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1. 개요
2. 분류
2.1. 성대 울림에 따른 분류
2.2. 조음[1] 위치에 따른 분류
2.3.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2.4. 성절성에 따른 분류
3. 기타


1. 개요


+5 [[子]][[音]]
Consonant
소리가 조음기관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혀서 나는 소리이다. 조음기관끼리 닿아서 나는 소리이기에 닿소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자면 ㅋ은 혀의 뒤쪽으로 공기를 막아서 발음한다. ㅌ는 혀의 앞쪽으로, ㅍ은 두 입술로 발음하며, ㅎ는 목구멍을 이용한다. ㅁ과 ㄴ의 경우에는 코를 통해 공기를 막아서 발음한다. 당연히 비교되는 것은 모음.
여기서 '''성대가 울리느냐, 울리지 않느냐'''에 따라 무성음/유성음 구분이 생긴다.
한국어의 자음은 단독으로 소리를 내지 않는다. 한글에는 자음이 단독으로 나오는 소리를 표기할 방법이 없다.[2]
한글 자음은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으로, 총 19개이다.[3]

2. 분류



  • 이곳 또는 이곳에서 실제 음성을 들어 볼 수 있다.

2.1. 성대 울림에 따른 분류


  • 무성음(voiceless): 성대를 울리지 않는 소리
  • 유성음(voiced): 성대를 울리는 소리

2.2. 조음[4] 위치에 따른 분류



2.3.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아래의 발음은 폐 기류(pulmonic) 음으로 분류된다.
아래의 발음은 폐외 기류(non-pulmonic) 음으로 분류된다.

2.4. 성절성에 따른 분류



3. 기타


조음 위치를 조음 기관에 따라 묶어 보자면
정도로 분류할 수 있다.

[1] 말의 소리를 내는 데 쓰이는 신체 부위. 대표적으로 성대가 있다.[2] 흔히들 "ㄱ은 '그'로 발음된다." 식의 오해를 하는데 '그' 발음은 자음 ㄱ이 모음 ㅡ와 합쳐져서 나는 소리이다. 한글의 모음 중 ㅡ가 제일 약한 모음이기에, ㄱ의 단독 발음을 그나마 가깝게 표현할 방법이 '그'인 나머지 그런 오해가 생기는 것이다.[3] 기본 자음 14개 + 쌍자음 5개.[4] 말의 소리를 내는 데 쓰이는 신체 부위. 대표적으로 성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