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1. 사회자 혹은 진행자를 의미하는 단어
1.1. 대한민국의 MC
1.2. 미국의 MC
1.3. 그 외 국가의 MC
1.4. 캐릭터 유형
1.4.1. 각 작품의 MC 캐릭터
2. 힙합장르에서 Rapper를 지칭하는 단어
2.1.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알려진 의미
2.2. 역사적 맥락을 따진 원래 의미
3. Mind control
4. 장민철의 아이디 MC
5. 한계비용(Marginal cost)의 약자
6. Methylene Chloride
7. Methyl Cyanide
8. 인터넷 방송인을 의미하는 단어
10. 창작물의 주인공을 가리키는 말
11. 게일어에서 아들을 나타내는 단어 혹은 접미사
12. 해병대를 뜻하는 Marine Corps의 약자
13. LG전자 MC사업부(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
14. 모스코븀의 원소 기호


1. 사회자 혹은 진행자를 의미하는 단어


Master of Ceremonies의 약자로 여러 행사나 텔레비전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의 진행자 또는 사회자를 일컫는 용어. emcee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MC라는 표현보다는 호스트라는 표현을 쓰지만, 한국에서는 호스트가 다른 의미로 쓰이기 때문에 MC라고 쓴다. 해당 프로의 출연자들은 패널. 혹은, 게스트라 불리며 따로 취급한다.
2000년대 이전만 해도 MBC 공채 1기 허수경처럼 MC도 공채로 선발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공채 탤런트가 2000년대 이후로 사라지듯 MC도 공채가 사라지고 콩트프로그램이 사라진 자리에 살아남은 코미디언이 MC에 많이 자리잡았다. 하지만 점점 예능 프로그램에서 리얼 버라이어티가 확대되면서 전문 MC의 필요성 자체가 사라지고 현재는 아나운서의 만능화를 통해 아나운서들이 크고작은 프로의 MC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시사교양 및 다큐 등 버라이어티 외에 프로는 아나운서 출신이나 배우 등의 MC가 여전히 높은 확률로 쓰이고 있다.[1]
MC가 필요한 방송의 경우 전문 MC가 특별히 없는 대신 배우 등의 직종에서 활약하던 이들이 버라이어티 MC를 맡는 경우도 많았다. 이덕화의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백지연의 '뷰티풀라이프', 김혜수의 '플러스 유' , 김승우의 '승승장구'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물론 이 계열에서 가장 롱런하고 MC가 프로그램 명성까지 좌우한 경우는 바로 김상중의 '그것이 알고싶다'다.
반대로 미국에서 수십년째 예능의 중심인 토크쇼의 경우 한국에서 2000년대 후반부터는 점차 사장되어가는 추세라 오프라 윈프리, 미국 NBC제이 레노, 엘렌 드제너러스, CBS데이비드 레터맨과 같은 스타일의 호스트가 자니 윤 이후로 대가 끊긴 상태이다. 대부분 이런 컨셉을 프라임타임대에는 방영하지 않는다.
★은 현재 활동하지 않고 있는 MC들이다.
'''볼드체'''는 대상 경험이 있는 MC들이다.
이름앞의 故는 지금은 사망한 MC들이다.

1.1. 대한민국의 MC


  • 강병규
  • 강호동[2]
  • 공형진
  • 김경란
  • 김경진
  • 김구라[3]
  • 김국진[4]
  • 김나영
  • 김대희
  • 김미화
  • 김민경
  • 김민아
  • 김병만[5]
  • 김병조[6]
  • 김새롬
  • 김생민
  • 김성주
  • 김수용
  • 김숙[7]
  • 김승우
  • 김신영
  • 김영철
  • 김영희
  • 김용만[8]
  • 김원희
  • 김정민(1968)
  • 김정민(1989)
  • 김제동[9]
  • 김종국[10]
  • 김종민[11]
  • 김준현
  • 김준호[12]
  • 김지선
  • 김진표
  • 김창완
  • 김혜수[13]
  • 김효진
  • 김흥국
  • 김희철
  • 남희석
  • 낸시랭
  • 노사연
  • 노현정
  • 노홍철[14]
  • 데프콘
  • 딘딘
  • 문세윤
  • 민경훈
  • 박경림[15]
  • 박나래[16]
  • 박명수[17]
  • 박미선
  • 박소현
  • 박수홍
  • 박슬기
  • 박지선
  • 배철수
  • 배칠수
  • 백지연
  • 서경석[18]
  • 서세원[19]
  • 서수남
  • 서유리
  • 서장훈
  • 성시경
  • [20]
  • 솔비
  • 송은이
  • 송해
  • 신동
  • 신동엽[21]
  • 신봉선
  • 신아영
  • 신영일
  • 안문숙
  • 안선영
  • 안영미
  • 안정환
  • 안태일
  • 양세찬
  • 양세형
  • 연정훈
  • 염경환
  • 오상진
  • 유민상
  • 유병재
  • 유세윤
  • 유재석[22]
  • 유재환
  • 유희열
  • 윤도현
  • 윤정수
  • 윤종신
  • 은지원[23]
  • 이경규[24]
  • 이경실[25]
  • 이광수
  • 이국주
  • 이금희
  • 이덕화[26]
  • 이무송
  • 이문세
  • 이본
  • 이봉원
  • 이상민
  • 이상벽
  • 이상용
  • 이성미
  • 이소라
  • 이수근[27]
  • 이승기[28]
  • 이승연
  • 이영자[29]
  • 이윤석
  • 이정섭
  • 이주일
  • 이지혜
  • 이특
  • 이혁재[30]
  • 이효리[31]
  • 이휘재[32]
  • 임백천
  • 임성훈[33]
  • 임창정[34]
  • 자니 윤
  • 장도연
  • 장성규
  • 장영란
  • 장윤주
  • 전영미
  • 전현무[35]
  • 정선희
  • 정준하[36]
  • 정형돈[37]
  • 조세호
  • 조영구
  • 조우종
  • 조형기
  • 조혜련
  • 주병진[38]
  • 지상렬
  • 지석진
  • 차태현
  • 최양락
  • 최은경
  • 컨츄리꼬꼬
    • 신정환
    • 탁재훈[39]
  • 컬투
  • 팽현숙
  • 피오
  • 하지영
  • 하하[40]
  • 한석준
  • 허경환
  • 허준
  • 허참
  • 현영
  • 홍록기
  • 홍석천
  • 홍윤화
  • 홍진경
  • H.O.T.
    • 문희준[41]
    • 토니 안
  • MC딩동
  • MC몽
  • MC이슈

1.2. 미국의 MC



1.3. 그 외 국가의 MC



1.4. 캐릭터 유형


애니메이션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캐릭터의 유형. 현실의 MC와 역할이 비슷하다.
보통 스포츠물에서 주인공 팀과 상대 팀이 경기를 하고 있을 때 그것을 중계/해설해주는 캐릭터를 말한다.
극의 서사와는 관계가 없지만 캐릭터와 시청자를 이어주고 경기 장면에서 작품에의 몰입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한두 회 정도는 이들이 주역으로 나서는 에피소드도 있다. 약방의 감초 같은 캐릭터다.

1.4.1. 각 작품의 MC 캐릭터


  • 메탈베이블레이드 - DJ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 바에
  • 썬더 일레븐 - 카쿠마 케이타, 카쿠마 아유무, 카쿠마 오우쇼, 야시마 요스케[42], 다쿠스건 버뷰
  • 폭주형제 렛츠&고 - 파이터
  • 나루토 - 킬러 비 다만 이 캐릭터는 3번 항목의 특성을 가짐
  • 아이실드 21 - 머신건 사나다, 쿠마부쿠로 부녀

2. 힙합장르에서 Rapper를 지칭하는 단어



2.1.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알려진 의미


MIC[43] Checker 혹은 MIC Controller 의 약자. 또는 Move the Crowd의 약자라고도 한다.[44][45] MC 스나이퍼, MC 메타 등에 쓰이는 단어.말 그대로 마이크를 잡고 랩을 하거나 관중을 움직이거나 하는 등의 재주를 가진 인물을 뜻하는 말이다. 래퍼뿐만 아니라 B-BOY 공연 등에서 추임새를 넣어주는 사람도 MC라고 부른다.
접두사라기보다는 명사다. 래퍼들이 스스로를 칭할 때 MC라고 칭하기도 한다.
일렉트로니카 부분에서도 사람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 MC가 있다.[46] 주로 정글/드럼 앤 베이스 계열, 메인스트림 하드코어 테크노, 하드스타일 등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편. 특히 라이브에서 이 진가가 발휘된다. 한국에는 옥타곤에서 활동하는 자메이카 출신 Goldtea앤서에서 활동했던 MC Khan, 홍대 코쿤에서 활동하는 래퍼 Carry Diamond, 808%크루의 Syler 그리고 홍대 아우라에서 활동하는 이스트잠락 크루의 Lanino J가 있다.
MC가 라이브 공연 시 무엇을 하는지를 들어보려면 다음을 참고하면 된다. 트랙은 John B의 포드캐스트 086. http://podcast.johnbpodcast.com/content/JohnBPodcast086.mp3
앞에서 마이크를 들고 있는 사람이 MC다.

2.2. 역사적 맥락을 따진 원래 의미


'''Rappers spit rhymes that are mostly illegal'''

'''래퍼들은 불법적인 라임들을 내뱉지만'''

'''Emcees spit rhymes to uplift their people'''

'''엠씨들은 동족의 희망을 위해 라임들을 내뱉어'''

- Classic에서 KRS-원의 벌스 中

힙합의 역사적 측면에서 보자면 MC란 단어의 원 뜻은 1번 항목의 진행자의 뜻이 맞다.
[47]의 탄생은 DJ들이 파티 중간 중간 흥을 돋우기 위해 외치던 몇몇 관용구[48]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다 점차 DJ기술들이 발전하자 그런 멘트를 하기 너무 바빠진 DJ들이 파티의 진행자이던 MC들에게 그 부분을 넘겨주게 된다. 그리고 이를 넘겨받은 진행자들이 전문적으로 랩을 연마하면서 랩은 단순한 흥돋우기용 관용구에서 고도로 전문화된 음악적 표현방법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랩과 힙합[49]의 극 초창기 시절 때는 래퍼와 MC는 사실상 동음이의어인 관계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50] 이후 랩이 발전하며 독창적인 표현기법으로 자리잡게 되자 래퍼는 이전까지처럼 DJ에 종속된 파티 진행자에서 락밴드의 보컬이나 가수와 같은 독립적인 음악인으로 홀로 설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이 매우 빠른 편이기도 했거니와 힙합이 한국으로 수입되면서 널리 퍼지긴 했어도 상세한 역사 정리까지 알려진 것은 아니었기에 MC라는 표현이 관용적으로 래퍼를 지칭하는 데 쓰이는 것은 알지만 왜 그렇게 불리느냐에 대해 한국에서는 잘 안알려진 경향이 있다.
위의 항목에서 나온 'MIC Checker' 를 비롯한 여타의 표현들은 90년대 중후반 이후로 래퍼의 위치가 DJ의 위치를 까마득하게 압도하는 대중스타의 자리에 올라서게 되면서 미국 힙합 뮤지션 사이에서 MC의 의미정의를 다시금 해보려는 시도에서 파생된 말들이다. 따라서 위의 문단에서 언급된 표현들 말고도 약자에 끼워 맞춘[51] 수많은 정의가 존재한다.
현재의 힙합에서도 위에서 설명한 초기 힙합문화에서 비롯된 관용적 표현이나 관례들이 많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랩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인 MCing과 비보잉대회나 파티 사회를 래퍼나 혹은 한때 래퍼였던 인물들이 맡는 것 등등이 있다. 흔히 힙합의 4대요소로 비보잉, 그래피티, DJing, MCing을 드는 것도 이런 초기 힙합문화 역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과거이자 역사적인 이야기이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는 어느 정도 심리적 공감대는 서로 유지하고 있지만 넷 다 독자적인 길을 가면서 꽤나 멀어진 상태라고 볼 수 있다.

3. Mind control


마인드 컨트롤, MC물 문서 참조.

4. 장민철의 아이디 MC


장민철이 과거 Jangminchul이라는 익명 아이디(...)에서 ogsmc로 아이디를 바꿨다. 이에 팬들은 민철을 MC라고 쓰기도 한다.

5. 한계비용(Marginal cost)의 약자


경제학 교과서(특히 미시경제학)을 보면 지겹도록 나오는 용어이다.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은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이 일치하는 점에서 생산하고, 가계는 한계편익(MB)과 한계비용(MC)이 일치하는 점에서 소비한다.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의 교수 중 어떤 분은 대학원 수업에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MR과 MC도 없는 것이 경제학이냐며 비판(?)한 적이 있다고 한다.[52]

6. Methylene Chloride


메틸렌 클로라이드 문서 참조.

7. Methyl Cyanide


아세토나이트릴 문서 참조.

8. 인터넷 방송인을 의미하는 단어


인터넷 방송 팝콘TV, KOO TV의 진행자를 일컫는 말이다.

9. 마인크래프트의 약자


해당 문서 참조.

10. 창작물의 주인공을 가리키는 말


Main Character의 약자. 어원이 영어인지라 한국에서는 잘 쓰일 일이 없다.

11. 게일어에서 아들을 나타내는 단어 혹은 접미사


Mc로 시작하는 성씨가 대부분이며, 맥도날드(McDonald)처럼 Mc 다음 글자는 반드시 대문자로 쓴다.

12. 해병대를 뜻하는 Marine Corps의 약자


해병대를 뜻하는 Marine Corps를 MC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단독으로 약자로 불리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ROKMCUSMC 등처럼 각 나라의 국군의 영어 약자 뒤에 해병대의 약자가 붙는 식으로 불리기도 한다.

13. LG전자 MC사업부(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


LG전자/MC사업부 문서 참조.

14. 모스코븀의 원소 기호


해당 문서 참조.
[1] '손석희의 시선집중', '김혜수의 W' 등.[2] SBS: 2회 KBS: 2회 MBC: 1회 2008년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대상(트리플 크라운+백상예술대상+4년 연속 수상)[3] MBC: 1회[4] MBC: 2회[5] SBS: 2회[6] MBC: 1회[7] KBS: 1회[8] MBC: 3회(2회 연속 수상)[9] KBS: 1회[10] 2005년 가요대상 트리플크라운, SBS: 1회[11] KBS: 2회[12] KBS: 1회[13] KBS: 2회 MBC: 1회[14] 2007년 무한도전 팀 단체 수상[15] MBC: 1회[16] MBC: 1회[17] MBC: 2회[18] MBC: 1회[19] KBS: 1회 MBC:1회 1988년 백상예술대상 로고 TV부문 코미디연기상 [20] JTBC 보도담당 사장으로 취임하면서 뉴스 앵커로 돌아갔다.[21] KBS: 2회 SBS: 1회[22] SBS: 6회 MBC: 7회 KBS: 2회 2013년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대상(트리플 크라운+백상예술대상+12년 연속 수상)[23] 2011년 1박 2일 팀 단체 수상[24] MBC: 6회 KBS: 1회 SBS: 1회(트리플 크라운+ 2회 2년 연속 수상)[25] MBC: 2회(2년 연속 수상)[26] MBC: 1회 KBS: 1회[27] 2011년 1박 2일 팀 단체 수상[28] KBS: 1회 SBS: 1회[29] KBS: 1회 MBC: 1회[30] KBS: 1회[31] SBS: 1회[32] MBC:1회 KBS: 1회[33] 터틀맨과는 다른 사람이다.[34] 1997 KBS 가요대상 대상[35] MBC: 1회[36] 2007년 무한도전 팀 단체 수상[37] 2007년 무한도전 팀 단체 수상[38] MBC:1회[39] KBS: 1회[40] 2007년 무한도전 팀 단체 수상[41] 2019년 슈퍼맨 아빠들 단체 수상[42] 납치당해서 강제로 MC를 맡게 되는 전대미문의 캐릭터.[43] 마이크. 힙합에서는 전부 대문자로 표기하며, 읽을 때도 M.I.C. 라고 낱자를 따로따로 읽어주는 것이 관례다.[44] 다만, 이쪽은 유명한 MC가 '이런 자만이 MC의 칭호를 받을 수 있다' 라는 식으로 한 말.[45] 미국의 전설적인 래퍼인 RAKIM의 발언이 유래라는 이야기도 있다[46] 유명한 예로 미국의 릴 존, Fatman scoop가 있다.[47] 단, 기원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에 대해서는 항목에서도 보듯이 이설이 있다. '순수하게 DJ나 파티 사회자에게서 비롯됐다' 는 주장과 이전에도 있던 '블루스등의 spoken word류의 음악적기법이 근원이다' 란 양 설이 있다[48] 가장 간단한 예를 들자면 이 방송에서 개인기로 자주 보여주는 소위 나이트DJ들의 멘트를 생각하면 쉽다. 혹은 90년대 중후반 댄스 음악들에서 자주 나오던 의미 모를 영어 외침들 역시 비슷한 종류의 문구다.[49] 굳이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타 장르의 음악인들이 랩이라는 표현 기법을 수용하기 전까지는 힙합과 랩은 사실상 같은 의미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90년대 중반 무렵, 한국에서 한창 힙합의 정의에 대한 논쟁이 거셀 때 '힙합=랩' 이라는 주장이 꽤 강력한 세를 떨쳤다. 미국에서 직접 힙합을 접하고 온 사람들이 현지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하는 주장이니 당연히 설득력이 높을 수밖에 없었다.[50] 랩과 힙합의 창시자격으로 인정받는 DJ들인 Afrika Bambaataa, DJ Kool Herc는 각각 Zulu Nation과 Herculoids라는 크루와 같이 활동했는데, 이 크루 중에는 전문적으로 '''MCing'''이라고 불렸던 초창기 스타일의 랩을 하던 멤버도 있었다.[51] 일종의 역 두문자어라고 보면 된다.[52] 한계혁명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관계는 비주류 경제학,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항목을 참조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