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Chat/문제점

 



1. 유저
1.1. 갱(Gang)
1.2. 아바타를 이용한 테러
1.2.1. 데스건
1.3. 무분별한 헌팅 행위
1.4. 유저
2. 시스템
2.1. 아바타 등급 기준의 모호함
2.2. 네트워크 IK
2.3.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2.4. 지정 외의 스크립트 사용 제한


1. 유저


모든 게임이 다 그렇듯이 일부 몰지각한 유저들로 인해 여러 사람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1.1. 갱(Gang)


인기 아바타 우간다 너클즈도 본래는 장난이었지만 이 밈을 따라하는 많은 유저들이 유입되고 서로 몰려다니며 몇몇 민폐를 끼치는 악성 유저들도 생겼다. 이 때문에 너클즈 아바타의 제작자가 "제발 다른 유저들에게 피해를 줄 거면 이 아바타를 사용하지 말아달라."며 자신이 이 캐릭터를 만든 것을 후회하기도 했다. 싫어하는 사람은 보기만 해도 단칼에 블락할 정도. 비슷하게 Kanna Gang이라는 그룹도 존재했다. 역시 장난스러운 취지로 시작했으나 그룹원들이 과도하게 많아지면서 리더가 그룹원 통제에 어려움을 겪게되었고, 극소수의 유저들이 디스코드에 음란물을 올리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살해협박을 하고 DDoS 공격을 시도하는 등 비매너적인 행태를 벌여 결국 그룹원 전체가 차단을 먹었다.
결국 밈의 의도대로 장난으로만 끝났다면 별 문제가 없었겠지만 몇 명의 유저들이 인종차별이나 해킹 등 민감한 문제를 꺼내들면서 생긴 문제며 이는 운영진이 더 강한 처벌을 하거나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는 이상 해결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보통 남을 사람은 남고 분탕에 질린 트롤들은 걸러지면서 잦아드는 편.

1.2. 아바타를 이용한 테러


아바타에 넣어놓은 여러가지 이펙트를 이용해 사람들에게 빛을 쏘거나, 비행기소리를 바로 옆에서 듣는 듯한 시끄러운 소리를 들려준다거나, 맵 전체를 둘러쌀 정도의 이펙트를 이용해 맵 자체를 터트린다던가, 화면 테러 (이펙트 범위내에 있는 사람들한테 특정 영상/그림/움짤을 보여주는것)을 하는 등 온갖 방법으로 다른 유저들을 괴롭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VR 유저들을 대상으로 한 화면 테러는 개인차가 있겠지만 불쾌감이나 어지럼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
현재 일부 공개 월드에서 테러아바타가 배포되는게 확인 되었다. 유저들은 알아서 자제하는 분위기지만, 혹시나 테러 아바타를 써볼 생각이 있다면 절대로 퍼블릭 월드에서 사용하지 말자.
그나마 피해를 덜 받을려면, ESC를 누른후 메뉴에서 세팅, 세이프티에 들어가서, 커스텀설정을 들어간뒤 친구를 제외한 모든 명찰의 파티클과 쉐이더를 꺼버리면 된다. 다만 이렇게해도 사운드테러는 계속 들리기 때문에, 별도로 블락이나 뮤트설정을 해야한다.
최근엔 퍼블릭으로 테러아바타가 공개되어 있는탓에 찾더라도 되도록이면 쓰지말고, 정말로 호기심에 미치도록 쓰고싶다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않게 개인월드에서만 잠깐쓰고 바로 바꾸도록하자. 자신의 컴의 사양이 낮다면 크래쉬등의 문제를 야기하게된다.

1.2.1. 데스건


이름 그대로 모티브는 소드 아트 온라인 3부 팬텀 불릿의 최종 보스인 데스 건. 실제로 데스 건은 연결 강제해제 개념으로 4명을 보내버렸다.
해외에선 크래쉬건으로 부른다.
최적화가 원최 잘 되지 않는 게임이다 보니, 데스건이라는 개념도 존재 한다. 데스건이란 이펙트나 파티클, 셰이더 따위를 과도하게 넣어 이 효과를 쳐다본 사람을 강제로 튕겨버리게 하는걸 데스건이라고 한다.
이런 데스건을 쓰는 사람들은 "꼬우면 니네들도 데스건 만들던가", "네 다음 못 만드는 사람" 이라며 조롱하며 조금의 반성도 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렇기 때문에, 각종 VRchat 커뮤니티, 디스코드 등에선, 이런 비매너 및 데스건, 테러를 하는 유저들의 ID를 알아내서 빠르게 그런 사실을 알리며 '''블락(Block)'''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고, 이 OO은, 테러범입니다 혹은 데스건 사용자입니다임을 알리고 블락하라고 친절히 알려준다, 심지어 '''아이디를 바꿔와도 귀신같이 알아내서 블랙리스트 목록에 올린다.'''
현재는 이런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계정의 신뢰도에 따라서 파티클 표시를 할지 안할지 설정을 할 수 있게 되어있다.
데스건(크래시건) 사용으로 계정이 영구정지를 받은 사례가 나왔으니 데스건을 사용한 유저를 발견하면 바로 신고하자.
기본적인 안전모드에서는 보라색 명표 이상인 사람만 파티클 등 특수효과를 쓸 수 있게 설정되어있다. 물론 유저가 설정하면 그 이하 계급 사람의 파티클도 보이게 할 수 있지만 파티클로 트롤을 하는 사람이 있으니 주의.

1.3. 무분별한 헌팅 행위


오다 사쿠노스케[1] 아바타를 vrchat 유저들은 일명 이케맨(또는 멋진남자)이라고 하는데 VR챗에서 이케맨이라고 하면 보통 이 캐릭터를 지칭하는듯하다. 헌데 VRchat에 포팅된것부터가 원칙상 원 MMD 저작자인 柴尾가 명시하는 약관위반인데다 이 아바타를 낀 몇몇 이들이 행동거지가 한국 vrchat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퍼블릭 월드를 돌아다니다가 여성 유저를 발견하면 다가가서 느끼한 목소리로 헌팅 시도를 하면서 눈살 찌뿌려지는 행위를 하는 경우도 많으니. 퍼블릭에선 주의하는것이 좋다.[2]

1.4. 유저


현재 VRChat 에서 최근에 커미션용 개인용 아바타가 어떤 핵유저에 의해 강제로 복사하는 핵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다른건 플라이핵,월드 크래쉬,텔레포트,포탈 소환 핵,그외 등이 있다. 최근에 아바타 복사핵으로 이용한 피해자가 발생하였는데 핵유저 중에 한국인이 존재한다. 핵유저를 발견할 경우 즉시 신고를 하는것이 좋다. 2021년 현재 VRChat 에서 아바타 복제 핵으로 인한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2. 시스템



2.1. 아바타 등급 기준의 모호함


아바타의 등급을 매기는 기준이 너무 빡빡해서 말이 많아질것으로 예상된다.[3] 다이나믹 본이 조금만 많아져도 바로 Poor 등급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이에 관해서도 말이 많다. 또한 평균 등급을 매기는 기준은 전체를 도합해서 계산되는 평균이 아닌 가장 낮은 등급이 나온 항목을 기준으로 잡아버린다.# 외에도 아바타, 월드 제작자들도 유니티 버전 업데이트 때문에 부랴부랴 깨진 아바타와 월드를 고쳤는데 최적화 문제로 또 다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적화를 하지 않으면 아바타 업로드를 제한 시켜서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에 제작자들은 "이런건 한꺼번에 패치 할것이지 왜 딱딱 나눠서 패치 하냐"는 의견을 보이며 불만을 표출하고있다. 이에 따른 퍼포먼스 이슈로 업데이트 중단을 선언한 월드도 있다. 아바타 등급을 철회하지 않는 이상 현상태와 같은 맵이 더 늘어날것으로 추정된다.

2.2. 네트워크 IK


2020.1.1 패치 이전까지는 네트워크 IK로 인하여 VR기기를 이용하는 유저들의 움직임이 크게 생략되어서 상대에게 보여지는 문제가 심했었다.[4]
다행히 패치를 통해 상대와의 거리에 따라 네트워크 대역폭을 조절하는 방식이 되는 등 매우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3.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우간다 너클즈 갱의 악성 행패 사건 당시 운영진들의 대처도 훌륭하다고 볼 순 없는데, 단지 일부 유저들이 그랬다는 이유 만으로 그룹원 전체를 차단하고 관련 아바타를 착용하기만해도 차단을 먹이는 등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의 전형적인 예시를 보여주었다.

2.4. 지정 외의 스크립트 사용 제한


2018.4.3 버전 패치 때 유저가 작성한 스크립트의 사용을 제한하면서 이전의 스크립트를 사용하던 수많은 월드들이 불구가 되었다. 때문에 월드 제작을 포기한 유저들이 속출했으며 유저의 창작 행위에 큰 영향을 받는 VRChat에서 유저의 창작 행위를 제한해버리면 어떡하냐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물론 유니티 게임 특성상 보안성이 떨어지기에 이렇게라도 보안성을 올려야한다는 명분이 있지만, 다시 2020.1.1패치도 결국 뚫렸다.
2020.1.1 패치를 통하여 유저가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udon이 릴리즈 되면서 월드 개발자들이 udon을 이용한 테스트 월드를 올리고 있다.

[1] 통칭 '''이케맨(멋진남자)'''[2] 당연하겠지만, 모든 이케맨 캐릭터를 낀 유저가 이런 행동을 한다는 것은 아니다.[3] 바로 옆에 서술된 다이나믹 본 외에 다른 항목에서도 권장 기준을 너무 빡빡하게 잡아버려서 금세 Very poor 등급이 되어버린다.[4] 특히 춤을 추는 유저들과 마이크를 사용할 수 없어 펜으로 소통하던 유저들의 입장에선 악명이 높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