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과의 대화

 



1. 개요


#
1990년 6월 29일 시작된 대한민국 대통령과 국민들의 대화이다. 대통령에 따라 하는 대통령도, 하지 않는 대통령[1]도 있었고 소통 능력을 평가받는 잣대 중 하나가 되기도 한다. 그 시초가 제6공화국의 초대 정부인 노태우 정권 때부터 실시되다 보니 사실상 6공의 정부 운영 기조이기도 하다.

2. 노태우


[image]
국민과의 대화를 시작한 사람으로 당시에는 군부독재 이미지를 벗고 시민들과 가깝다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만들었으며, 저런 소통이라는 개념부터가 거의 없던 시대[2]에서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3. 김영삼


진행하지 않았다.

4. 김대중


[image]
국민의 정부라는 정부명과 걸맞게 국민과의 대화도 가장 활발하게 하였으며 당시 외환위기로 굉장히 시끄러웠던 탓에 주로 나오는 질문은 외환위기 관련 질문이었다. 심지어 남태평양 무인도에 간다면 가져가고 싶은 3가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기도 했다. 사실 이 무인도 질문은 청와대와 계약한 광고대행사가 기획한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 KBS쪽 진행은 봉두완과 정은아, MBC 쪽은 차인태와 김은주, 1999년 SBS 진행은 정범구와 김연주가 각각 맡았다.
당선자일 때 진행한 국민과의 대화에는 배우 유동근이 출연했는데 당시 최고 화제작 용의 눈물에서 맡은 역할에 맞게 친인척 관리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5. 노무현


[image]
역시 진행했으며 권위주의적이지 않던 본인의 성격과 맞게 영화배우[3], 대학생들이 많이 나왔고 본인이 중요하지 않은 대화에는 농담도 던질 정도로 굉장히 밝고 유쾌했다는 듯.
[image]
2005년에는 일본 국민과의 대화도 진행한 적이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평범한 외국인들과 이 정도 규모의 간담회를 연 건 광복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6. 이명박


[image]
이명박 때도 진행되었다. 이때는 '대통령과의 대화'라고 하였는데, 국민의 입장으로 보면 ‘대통령과의 대화’로 칭하는 것이 옳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분위기 자체는 그냥저냥 적당히 밝고 적당히 진지했다. 이때 조국 서울대 교수가 바로 옆에서 여러 가지 질문을 주고받기도 했다. 상단의 사진에서 이명박 바로 옆 단상에 서 있는 사람이 조국이다.
취임 이후 위 노무현 대통령과 비슷한 일본 방송에 출연한 경력이 있다. 이때 사회를 담당한 쿠사나기 츠요시 는 노 대통령의 '일본 국민과의 대화' 사회를 본 전력이 있다.

7. 박근혜


진행하지 않았다.

8. 문재인




[1] 김영삼, 박근혜[2] 과거 박정희가 선거 운동할 때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으로 농민들과 막걸리 한 잔을 한 적이 있긴 있었다.[3] 그 중 하나가 이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