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大路 / Nambuk-daero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 마평교차로에서 
평택시 고덕면 동고리 고덕교차로까지를 잇는 길이다.
2. 구간
| '''중부대로 45번 국도'''
 수원, 용인 방면
 
 | ← 
 | '''[1] (마평교차로)'''
 
 | → 
 | '''중부대로 42번 국도'''
 이천, 양지 방면
 
 | 
| '''백옥대로''' 용인, 천리 방면
 
 | ← 
 | '''(남리교차로)''' 
 | 
 | 
 | 
| '''신중부대로''' '''42번 국도'''
 수원, 용인시청 방면
 
 | ← 
 | '''(대촌교차로)''' 
 | 
 | 
 | 
| '''백자로 318번 지방도'''
 서리 방면
 
 | ← 
 | '''(원천교차로)''' 
 | → 
 | '''백자로 318번 지방도'''
 천리 방면
 
 | 
| 
 | 
 | '''(덕성교차로)''' 
 | → 
 | '''백옥대로''' 천리, 덕성리 방면
 
 | 
| 
 | 
 | '''(시미교차로)''' 
 | → 
 | '''백옥대로''' 덕성리, 시미리 방면
 
 | 
| '''백옥대로''' 오산, 송전 방면
 
 | ← 
 | '''(화산교차로)''' 
 | ↗ 
 | '''백옥대로''' 시미리 방면
 
 | 
| ↘ 
 | '''화산로''' 화산리 방면
 
 | 
| '''경기동로 82번 지방도'''
 송전, 묘봉리 방면
 
 | ← 
 | '''(묘봉교차로)''' 
 | 
 | 
 | 
| '''양성로 314번 지방도'''
 장서리 방면
 
 | ← 
 | '''(장서교차로)''' 
 | → 
 | '''안성대로 314번 지방도'''
 안성, 고삼 방면
 
 | 
| '''이현배티길''' 산정리 방면
 
 | ← 
 | '''(이현교차로)''' 
 | → 
 | '''이현배티길''' 이현리 방면
 
 | 
| '''양성로''' 산정리 방면
 
 | ← 
 | '''(양성교차로)''' 
 | → 
 | '''양성로''' 남사, 양성 방면
 
 | 
| '''양성터널''' 
 | 
| '''만세터널''' 
 | 
| '''만세로''' 원곡, 칠곡리 방면
 
 | ← 
 | '''(칠곡교차로)''' 
 | → 
 | '''만세로''' 남사, 양성 방면
 
 | 
| 
 | 
 | '''[2] (원곡물류단지교차로)'''
 
 | → 
 | '''원곡물류단지1로''' 원곡물류단지 방면
 
 | 
| 
 | 
 | '''(서안성교차로)''' 
 | → 
 | '''평택제천고속도로 서안성IC'''
 평택, 제천 방면
 
 | 
| '''만세로''' 원곡 방면
 
 | ← 
 | '''(청용교차로)''' 
 | → 
 | '''만세로''' 평택, 청룡동 방면
 
 | 
| '''새말로''' 칠원동 방면
 
 | ← 
 | '''(칠원교차로)''' 
 | → 
 | '''새말로''' 비전동 방면
 
 | 
| '''동삭로 317번 지방도'''
 도일동, 송탄IC 방면
 
 | ← 
 | '''(동삭교차로)''' 
 | → 
 | '''동삭로 317번 지방도'''
 평택, 동삭동 방면
 
 | 
| '''칠괴길''' 칠괴동 방면
 
 | ← 
 | '''(칠괴교차로)''' 
 | → 
 | '''영신로125번길''' 동삭동 방면
 
 | 
| '''경기대로 1번 국도'''
 수원,오산 방면
 
 | ← 
 | '''(송탄교차로)''' 
 | → 
 | '''경기대로 1번 국도'''
 천안,평택 방면
 
 | 
| '''지제로''' 고덕 방면
 
 | ← 
 | '''(지제교차로)''' 
 | → 
 | '''지제로''' 지제동 방면
 
 | 
| '''서동대로 38번 국도'''
 평택항, 포승, 안중 방면
 
 | ← 
 | '''(고덕교차로)''' 
 | → 
 | '''서동대로 38번 국도, 45번 국도'''
 아산, 안성 방면
 
 | 
3. 특징
전 구간이 
45번 국도이며, 마평교차로~대촌교차로 구간은 
42번 국도가 같이 가게 되었다. 4~6차로로 새로 확장개통한 도로이기 때문에 사실상 자동차 전용도로로 만들었다. 물론 자동차 전용도로까지는 아니다. 하지만 전 구간이 80의 제한속도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라 봐도 무방하다.
평택제천고속도로 서안성IC가 이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만약 서울로 가는 도중 
경부고속도로 혹은 
서해안고속도로의 
정체가 심하다 싶으면 이쪽으로 빠져서 용인 일대까지 편하게 올 수 있다.  
또한 최근에 대촌교차로에서 연결되는 
42번 국도의 
신중부대로가 개통되어서 용인 구시가지를 거치지 않고 수원 일대까지 바로 갈 수 있다.
[3]  신중부대로 수원 종점에 있는 영통고가 교차로에서 유턴하면 수원IC, 우회전하면 흥덕IC와 연계되어 서울까지 통행할 수 있다.
 그야말로 경부고속도로의 좋은 대체제가 되었다. 그로 인해 평상시에도 차량 통행량이 많아지고 출퇴근시간대에는 이전보다 교통량이 확연히 늘어나버렸다. 대촌교차로의 신중부대로와 연결되는 램프는 모두 편도 1차선인데 경부고속도로 우회 교통량이 이 램프로 쏠리다보니 최근에는 대촌교차로에서 병목현상이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마평교차로 이북구간은 미개통구간이다. 해당 구간은 거의 10년 넘게 동결된 상황에 놓여져 있다. 한때는 국지도로 격하시켜 개통시켜야 한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이 역시 지지부진했다. 2020년 들어서 국도대체도로로 마평-모현 구간의 개설이 논의가 되고 있다. 또한 차량 통행량이 많이 늘어난 이동읍 일대를 우회하는 대체도로로 이동-운학 국도대체도로도 역시 신설하려고 준비중에 있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