ら
1. 개요
- 가타카나: ラ (良의 약자)
- 히라가나: ら (良의 초서)
-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 라
- 라틴 문자 표기: ra
- IPA: /ɺä/ (설측 치경 탄음 + 중설 저모음)
- 일본어 통화표: ラジオのラ (라지오노 라)
- 일본어 모스 부호: ・・・
2. ら행 모두에 해당하는 사항
일본어 ら행은 어두에서 유성 설측 치경 탄음[ɺ\]로 발음되고[1] , 어중에선 치경탄음으로 발음된다. 주로 일본인들이 ら행 발음에 대한 외국인들의 어색한 억양을 판별하는 방식도 '''R이냐 L이냐'''가 아니라 '''탄음이냐 탄음이 아니냐'''이다.[2] 참고로 J-POP, 애니메이션 주제가 등의 일본노래들에선 일본가수이 특유의 창법으로 혀에 힘을 줘 모든 위치의 ら행 발음을 항상 설측 치경 탄음으로 소리내는 경향이 있다.
싸우거나 감정이 격해질 경우 치경 전동음(/r/)으로 발음되곤 한다. 특히 도쿄 토박이말에서 자주 들을 수 있다.
가끔 반탁음 기호를 붙여 L발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ラ゚[la] 이런 식으로.
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3] 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pi:'''nʌ'''t] → ピー'''ナ'''ッツ. 다만 한국어를 가나로 표기 할 때에는 ㅓ가 원순모음의 경향이 많기 때문에 お단으로 쓴다. ex) 선 → ソン
4. 모양
[image]
[image]
히라가나 모양이 숫자 5랑 닮았다. 이건 ち도 마찬가지.
히라가나, 가타카나 둘 다 良에서 왔다. 여담으로 한국어 구결에서도 이 글자가 '란'이나 '-어/아'의 표현에 쓰인 바가 있다.
히라가나 う와 가타카나 ラ는 꽤 비슷하게 생겨서 특히 손글씨를 읽을 때 헷갈린다. 그나마 히라가나/가타카나라는 차이는 있으니 히라가나를 쓸 상황인지 가타카나를 쓸 상황인지 파악하면 조금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뭐 사실 가타카나는 ツ・シ나 ン・ソ・リ나 가타카나끼리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보니 이건 그나마 양반이다.
5. 쓰임
5.1. 5단 동사의 미연형
미연형이란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일반적으로는 부정형을 뜻한다. 따라서 부정을 나타내는 조동사/조사 -ない, -む, -ん, -ず 등과 같이 쓰인다.
る 이외의 동사의 경우 어미의 あ단이 미연형이며, 1단 동사는 る를 떼고 그대로 부정어를 붙인다.
5.2. ラ행 변격 동사 (문어)
ある, をる, はべる, いまそかる 네 동사는 종지형이 る가 아니라 り로 불규칙하게 바뀐다. 그래서 ラ행 '변격' 동사(ラ行変格活用動詞)라고 부른다. 현대 구어에도 쓰이는 용어인 サ행 변격 동사, カ행 변격 동사와 마찬가지로 어근이 ラ행에서 바뀐다고 ラ행이고 변칙적으로 변한다고 변격 활용이다. 정작 さ나 か로는 어근이 바뀌지 않는 サ행 변격, カ행 변격과는 달리 ら로도 어근이 바뀌기는 한다(미연형).
이에 대해서는 り를 참조하자.
5.3. ラ행 특별 동사 (구어)
높임말 なさる(하시다) 下さる(주시다), いらっしゃる(계시다), おっしゃる(말씀하시다)은 명령형, 연용형이 불규칙적으로 활용된다.
명령형: なさい
연용형: なさいます
보통 명령형에 れ, 연용형에 り를 쓰는 다른 동사와는 다르다. 이를 구어에서의 불규칙으로 'ラ行 특별 동사(ラ行特別活用動詞)'라고 한다. 종지형이 특이한 위의 문어의 ラ행 변격 동사하고는 전혀 상관없다.
이에 대해서는 い를 참조하자.
6. ら抜き言葉
1단동사의 경우 가능형, 수동형, 경어체의 형태가 모두 같아지므로 일본인들끼리도 헷갈리기도 한다.
예) 見(み)る: 보다 見られる: 볼 수 있다, 보이다, 보시다
따라서 가능형을 5단동사의 규칙처럼 만드는 경우가 종종 있다. 見る의 가능형을 見れる로 만드는 식이다. 이는 표준 문법은 아니지만 이렇게 쓰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1단동사에 5단동사의 규칙을 적용하면 ら가 빠지므로 이를 'ら가 빠지는 말'이라는 뜻의 '''ら抜(ぬ)き言葉(ことば)'''라고 부른다. 격식을 차린 글에서는 見られる로 쓰는 것이 좋다.
7. 한자
상용한자표에서 ラ로 시작하는 독음은 5종이며 한자 수는 18자이다.
상용한자표에 ら로 시작하는 훈은 없다.
[1] 이로 인해 울외의 일본어 명칭 나라즈케(奈良漬け)가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는 '나나즈께'로 와전되기도 했다. 혀 옆구리가 어금니에 닿다 보니 한국어의 ㄹ보다 혀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인 듯.[2] 접근음과 전동음도 치경음계 발음이면 r발음에 속한다.[3] 일반적으로 /a/로 표기되는데, a 위의 움라우트를 적기가 힘들기 때문.[4] 규칙형 ラツ도 있으나 사실상 유일례인 拉致에서 らち가 일반적이며 ラ만이 표에 실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