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척

 

[image]
실제 크기로 복원한 신라 금척 사진 출처
'''금척'''(金尺)이란 대한민국의 옛 전설에 나오는 신비한 도구다.
1. 설명
2. 조선시대의 금척담
3. 관련 항목


1. 설명


신라의 초대 지도자 박혁거세가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지는 일종의 .
이것으로 사람을 재면 죽은 사람을 살리고 병든 사람을 고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중국에서 사신이 와서 빼앗아가려 하자 이를 땅에 파묻고 주변에 무덤을 여러 개 만들어 감춰버리고 이후 다시 못 찾았다는 전설이 있다. 이 전설이 얽힌 곳이 경주시 금척리 고분군. 경주 삼기팔괴 중 삼기의 하나로 금척을 꼽는다.

2. 조선시대의 금척담


여기까지만 하면 그저 설화의 일종인데, '''조선에 이르러 그 이름이 다시 등장한다.'''
태조 이성계가 '''꿈에서 신인에게 금척을 받은 뒤 왕이 되었다'''는 내용의 노래를 태조 2년 정도전이 만들어 바쳤으며 이 노래를 몽금척(夢金尺)이라 한다. 원래는 악가로 창제된 고취악(鼓吹樂)이었는데 세종 때 아악(雅樂)으로 개조하였고 성종 때 당악정재(唐樂呈才)로 만들어져 궁중 음악으로 삼았다 한다.


현대에 재현된 몽금척 음악과 정재(무용)
그 외에 용비어천가와 장편 서사시 〈몽수금척송병서 夢授金尺頌幷序〉, ≪죽지사≫의 〈몽금척〉, 고종 때의 〈금척대훈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서 금척 이야기가 나온다.
금척의 왕권 상징은 다음 설화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조실부모하고 고생하며 자란 어떤 머슴이 어느 날 큰 꿈을 꾸었다. 꿈 자랑만 하고 내용 이야기도, 일도 하지 않자 화가 난 주인이 관가에 고발했다. 결국 상급 관리들을 거친 뒤 임금 앞에 가서도 꿈의 내용을 말하지 않으므로 화가 난 왕이 투옥시켜 머슴은 죽을 날만 기다렷다.
그러던 중 그 머슴은 우연히 감옥 안에 들락거리는 쥐를 죽이게 되었는데, 다른 쥐가 자 같은 것을 물고 와서 죽은 쥐의 가로 세로를 재니까 죽었던 쥐가 되살아나는 것을 보고 그것을 빼앗았다. 마침 임금의 딸이 죽을병에 걸려 백약이 무효라는 소문을 듣고 자청하여 그 자로 공주를 살렸으므로 부마가 되었다.
중국의 천자가 그 소식을 듣고는 자기의 딸도 살려 주기를 청했으므로 역시 살려 준 뒤,[1] 그 머슴은 두 나라의 부마가 되었다. 머슴은 두 부인의 시중을 받으면서 비로소 자기가 꾸었던 꿈의 내용[2]을 이야기하였다.
조선의 계속되는 금척 이야기는 신라 시대부터 면면히 전해내려오는 왕권으로서의 상징물인 금척을 이용해 왕권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훗날의 대한제국 시대 최고 훈장의 이름은 여기에서 따온 금척대훈장(金尺大勳章)이었다.
물론 환빠들은 그런 거 없고 민족 대대로 내려오는 천부인적 물건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 고려는?

3. 관련 항목



[1] 판본에 따라서는 천자의 공주는 죽은 지 시간이 좀 많이 지나 처음에는 살아나지 않앗는데, 머슴이 몰래 도망쳐 나왔다가 호랑이가 더 큰 자로 쥐가 동족을 살리듯 다른 호랑이를 살리는 것을 보고 그 자를 얻어 천자의 공주를 살려낸다.[2] 두 발이 각각 해와 달을 밟고 서 있었다. 판본에 따라서는 두 부인의 시중 부분이 좀 더 디테일한데, 두 부인이 각각 금대야와 은대야에 물을 받아 와 발을 씻겨주는 걸 보며 머슴이 '내 꿈에서 해와 달을 밟고 선 게 이걸 예언하는 것이었구나.'하면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