깍지

 

1. 열 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바짝 맞추어 잡은 상태
2. 몽골식 궁술에서 사용하는 도구
2.1. 암깍지
2.2. 숫깍지
2.3. 턱깍지(덕각지)
2.4. 가죽 깍지
3. 콩 따위의 꼬투리에서 알맹이를 까낸 껍질

[clearfix]

1. 열 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바짝 맞추어 잡은 상태



[image]
같은 말로 손깍지가 있다. 커플의 경우에는 가벼운 초기 스킨십으로서 손깍지를 끼고 걷기도 한다. 매체에서는 남녀가 서로의 손을 깍지 낀 모습을 보일때 성관계를 은유하여 H신을 대신하는 장면으로 쓰이기도 한다. 특히 누운 상태에서 얽히는 모습을 보이면 100%.
반대로 전투씬에서 서로 정면에서 달려 들다가 손을 깍지 끼고 마주 본 상태에서 두 팔에 힘을 주면서 치열힌게 힘겨루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자연스럽게 두 상대가 한 장면에 들어오기 때문에 적대 관계, 혹은 라이벌 관계를 강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투씬에서 육탄전을 벌일 때 양손을 깍지 낀 채 상대를 내리치는 장면 등이 있는데 실제로 그렇게 공격한다면 깍지 낀 손가락 뼈가 부러질 수 있다. 실제로 그런 공격을 하려면 한 손으로 주먹을 쥐고 다른 손으로 감싸 쥐어야 한다.
이카리 겐도의 깍지 낀 두 손으로 입가를 가리는 자세도 여러 매체에서 쉽게 볼수 있는 케이스. 작화 예산 절감의 꼼수가 캐릭터에 잘 어울려 의외의 시너지를 낳은 케이스 중 하나다.
과테말라와 같은 라틴아메리카 일부 문화권에서는 깍지를 끼는 것이 죽음을 뜻하는 제스처로 쓰인다. 그래서 어린이가 손을 맞잡는 것만 보아도 기겁을 하면서 손을 떼어 놓는다.[1]

2. 몽골식 궁술에서 사용하는 도구


角指 / Thumb ring
을 쏠 때에 시위를 잡아당기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의 아랫마디에 끼는 , 금속, 나무 등(현대에는 플라스틱으로도)로 만든 기구. 대롱을 엇비스듬하게 자른 모양으로 만든다. 각지(角指)라고 한자 음차하여 쓰기도 하지만 순우리말이다.
깍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2.1. 암깍지


[image]
대표적인 암깍지 형태. 턱이 없는 매끈한 반지형태이며, 넓은 부분으로 엄지 지문부분을 감싼다.
반지의 형상을 한 깍지로, 기마궁술 등 활 말고도 다른 병기를 쓸 때에 걸림이 없고 빨리 사격할 수 있음은 장점이지만, 강궁을 쏘기에는 어려움이 단점이다.한다.


2.2. 숫깍지


[image][image][image]
엄지 둘쨋마디까지 넣고 가죽끈을 이용해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방식이다. 돌출된 부분이 엄지를 대신하게 된다.
강궁을 쏘기 위해 만든 깍지. 반지 형태인 암깍지와는 달리 크게 돌출된 부분을 엄지 대용으로 사용한다. 손가락에 직접적인 압박을 받지 않기에 강궁을 쏘기 적합하나[2] 빠른 사격이나 정밀한 사격이 힘들고 여타 다른 병장기를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병장기를 따로 쓸 일이 없는 현대에는 숫깍지를 쓰는 궁사들도 암깍지 다음으로 많이 보인다. 오늘날 숫깍지는 턱이 달린 물건도 많다.

2.3. 턱깍지(덕각지)


[image]
턱깍지의 모습. 턱이 있어 활시위가 걸릴 수 있게 했다.
암깍지에 턱이 달린 깍지이다. 턱이 달렸기에 활시위가 이탈하지 않고 힘을 안배하기 편하다는 숫깍지의 장점을 일부 포용했지만, 역시 암깍지와 같은 단점이 있다. 현대 국궁인들이 많이 사용한다.

2.4. 가죽 깍지


[image]
[image]
[image]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가죽으로 만든 장갑에 가까운 깍지도 있었는데 '헐겁지'라고 한다. 세 번째 사진에서 엄지손가락을 넣은 부분을 감싸는 끈으로 된 고리 같이 생긴 턱에 활시위를 거는 것으로, 이 고리가 사실상 깍지의 역할을 했다. 일본 매체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흔히들 활장갑을 깍지손에 낀다고 착각한다. 실제로는 활장갑은 줌손(활을 잡은 손)에 끼우고 깍지손에는 헐겁지를 끼웠다.
아무래도 가죽으로 만들었다 보니 활시위를 당길 때의 통증을 줄이는 정도는 여기서 설명한 4가지 깍지 중 가장 낮지만, 활을 쏘다가 깍지가 돌아갈 일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깍지들은 기마궁술을 하다가 깍지가 돌아가기 쉬운 데다가 돌아간 상태에서는 활을 쏠 수 없다. 그래서 손이 아파도(...) 깍지를 다시 돌릴 필요가 없는 도구가 필요했으므로 헐겁지가 나왔다.

3. 콩 따위의 꼬투리에서 알맹이를 까낸 껍질



[1] 출처: <웃기는 리더가 성공한다>, 김진배[2] 조선 효종대 기록에서 숫깍지를 이용하면 궁력이 증대된다는 연구 결과를 기술했다. 깍지의 차이만으로 갑주에 피해를 입히느냐 못 입히느냐를 결정하는 나름대로 중대한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