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ま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4. 모양
5. 쓰임
5.1. 女
5.2. 目, 芽
5.3. 奴
5.4. めっ
6. 한자
6.1. 음독


1. 개요


  • 가타카나: メ (女의 약자)
  • 히라가나: め (女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메
  • 라틴 문자 표기: me
  • IPA: /me̞/ (유성 양순 비음전설 평순 중모음)
  • 일본어 통화표: 明治のメ (메이지노 메)
  • 일본어 모스 부호: -・・・-
ま행 え단 글자이다.

2. ま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양순 비음으로, 비음의 특성상 거의 유성음이며 탁음은 없다. 양순음이라는 점에서는 ば/ぱ행과 유사하다.
일본 한자음 중 오음으로 ま행인 게 한음으로는 ば행인 것들이 있다. 이런 한자들은 한국 한자음에서는 대체로 오음과 같이 ㅁ으로 읽는 글자들이 많다. 전반적으로 한음 ば행이 우세하지만, 늘 그렇지는 않다.

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え단의 모음은 전설 평순 중모음.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가 합쳐지는 식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え단 모음의 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4. 모양


[image]
[image]
둘 다 女의 뜻에서 왔다. 女는 지금도 め로 읽을 수 있지만 지금은 주로 합성어에서 드러나는 편이다.
가타카나 メ는 〆(しめ)와 좀 닮았다. 〆는 일단 일본 내에서는 한자로 여겨지기는 하는데 한편으로는 メ의 이체자로 보기도 하는 모양이다.

5. 쓰임



5.1. 女


에 양립하면서 여자를 뜻하는 단어로 자주 쓰인다.
  • ひこ ↔ ひめ
  • おとこ ↔ おとめ
  • むすこ ↔ むすめ
  • (앞 글자는 다르지만) むこ ↔ よめ

5.2. 目, 芽


'눈'을 뜻하는 단어로 쓰인다. 재미있게도 식물의 눈이나 계란의 눈에도 똑같이 め라고 쓸 수 있다. 이 경우 간혹 ま(마)라고 읽기도 한다.

5.3. 奴


명사에 붙어서 무시하는 말로 많이 쓰인다. ex) こいつめ 배틀 애니메이션에서 꽤 자주 들을 수 있다.

5.4. めっ


뒤에 촉음이 붙으면 주로 어린 아이를 혼낼 때 쓰는 '''떼끼!''' 정도의 뜻으로 쓰는 말이 된다.

6. 한자



6.1. 음독


상용한자표 기준으로 음독이 め로 시작하는 한자는 무척 적어 12개뿐이다. め 단독은 한 개도 없고 めい, めつ, めん만이 존재한다. 거의 모두가 한국 한자음으로 깔끔하게 '며-'에 대응된다.
'''日'''
'''韓'''
'''한자'''
'''특수'''
メイ
(8)

名命明冥銘鳴
미(迷)
맹(盟)
メツ
(1)


[1]
メン
(3)

免面綿
[2]
名, 命, 明, 冥은 오음 ョウ로도 읽는다.

[1] '멸시', '능멸'에 쓰이는 '蔑'(멸)은 ベツ이다.[2] '勉'(면)은 ベ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