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on Sleeps Tonight
1. 개요
'''The Lion Sleeps Tonight'''은 미국의 4인조 가수 'The Tokens'가 1961년 발표한 곡으로 이들의 대표곡 이라고 할 수 있는데, 1961년 12월 18일부터 3주동안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큰 히트곡이다.
2. 상세
이 곡의 원곡인 'Mbube'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줄루족 출신 가수 솔로몬 린다(Solomon Linda)의 곡으로, 어린시절 양을 치다가 사자를 만난 경험을 되살려 사자라는 의미의 줄루어 '음부베(Mbube)'라는 단어로 노래를 만들었다.
1939년 그의 6인조 아카펠라 그룹인 'The Evening Birds'와 함께 'Mbube' 란 곡으로 발표하여 10만장이 팔리는 기록을 남겼다. 앨범 발매 당시의 연도와 아프리카라는 상황을 감안해 보면 대단한 히트라고 할 수 있다.
맨 왼쪽이 솔로몬 린다
이후 1951년 미국의 포크송 가수인 피트 시거(Pete Seeger)가 이끌었던 'The Weavers'라는 그룹이 이 노래의 후렴구인 Uyimbube(줄루어로 '너는 사자')를 몬더그린으로 따와서 'Wimoweh'란 제목으로 발매했고, 이 곡은 미국 빌보드 팝 차트에 6위까지 오르는 히트를 기록했다.
이후 1961년 'The Tokens'가 가사를 붙여 자기들만의 스타일로 커버하여 대히트시켰다. 미국 팝차트에 정상에 오른 것은 물론 유럽 여러나라에서 인기 순위 상위에 올랐으며, 이후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유럽의 수많은 가수들이 이 곡의 커버 버전을 발표하여 히트 차트의 정상권에 오르내렸고, 1994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명작 라이온 킹의 삽입곡으로 사용되는 등 불후의 명곡 반열에 오른 팝 음악의 명곡이 되었다.
이 곡이 미국에서 크게 성공을 거두는 동안 정작 원작자인 솔로몬 린다는 큰 이익을 볼 수 없었다.
곡을 처음으로 가져다 쓴 위버스는 음부베가 줄루족의 전통 음악이며, 린다가 원작자가 아닌 단순한 연주자일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들의 소속사인 데카 레코드는 린다가 원작자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이를 무시하였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미국의 저작권법의 협약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저작권은 미국에서는 무효라고 주장했기 때문이었다.
1951년 린다가 곡의 원작자임이 분명해지자 저작권에 대한 보상으로 시거는 린다에게 1,000달러[1] 를 지급했다.
이후 솔로몬 린다는 문맹인데다 저작권이 뭔지도 모르는 채로 1952년 이 노래를 레코드로 제작한 음반사에 저작권을 넘겼고, 월 87센트[2] 만 받고 어렵게 생활하다가 1962년 53세의 나이에 신장질환으로 죽었는데, 당시 그의 계좌에는 단돈 22달러[3] 만 남아 있었다. 이후 2004년에 그의 유족들은 음반사로부터 저작권을 사들인 미국 아빌린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였으며, 2006년 승소해서 1987년 이후의 저작권 수입은 유족들의 통장으로 들어오게 됐다.
3. 가사
4. 커버
여러 리바이벌 중에서 아프리카의 토속적 감성과 현대적 프로페셔널함이 잘 살아 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마호텔라 퀸즈(Mahotella Queens)의 버전.
1994년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에 삽입된 버전.
1997년 뮤지컬 라이온 킹에 삽입된 버전.
2019년 영화 라이온 킹(2019)에 삽입된 버전.[4]
국악 작곡가 조광재에 의해 국악으로 편곡된 버전. 제목이 'The Lion '''Sleep''' Tonight'으로 s가 빠졌다.
5. 여담
미드 프렌즈에서 로스의 애완 원숭이 마르셀이 좋아하는 노래로 나왔다. 얘가 하도 이것만 들으니 질린 로스가 꺼 버리자 방으로 들어가더니 문을 꽝 닫아버릴 정도로...
스와 노부히로의 2017년 영화 오늘밤 사자는 잠든다는 이 곡에서 제목을 땄다. 작중에서도 삽입곡으로 등장한다.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라는 후렴구로 유명한 이가탄 CF에서 일부 사용되었다.
2018년 말, 정확히는 11월 24일에 어떤 인스타유저가 올린 영상이 인기를 얻으며 미국을 중심으로 뜬금없이 밈곡이 되었다. (해당 영상) 밈의 내용은 누군가 다치게 되는 상황에서 화면이 줌 되며 해당 노래가 나오는 형식이다. 원본 영상이 인기를 끌게된 후 다양한 패러디영상이 등장 했으며 원곡의 유튜브 영상[5] 을 보면 댓글에 '2018년 전까진 평범한 곡, 2019년엔 meme곡'과 비슷한 반응이 죽 달려있다.
위 영상은 여러 패러디 영상을 짜깁기한 컴필레이션이다. 밈 특성상 노래가 나오는 장면에서 일부러 곡을 늘이거나 음질을 훼손하는 경우가 많으니 틀기 전에 음량주의바람.
90년대 이후론 매체에서 들을 일도 적어서 곡의 존재여부도 잘모르던 어린 애들이 밈 덕분에 유명곡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떡밥이 식을 때 쯤 라이온 킹 실사영화가 나오며 다시 한 번 인기를 끌게 되었다. 2020년에는 같은 상황에서 쓰이는 Coffin Dance 밈에 밀려서 밈의 수명이 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