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 AVLB 교량전차

 



1. 개요
2. 소개
3. 기타

[image]
제20기계화보병사단[1] 기동사열
[image]
[image]
초기모델, 교량 설치_1
초기모델, 교량 설치_2
[image]
[image]
K1 AVLB 교량전차 문교 도하훈련
K1 AVLB 교량전차 & K1A1전차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병대
K1 Armored Vehicle Launched Bridge
'''생산업체'''
(K-1)현대로템, (교량)영국 Vickers社(현 BAE Systems)
'''구분'''
가위형 MLC-66 교량
'''승무원'''
2명(전차장, 조종수)
'''전장'''
12.5m(차체 7.5m)
'''전고'''
4m
'''전폭'''
4m
'''중량'''
53.7톤
'''엔진 형태'''
MTU MB-871 Ka-501 수냉식 디젤엔진
'''변속기'''
ZF LSG-3000 자동변속기(전진 4단 후진 2단)
'''엔진 출력'''
1200마력
'''최고 속도'''
65km/h(야지:40km/h)
'''항속 거리'''
434km
'''현수장치'''
유기압 현수장치 + 토션바 혼합방식
'''교량 길이'''
22m(유효 20.5m)
'''통과 하중'''
66톤(유효 60톤)
'''수직장애물 통과 능력'''
0.8m
'''등판 능력'''
종경사60%, 횡경사30%
'''도섭 능력'''
수심 1.2m
'''참호 통과 능력'''
2.66m
'''무장'''
M60D 기관총
'''장갑'''
복합장갑
'''NBC 방호'''
가스여과기 장착
'''실전배치 연도'''
1990년대 중반
'''가격'''
26억원

1. 개요


기갑 및 기계화 부대의 야지 기동을 보장하기 위해 운용되는 간격 극복 장비. 전차와 같이 기동하면서 전차가 통과할 수 없는 장애물(단애, 소하천, 도로 대화구 등) 위에 교량을 가설해주는 전투 장비로, 포탑이 제거된 상태의 K-1 전차 차체 위에 가위형 교량 조립체와 교량 가설 장치가 탑재되어 있고 기계화 사단, 기갑 여단의 공병 부대에 편제되어 있다.

2. 소개


전차와 장갑차로 구성된 기갑부대는 지상군 기동전력의 핵심이다. 하지만, 기갑부대의 운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 장비가 필요하다.
강습교량(Assault Bridge)은 적과 마주한 상황에서 인공 또는 자연 장애물을 신속하게 극복하기 위해 부설된다. 강습교량의 일종인 교량전차(AVLB : Armoured Vehicle Launched Bridge)는 적과 접한 상황에서 끊어진 다리 등의 간극 극복에 필수적이다. 교량전차는 40m 이상의 간극을 극복하는 전술교량과 달리 도로대화구, 소하천 등의 20m 이내의 간극의 신속한 극복이 목적이다. 적과 접한 상황에서 기갑부대를 직접 지원하기 때문에 기동력과 방어력을 갖춘 전차의 차체를 이용한다.
우리 군은 1988년부터 1992년까지 해외 기술협력을 통해 K1 전차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교량전차 K1 AVLB를 개발했다. 1995년 10월 19일(출고식)부터 배치를 시작했고, 현재 우리 군의 중요한 강습교량으로 운용되고 있다. K1 AVLB는 길이 22m, 폭 4m, MLC 60의 가위형[2] 교량을 운용한다.
하지만, 1995년 10월부터 배치를 시작하여 운용연수가 20년이 넘으면서 신형 교량전차를 준비해야 할 상황이다. 신형 교량전차는 새로 도입된 K2 흑표 전차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앞으로 장갑 강화를 감안하여 군용 하중급수(MLC)[3]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위형 교량전차는 가설시 높이 솟아오르기 때문에 적 관측에 걸릴 위험이 있다. 조립형[4] 교량의 개발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육군은 도보 위주의 보병을 기동화 및 네트워크화하는 아미 타이거 4.0이라는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이 계획의 핵심은 특수부대 등 일부를 제외하고 모든 보병이 방탄차량이나 장갑차량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다. 우리 군의 차량화 및 기계화 수준이 높아지면 이를 지원할 교량도 더 많이 필요하다.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할 수 있는 강습교량의 개발은 우리 군의 다양한 기동장비 해외 수출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차량화와 기계화를 중심으로 개편되는 우리 군의 교량 수요를 충분히 뒷받침 할 수 있는 장기적인 개발 및 도입 계획이 필요하다.

3. 기타


교량전차 조종수(병사)는 육군공병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일반적인 전차의 조종수와 달리 교량전차의 조종수는 전차의 조종 외에도 교량 가설 조종도 해야하기 때문에 예전에는 공병학교와 기갑학교(현 육군기계화학교)에서 8주간 교육을 받았지만 현재는 육군공병학교에서만 5주간 교육을 받고 자대로 배치받는다.[5]
교량전차는 K-1 전차와 동일한 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종석이 좁고 특히 교량 가설용 기기도 설치되어 있어서 더욱 좁다. 그렇기 때문에 병사라도 조종수는 권총을 지급받아야 한다. 그러나 훈련이 많다는 어느 기계화부대는 조종수에게 K-2 소총을 지급했었다. 제1기갑여단 등 기갑부대는 45구경 M1911A1 권총을 지급하고 있다.
[1] 2019년 11월 29일 11사단과 통합 후 해체[2] 교량전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교량이다. 교량 형태에 따라 일자형, 가위형, 조립형, 다단 접이형으로 나뉜다. 가위(Scissors)형은 교량이 반으로 접힌 형태로, 가설장비의 암(Arm)의 힘으로 펼쳐진다. 많은 교량전차가 이 형태의 교량을 채택했고, 우리나라의 K1 AVLB의 교량도 가위형이다.[3] 교량의 성능 지표는 군용 하중급수(MLC : Military Load Classification)로 표시된다. MLC는 차량급수 또는 교량급수로도 불리며, 1968년 미 공병단(USACE)에서 개발하였고 현재는 나토 표준(STANAG)이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30톤급 전차를 지원할 수 있는 정도였지만, 최근에는 경량 금속 소재와 복합재의 채용으로 70톤에 육박하는 미 육군의 M1A2 전차도 지원할 수 있는 MLC 80까지 가능하도록 발전했다.[4] 조립형은 교량 모듈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드형으로도 불린다. 힌지를 중심으로 접히는 가위형이나 다단 접이형과 달리 물리적으로 분리된 교량이 수평 상태로 조립된 후 가설된다. 가설시 높이가 낮아 적의 관측에 걸릴 위험이 적다. 다단 접이형은 2개 이상으로 접힌 형태로 구소련과 러시아의 교량전차에서 채택했다.[5] 교량전차 조종수는 1년에 한두 기수밖에 모집하지 않는다. 자대에 있는 동안 후임이 들어온다면 운이 좋은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