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JIN Rumble

 

'''천하제일리겜축제'''
블록 결승 과제곡
'''유비트 소서 풀필'''
'''maimai ORANGE'''
'''태고의 달인 KIMIDORI'''
'''GROOVE COASTER EX'''
[image]
[image]
[image]
[image]
Scars of FAUNA
猫叉Master
VERTeX
Hiro
Ignis Danse
Yuji Masubuchi
'''FUJIN Rumble
COSIO(ZUNTATA)'''


1. 개요


[image]
안녕하세요. 타이토 ZUNTATA의 COSIO입니다! 『천하제일리겜축제』의 과제곡을 쓰게 되어서 큰 영광 & 긴장된 매일입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각 사의 회의에서 「4대 원소」를 이미지하는 게 되고, 타이토의 담당은 제트코스터니까 「바람」! 비교적 간단히 결정되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원점으로 돌아가 실제 모 유원지에서 천하제일… 그러니까 일본제일의 산 이름을 딴 제트코스터[1]를 타고 왔습니다!
결론: 30대에 탈 게 아냐 orz
그 직후에 직감으로 정한 타이틀이 「FUJIN Rumble」. 곡도 일본풍 테크노가 되었습니다. 응. 가길 잘했어! BPM이 빠른 어려운 곡입니다만, 곡에 흐르는 「바람」에 리듬을 타면 분명 구름 위까지도 목표로 할 수 있을 거에요! 렛츠 그루브♪
< COSIO(ZUNTATA) >
GROOVE COASTER의 수록곡. 작곡은 타이토 내 게임음악 제작 팀 ZUNTATACOSIO. 천하제일리겜축제의 블록 결승용 과제곡으로 제작된 곡으로, 모티브는 4대 원소 중 바람. 제목의 FUJIN은 풍신(風神)을 의미한다.
2014년 11월 26일 AOU 가맹 점포에 한해 우선적으로 수록되었다.

2. GROOVE COASTER


난이도 체계
SIMPLE
NORMAL
HARD
난이도
5
8
'''10'''
타겟 수
표준
291
465
773
AD-LIB
22
22
22
최대 체인 수
1442
2099
3298
BPM
96~192

HARD FULL CHAIN 영상
최대 체인값이 3,298개의 압도적인 물량 보면이다.
변칙적인 연타와 초반 중반에 BPM이 절반이 되는 변속구간, 그리고 중반부터 노트 인식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지며 후반은 이때까지 반복됐던 리듬패턴이 단번에 뒤바뀌어 버린다. 거기다 대부분 16비트의 연타지만 인트로의 날아오는 타겟, 중반의 크리티컬 연타 등등의 알기 힘든 셋잇단 음표 연타가 뒤섞여 있기 때문에 곡의 정확한 박자 파악이 요구되는 편.
개인차가 상당히 갈리지만 대체로 Marry me, Nightmare등과 함께 그루브코스터 내의 최상위 난이도를 마크하고 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2]
여담으로, 그루브코스터2 업데이트후 넷이 끊겼을 경우에 비AOU가맹점에서도 이 곡을 플레이할 수가 있었다.

3. 타사 리듬게임 수록



3.1. 유비트 시리즈


jubeat 난이도 체계
레벨
BASIC
ADVANCED
EXTREME
4
8
10.6
노트수
319
605
862
BPM
192
아케이드 수록버전 및
jubeat plus 수록 pack
아케이드 수록
유비트 소서 풀필 (2014.11.26) ~
iOS
없음
Android
없음

EXT 채보 영상(셔터 마커+동시 색별+핸드 클랩)

EXT 엑설런트 영상(플레이어: N-FL.F7)
전반적으로 가로 슬라이드와 대각선 슬라이드가 채보를 주로 이룬다. 특히 중반부에서 대각선 슬라이드 발광을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실점이 대량으로 나기 쉽다. 거기에 박자 면에서도 상당히 까다로운 것도 난이도를 올리는 요소. 대체로 이 곡과 키타사이타마2000이 대개 천하제일리겜축제 출신 곡들 중 가장 어려운 축에 속한다는 게 중론. 개인차에 따라서는 Got more raves? 다음으로 어렵다고 평가하는 경우도 있다.

3.2. maimai ORANGE


maimai 난이도 체계
EASY
BASIC
ADVANCED
EXPERT
MASTER
2
5
7
10+
14
BPM
192
녹화 가능 여부
O

EXPERT 난이도 영상
단순히 탭만 나오는 패턴이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는 않은 편. 난이도도 11에서 강등당했다.

MASTER 난이도 영상
마스터 보면 같은 경우는 단순 TAP의 처리를 극대화한 패턴으로, 초기작의 수록곡인 Fragrance를 넘어서는 TAP발광을 보여준다.
4-4배치로는 처리하기 힘든 보면이 곳곳에 산재해 있으며, 특히 중간 부분의 발광은 한 손씩 차례로 회전해야 제대로 처리할 수 있을 정도.
후반부도 마찬가지로 한 손으로 회오리를 그려야 하는 패턴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으며, 이를 숙지한다고 하여도 판정을 잡기는 꽤 힘들다.
최후반 후살은 양손으로 번갈아 치다가 반대방향으로 회오리를 한 바퀴 돌려줘야 처리할 수 있다.
참고로 수록 당시에는 '''마이마이 최초 노트수 4자리'''를 달성한 곡이다.

3.3. 태고의 달인



FUJIN Rumble
BPM
192
ver. BLUE 기준
난이도
간단
보통
어려움
오니
5
6
8
10
노트 수
223
352
532
751
수록 버전
'''NAC'''
비고
YELLOW 단위도장 현인 (오니)

오니 보면 '''전량''' 영상
중간중간 튀어나오는 갑툭튀 노트와, 73소절부터 시작되는 난해한 박자의 패턴[3]은 풀콤보 뿐만 아니라 판정을 잡는 데에도 발목을 잡힐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0레벨 내에서는 중상위권에 속한다.

3.3.1. 채보


[image]

3.4. Lanota




3.5. Cytus II





3.5.1. 채보


'''FUJIN Rumble'''
[image]
작곡
COSIO(ZUNTATA) from GROOVE COASTER
BPM
192[4]
연주 시간
2:03
레벨
'''EASY'''
'''HARD'''
'''CHAOS'''
5
9
'''15'''
노트 수
285
634
928
특이사항
'''GROOVE COASTER 콜라보 곡'''
'''해금 조건'''
'''EASY'''
통상해금
'''HARD'''
'''CHAOS'''

3.5.1.1. EASY


3.5.1.2. HARD


3.5.1.3. CHAOS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Ritxman.
중/후반부에 나오는 폭타와 기믹성 패턴으로 난이도를 높인 채보이다.
곡의 초반 3분의 1은 그렇게 어렵지 않은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와이프 노트+클릭 노트가 우수수 쏟아져 나와 손을 바쁘게 움직이긴 해야지만 패턴이 꽤 반복적이고 빠른 스크롤로 판정도 후해서 어렵지 않은편.
그러다가 336 콤보쯤에 수평 슬라이드 + 클릭 노트 조합이 등장하는 데, 이 게임을 하듯이 슬라이드 노트는 완전히 무시하고 클릭 노트만 처리한다는 생각으로 하면 넘어가진다. 초견에는 당황하다 틀리기 쉽지만 공략법을 알고나면 쉬운 기믹성 채보. 다만 가끔씩 클릭 노트 아래의 슬라이드 노트가 인식되지 않아 틀리기도 하니 단타를 살짝 길게 누르는 게 좋다.
이후 이 곡의 첫 번째 고비인 중반부 폭타 구간이 시작되는데, 트릴과 스와이프 노트를 적절히 섞어 놓은 채보를 선보이다가 486콤보에서 클릭 노트가 이상하게 배치되어 플레이어를 당황하게 만든다.
잠깐의 휴식 구간 후 650콤보쯤에 좁은 트릴 + 깔때기 모양 슬라이드가 반겨준다. 역시 초견에는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후 마지막 폭타 구간이 시작된다. 특히 주의해야할 부분은 780 콤보쯤에 시작되는 3축연타 스패밍 구간. 왼손 오른손을 반복하며 3축연타를 6번 처리해야 한다. 이 부분까지 넘기면 스와이프+슬라이드 노트 구간이 반겨주는데, 여기까지 오느라 힘이 다 빠져서 스와이프 노트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전체적으로 15레벨 중에서는 최하위권에 속하지만 개인차가 꽤 커서 축연타 처리력이 부족하다면 상당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3.5.2. 기타


  • Cytus 2와 GROOVE COASTER 4의 콜라보가 진행되어 수록된 곡이다. GROOVE COASTER에는 Ice의 Floor of Lava가 수록되었다.
  • 중간중간에 자주 나오는 플릭 노트들은 원작인 GROOVE COASTER의 Hard 난이도 채보의 그것들과 유사하게 배치되어있다.

3.6. Muse Dash



3.7. WACCA


[1] 후지큐하이랜드의 후지야마로 추정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tWUVxOroLhs[2] 2015/2/16 기준으로 국내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그루브코스터 비공식위키에서 발췌한 내용이다.[3] 뒷배경의 드럼 비트를 그대로 따라간다.[4] 스크롤속도 128~2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