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1. 한글 자모의 첫 번째
한글 자모의 첫 번째 글자. 훈민정음 자음의 순서인 아설순치후(牙舌脣齒喉) 중 제일 앞인 아음(牙音)인데다 전청(全淸, 평음)이기 때문에 제일 첫 글자가 되었다.
남한에서는 '''기역'''이라고 읽는다. '기윽'이 아니게 된 것은 '윽'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훈몽자회 참조. 북한에서는 '''기윽'''으로 읽는다. 자모 이름 중에서 ㅓ가 들어가는 유일한 글자이기 때문에, ㅓ와 ㅡ가 섞인 동남방언 에서는 '기ᄋᆜᆨ', '기윽'이라고 읽기도 한다.
어두에서는 혓바닥을 입천장에 붙이고 빵! 하고 터뜨리나 기식이 약한 연구개 파열음 ([k])이며, 어중에서 모음이나 ㅁㄴㅇㄹ 뒤에 후속할 경우는 유성음으로 변이하여 ([ɡ])가 된다. 종성으로 쓰일 때에는 뒤에 모음이나 ㅁㄴㅇㄹ가 후속하지 않을 때 불파음인 ([k̚])의 음가를 가지며, 유성음 앞에서는 자음동화로 인하여 ([ŋ])의 음가를 가진다. 구개음화에 가장 취약한 연구개음이기에 뒤에 ㅣ계 모음([i], [y], [j])이 오면 각 발음의 경구개음 버전에 해당하는 음가로 바뀌고 ㅗ계 모음([o], [ʁ̞ʷ])이 오면 구개수음이 된다.
그런데 21세기 들어 40대 이하의 젊은 서울 사람들은 더 이상 어두의 ㄱ과 ㅋ의 소리를 발음으로 구별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 대신, 음높이의 차이로 구별한다고 하는데, 평탄하게 소리내면 ㄱ이고, 높게 내면 ㅋ이며, 둘의 기식성은 동일하다고 한다. 경상도 지역은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역시 2010년대 들어서는 20대 이하의 여성을 기준으로 기식성의 차이가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 반면에 20대 이하의 경상도 남성에게서는 여전히 기식성이 나타난다고 한다. 서울 지역은 남녀 불문하고 젊은 층에서는 ㄱ과 ㅋ이 더 이상 기식성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서 획 하나를 더하면 ㅋ이 된다.
된소리로는 '''ㄲ'''이 있으며 이걸 '''쌍기역'''이라고 부른다.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뿌리로 연구개를 막았다가 세게 터뜨려 내는 연구개 파열음이다. 북한에서는 '''된기윽'''으로 부른다.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끼윾'으로 불렀다.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는 속담이 있다. 비슷한 말은 목불식정(目不識丁).
서태지 솔로 2집에 'ㄱ나니?'라는 제목의 곡이 실려 있다.
세븐 갤러리에서는 숫자 7을 못 뽑아내면 이 글자를 7로 치환해서 턴다. 세븐 갤러리/털린 이유 문서에서 풀어쓰기로 된 부분을 자세히 보자.
한글 자모의 첫 번째라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에서 이름 앞에 ㄱ을 넣으면 맨 첫 번째로 나온다. 물론 한글 자모 기준이고 아스키 코드 및 유니코드 기준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한 글자는 느낌표(!, U+0021)다. 참고로 ㄱ은 U+1100(조합형)/U+3131(단독 문자).
예) "홍길동" → "ㄱ홍길동"
오른쪽에 붙는 모음과 같이 쓰일 때는 세로획의 끝이 왼쪽으로 휘게 디자인된 폰트가 많다('가' vs. '그') . 한글 창제 초창기의 판본체에는 이러한 특징이 없다. 아무래도 왼쪽 아래가 비어있으면 균형이 안 맞아 보여서 그렇게 변화한 듯하다. ㄱ 단독이나 '그' 등도 '가'만큼은 아니지만 약간 왼쪽으로 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로 직각을 유지하는 ㄴ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
구글에서 치면 다른 자음과 모음들과 마찬가지로 이미지 사진에 야한 여자 사진이 나왔던 적이 있었다.
2. 축약어로써 사용되는 ㄱ
온라인 게임상에서 자주 쓰이는 '고(go)'의 준말로, 준비가 되었으니 시작하라는 알림 혹은 재촉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2개를 붙여서 'ㄱㄱ'의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재촉의 의미로 볼 때에는 ㄱ의 개수에 따라 그 시급성이 비례한다. [24]
[1] '''가'''지[2] 순음화. '''구'''성
뒤의 원순 모음의 영향으로 순음화.[3] 경구개음화. '''기'''차
뒤의 전설 고모음의 영향으로 경구개음화.[4] 구개수음화+순음화. '''고'''등학교
뒤의 후설 중고모음의 영향으로 구개수음화 및 순음화.[예사소리] 관습적으로 무기음으로 표기하나, 사실 현대 서울 한국어에서는 어두에서 ㅋ에 가까운 기식을 가지며, ㅋ과 차별되는 주요 변별 자질은 낮은 음조(F0)이다.[5] 조'''개'''[6] 도'''구'''
뒤의 원순 모음의 영향으로 순음화.[7] 경구개음화. 고'''기'''
뒤의 전설 고모음의 영향으로 경구개음화.[8] 구개수음화+순음화. 버티'''고'''
뒤의 후설 중고모음의 영향으로 구개수음화 및 순음화.[9] 음'''악'''[10] 수'''학'''은 쉽다.[11] 순음화. '''악'''우[12] 경구개음화. 걸'''작'''이다.[13] 구개수음화+순음화. '''속'''옷[14] '''극'''락[15] 경구개음화. 어'''학'''연수[16] 숟'''가'''락[17] 순음화. 속'''구'''[18] 경구개음화. 식'''기'''[19] 구개수음화+순음화. 먹'''고''' 마시고[20] '''박'''해[21] 순음화, '''복'''화술[22] 경구개음화. 수'''북'''히[23] 구개수음화+순음화. '''백'''호[24] [25] 사실 이쪽도 ㄹㄷ(레디)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
뒤의 원순 모음의 영향으로 순음화.[3] 경구개음화. '''기'''차
뒤의 전설 고모음의 영향으로 경구개음화.[4] 구개수음화+순음화. '''고'''등학교
뒤의 후설 중고모음의 영향으로 구개수음화 및 순음화.[예사소리] 관습적으로 무기음으로 표기하나, 사실 현대 서울 한국어에서는 어두에서 ㅋ에 가까운 기식을 가지며, ㅋ과 차별되는 주요 변별 자질은 낮은 음조(F0)이다.[5] 조'''개'''[6] 도'''구'''
뒤의 원순 모음의 영향으로 순음화.[7] 경구개음화. 고'''기'''
뒤의 전설 고모음의 영향으로 경구개음화.[8] 구개수음화+순음화. 버티'''고'''
뒤의 후설 중고모음의 영향으로 구개수음화 및 순음화.[9] 음'''악'''[10] 수'''학'''은 쉽다.[11] 순음화. '''악'''우[12] 경구개음화. 걸'''작'''이다.[13] 구개수음화+순음화. '''속'''옷[14] '''극'''락[15] 경구개음화. 어'''학'''연수[16] 숟'''가'''락[17] 순음화. 속'''구'''[18] 경구개음화. 식'''기'''[19] 구개수음화+순음화. 먹'''고''' 마시고[20] '''박'''해[21] 순음화, '''복'''화술[22] 경구개음화. 수'''북'''히[23] 구개수음화+순음화. '''백'''호[24] [25] 사실 이쪽도 ㄹㄷ(레디)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