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상전역

 


'''고상전역'''
'''(폐역)'''

'''다국어 표기'''
영어
Kōshōmae→Kosangjŏn
한자
高商前
중국어
高商前
일본어
こうしょうまえ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관리역 등급'''
폐역
( )
'''일반 철도'''
경춘선 개업일
1939년 7월 20일
경춘선 폐업일
1957년
'''노선거리표'''
성동 방면
← ? ㎞
'''옛 경춘선'''

'''(폐역)'''
춘천 방면
? ㎞ →
高商前驛 / Kōshōmae(Kosangjŏn) Station [1]
1. 개요
2. 주변
3. 폐역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경춘선에 존재했던 역으로, 작은 간이역으로 추정된다. 경춘선 개통때부터 존재하던 역으로, 조선총독부 관보에 그 이름이 올라 있다.

2. 주변


이 역 인근에 경성고등상업학교[2]가 있었고, 이 학교를 '''경성고상'''으로 줄여 불렀기에 이 학교에 다니는 통학생을 위하여 신설된 역으로 추정된다. 현대 한국식으로 쓰면 '''상대입구역'''내지는 '''상업대역'''이 된다.

3. 폐역


폐역 시기가 불분명한데, 1946년 경성고등상업학교서울대학교 상과대학[3]으로 흡수되었고, 이 시기 역명 변경에 대한 자료가 없는 것을 보아 해방 전후에 폐역된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로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학교의 별관건물이 당시 경성고등상업학교/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건물이었음을 통해 종암동 인근에 있지 않았을까 추측할수 있다.[4]

[1] 위키백과에서는 高商'''專'''驛 / Kōshō'''sen''' Station 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경성고등상업학교를 당시에 고상전(고등상업전문학교)라고 불렀다는 듯 하다. 아마도 高商專의 경우는 고등상업전문학교를 의미하는 것이고, 高商前의 경우는 고등상업전문학교'''앞''' 정도를 의미하는 듯 하다. 구 시청앞역같이.[2] 경성고등상업학교는 당시 연희전문이나 보성전문과 같은 전문학교였다.[3] 현재의 경영대학, 사회대 경제학부[4] 주변 지형으로 봐서 경춘선 성동역 - 월곡역 노선은 정릉천 동편의 아주 좁은 평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여지며 지금의 대림e편한세상 아파트 부지가 고상전역 부지가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