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아프리카 외교전

 

[image]
'''VS'''
[image]
'''남한'''
''南韓
South Korea
''
'''북한'''
''北韓
North Korea
''
1. 개요
2. 내용
3. 아프리카 수교국 현황
3.1. 남한 단독 수교국
3.2. 북한 단독 수교국
4. 결과 및 의의


1. 개요


1948년 남북한 정부 수립 이후 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외교전이다.

2. 내용


1950년대 후반부터 아프리카 국가들이 구 식민지령에서 독립국으로 지위를 갖기 시작해 1960년대가 돼서야 대부분의 국가들이 독립하게 된다. 아프리카 국가들 대부분이 서방 국가인 프랑스, 영국에 의해 과거 식민지배를 받게 되어 보니 당연히 적으로 간주하고, 그에 대한 반대로 식민지 때부터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여 국가를 가졌다. 그로 인해 1960년대 이후 아프리카 국가들이 친소련, 친북한 국가로 가게 된 것이다. 한국도 당시에 아프리카 국가들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였지만, 이러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행적으로 수교까지 가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 아프리카 국가들과 북한이 당시 관계가 좋았던 이유도 이러한 프랑스, 영국, 미국 등에 대한 반제국주의 성향을 명목으로 내세운 점에서 찾을 수 있으며, 북한도 아프리카의 사회주의 계열 단체에 지원하는 것은 물론 사회주의 성향의 독재자 지원도 해주었다.
이 때문에 한국이 아프리카 외교에서 항상 고전했던 적이 많았다. 그나마 한국과 친했던 국가는 가봉, 사회주의 국가 되기 전의 에티오피아 제국 정도였다. 게다가 에티오피아는 마지막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가 직접 자국군을 파병한 6.25 전쟁 참전국으로서 최우선 수교 대상국이었기 때문에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 빨리 관계가 발전하였고, 황제였던 하일레 셀라시에가 방한을 가질 정도였다. 하지만 1975년 사회주의 성향 군인들의 쿠데타로 인해 공식적으로는 단교까지 안 갔지만 사실상 단교 상태였기 때문에 관계가 멀었던 시절이 있었다.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우 한국전쟁 당시 전투병 파병국이어서 남한과 관계가 좋을 법도 했지만, 아파르트헤이트 때문에 국제 여론이 대단히 나빠서 대한민국도 이를 따라서 공식 수교를 하지 않고 경제 분야와 같은 민간 교류만 행하였다.
가봉 같은 경우는 북한과 외교 경쟁에서 자주 충돌이 있었던 국가 중 하나였다. 수교는 북한보다 빨리 1962년에 맺었다. 가봉은 제3세계 국가들 중 하나였지만 프랑스의 영향으로 친서방 외교도 중시했기 때문에 한국이 가봉과도 관계에서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이다. 1970년대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오마르 봉고 대통령을 방한 성사를 가지는 등 극진히 대접하고 한국 자본으로 가봉에 진출하는 등 상당히 공을 들이기도 했다. 하지만 전두환 대통령 집권 초기 북한 애국가를 틀어버려서 관계가 멀어질 뻔한적이 있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88올림픽 유치 당시 아프리카 국가들이 올림픽 개최지를 서울로 지지했다는 것을 알고 전두환 대통령이 이에 대한 보답으로 아프리카 순방 준비 도중에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인해 순방 자체가 중단된 일이 있었다. 테러 사건으로 인해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북한과 단교를 하여 한국과 북한의 아프리카 외교에서 역전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 후에 대한민국 정부는 아프리카 국가들과 수교를 맺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88올림픽 이후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으로 인해 구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아프리카 국가들과 재수교 및 국교정상화를 맺는 데 결실을 이루게 된다.

3. 아프리카 수교국 현황



3.1. 남한 단독 수교국


국가명
수도
제1공용어
통화
정치형태
남북한 수교현황
레소토
마세루
소토어
LSL
군주제
남 1986, 북 미수교
보츠와나
가보로네
츠와나어
BWP
공화제
남 1968, 북 미수교
에스와티니
로밤바
스와티어
SZL
군주제
남 1968, 북 미수교

3.2. 북한 단독 수교국


국가명
수도
제1공용어
통화
정치형태
남북한 수교현황
전 세계적으로 적고 아프리카에는 아예 없다.

4. 결과 및 의의


1990년대 이후 북방정책이 성공을 이루며 사실상 한국의 승리로 끝이 났다. 북한은 1980년대에 들어 경제가 악화되어 아프리카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축소시킬 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정치적으로 오랫동안 지켜온 반제국주의 명목으로 북한을 지지하는 아프리카 국가들도 많다. 아직도 아프리카 몇 국가들에 가면 북한기념비가 여전히 존재한다. 전반적으로는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한국의 경제지원은 물론 군사협력도 강화하기 시작해 친한쪽으로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는 특이하게 보츠와나는 북한의 인권문제를 들어서 단교하는 일이 있었다. 이 기점으로 보츠와나와 한국의 관계가 급속도로 가까워지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