] 질량-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의해 어떤 물질은 갑자기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고 그 형태만 변하여 존재한다는 걸 인용했다.[21] 스티븐 호킹의 블랙홀 이론은 레너드 서스킨드에 의해 치명적인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걸로 밝혀졌다. 호킹 또한 나중에 자신의 이론이 틀렸음을 인정했다.[22] 0이 31개나 붙었으며 영어로는 텐 밀리언 밀리언 밀리언... 이렇게 읽지만 한국어로는 '천양'이다. 큰 수 항목참조.[23] 이 펀치라인은 시리즈 전체에서 가장 임팩트가 강렬한 한 줄로 손꼽힌다.[24] 아인슈타인은 원자폭탄을 제작한 맨해튼 프로젝트에 공헌했다. 다만, 아인슈타인은 훗날 이 원자폭탄에 대한 반대를 강력하게 표방했다.[25] 칼 세이건이 중력 보존의 법칙을 설명할 때 '애플 파이를 처음부터 구워내려면 우주를 발명해야 합니다' 라고 비유했던 걸 인용했다.[26] 1993년 출시된 공학용 계산기다. 슈퍼 컴퓨터와 성능을 비교해보면 차이가 어마어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