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6.25 전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Guiness World Records'''
[image]
''Most countries to support an ally in war
(가장 많은 나라가 단일 연합국으로 참전한 전쟁 )''

'''장소
(Where?)'''
'''대상
(Who?)'''
'''규모
(scale?)'''
'''등재 시일
(When?)'''
'''KOREA (REPUBLIC OF) (SEOUL)'''#
KOREAN WAR
67개국
2010년 9월 2일
''Longest ceasefire without a peace treaty
(종전 없이 지속된 가장 긴 휴전)''

'''장소
(Where?)'''
'''대상
(Who?)'''
'''규모
(scale?)'''
'''등재 시일
(When?)'''
'''KOREA (NORTH)'''#
SOUTH KOREA, NORTH KOREA
'''25813'''일('''현재 진행형''')
2011년




















'''6·25 전쟁 · 한국전쟁 · 조선전쟁'''
'''六二五戰爭 · 韓國戰爭 · 朝鮮戰爭
Korean War'''

1951년 퓰리처상 수상작
'''《Flight of refugees across wrecked bridge》, Max Desfor'''[1]
'''기간'''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경 - '''현재'''
(1953년 7월 27일 22시 이후 정전 상태)
개전일 기준26940일째
'''장소'''
한반도 본토 전역과 도서 지역[2]
'''원인'''
북한의 적화통일 야망
'''교전국'''
[image] '''유엔군'''
[image] '''공산군'''
[image] 대한민국
[image] 미국
[image] 영국
[image] 캐나다 자치령
[image] 호주
[image] 뉴질랜드
[image] 남아프리카 연방
[image] 프랑스 공화국
[image] 에티오피아 제국[3]
[image] 터키
[image] 벨기에
[image] 네덜란드
[image] 룩셈부르크
[image] 태국
[image] 필리핀
[image] 그리스 왕국
[image] 콜롬비아
<^|1>[imag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image] 소비에트 연방
[image] 중국인민지원군[4]
'''의료 지원국'''
<^|1>[image] 스웨덴
[image] 노르웨이
[image] 덴마크
[image] 이탈리아[5]
[image] 인도
[image] 독일 연방 공화국[6]
<^|1>[image] 독일 민주 공화국
[image]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image] 헝가리 인민 공화국
[image]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image] 인도[7]
[image] 폴란드 인민 공화국
'''물자 및 기타 지원국'''
<^|1>
[ 펼치기 · 접기 ]
[image]일본[70][71]
[image] 과테말라
[image] 이스라엘
[image] 아르헨티나
[image] 우루과이
[image] 코스타리카
[image] 멕시코
[image] 도미니카 공화국
[image] 베네수엘라
[image] 이란 제국
[image] 오스트리아
[image] 라이베리아
[image] 레바논
[image] 리히텐슈타인
[image] 모나코
[image] 바티칸
[image] 베트남국
[image] 사우디아라비아
[image] 파키스탄
[image] 스위스
[image] 이집트 왕국
[image] 스페인국
[image] 쿠바 공화국[72]
[image] 버마
[image] 중화민국(대만)
[image] 시리아[73]
[image] 인도네시아
[image] 아이슬란드
[image] 헝가리 인민 공화국[74]
[image] 엘살바도르
[image] 아이티

<^|1>
[ 펼치기 · 접기 ]
[image] 몽골 인민 공화국[75]

'''지원 의사 표명국'''
<^|1>
[ 펼치기 · 접기 ]


'''지휘관'''[8]
<^|1>
[ 펼치기 · 접기 ]
[image] '''이승만'''
[image] 신성모
[image] 채병덕
[image] 임부택
[image] 백선엽
[image] 이형근
[image] 손원일
[image] 유승렬
[image] 이응준
[image] 김종오
[image] 유재흥
[image] 이성가
[image] 이종찬
[image] 백인엽
[image] '''해리 S. 트루먼'''
[image]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image] 조지 C. 마셜
[image] 로버트 A. 로빗
[image] 찰스 어윈 윌슨
[image] 오마 브래들리
[image] J. 로턴 콜린스
[image] 포레스트 P. 셔먼
[image] 윌리엄 펙텔러
[image] 호이트 반데버그
[image] 나프탄 F. 트위닝
[image] 토머스 D. 화이트
[image] [image] 더글러스 맥아더
[image] [image] 매슈 리지웨이
[image] [image] 월튼 워커
[image] [image] 제임스 밴 플리트
[image] '''조지 6세†'''
[image] '''엘리자베스 2세'''
[image] '''윈스턴 처칠'''
[image] '''클레멘트 애틀리'''
[image] '''루이 생로랑'''
[image] '''로버트 멘지스'''
[image] '''아드난 멘데레스'''
[image] 타흐신 야즈즈
[image] '''하일레 셀라시에'''
[image] 케베데 게브레[76]
[image] '''뱅상 오리올'''
[image] 라울 마그랭 베르느레
[image] '''레오폴드 3세'''
[image] '''보두앵'''
[image] '''조제프 폴리앵'''
[image] '''라마 9세'''
[image] '''엘피디오 키리노'''
[image] '''파블로스 1세'''
[image] '''라우레아노 고메스'''

<^|1>
[ 펼치기 · 접기 ]

'''병력'''
최소 92만명[9]
+전투협조 병력
약 120만여 명
'''결과'''
휴전[10]
'''영향'''
미소 주도의 냉전 체제 가속화
분단 고착화와 남북 체제 대결 심화
남북 독재체제 수립
휴전선 형성
이산가족 발생
'''피해규모'''
<^|1>• 군인 26만 명 전사[11]
• 민간인 100만여 명 사망 추정
• 민간인 납북, 월북
• 공업 기반의 절반 소실, 30억 달러 또는 국부의 1/4 손실[12]
<^|1>• 군인, 민간인 최소 250만여 명 사망[13]
• 민간인 월남
• 전력의 74%, 연료 공업 89%, 화학공업의 70% 소실
'''6.25 전쟁의 전개 과정'''[14]
1. 개요
2. 명칭
3. 상세
4.1. 유엔군
4.1.2. 미국
4.1.3. 캐나다
4.2. 공산군
5. 기타
6. 다룬 책
6.1. 학계
6.2. 군사적 자료
6.3. 다큐멘터리
7. 관련 작품
7.1. 문학
7.2. 영화
7.3. 드라마
7.4. 뮤지컬
7.5. 만화, 애니메이션
7.6. 게임
7.7. 노래
7.8. 미술작품
7.9. 동영상
8. 어록
9. 유사사례
10. 관련사건
11. 다른 위키의 한국전쟁 문서
12.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로 진입한 북한군
인천상륙작전
'''압록강 물'''을 수통에 담는 한국군[15]
백마고지 전투
'''6·25전쟁'''() 또는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4시경 북한군이 암호명 '폭풍 224'라는 치밀한 사전 계획에 따라 북위 38도선 전역에 걸쳐 대한민국선전포고 없이 기습적으로 불법 남침[16]을 감행하여 발발한 전쟁으로, 유엔군중국 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한 국제전으로 비화되어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기까지 3년 1개월 간 교전이 이어졌으며, 2021년 현재까지 끝나지 않은 전쟁이다. 이오시프 스탈린이 김일성의 남침을 역 이용해, 극동아시아의 미소냉전 사이에서 승기를 잡으려 한 의도가 있어 대리전 양상을 띄기도 한다.[17]
6·25전쟁의 평화 협정(Peace treaty, 종전 협정 또는 강화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아직도 진행중인 전쟁이지만 남북 양측의 시민들에 있어 전쟁중이라는 인식은 드물다. 이는 법적으로는 평시(平時) 상황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시(戰時)에 시행되는 비상 법령을 계속 발동하기에는 유례없이 긴 휴전이 지속되고 있는 중이라, 준전시(準戰時)라는 특수한 대치 상태로 구분된다. 대법원의 판례는 지금이 '전시'인지 '평시'인지 명확하게 입장을 내린 적이 없으며 사안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국회 또한 그렇다. 대표적인 사례로, 전쟁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과 남북관계의 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이 동시에 공존하고 있다.
남북의 지도자가 전쟁 상대인 적대 세력 원수를 만나고 스포츠 행사를 공동으로 진행하는 등의 일도 이러한 특수한 상태이기에 가능한 것이다. 비록 휴전 중이라고 하나 6·25전쟁은 아직까지 종전되지 않고 엄연히 전쟁이 진행 중이기에 지금 이 순간에도 가장 오래 지속되는 전쟁으로 세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참고로 2020년 6월 25일은 6·25전쟁 발발 70주년이며, 휴전 이래로도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18]이 있고 징병제가 유지되는 등 아직 전쟁이 유효함을 실감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결과 함께 전개된 냉전 구도가 열전(熱戰)으로 폭발한 사례 중 하나로 꼽히며, 김일성이 소련과 중국의 도움을 받아 남한을 침략하면서 벌어진 전쟁이다.
6·25전쟁에서 각각 통일에 실패한 대한민국과 북한은 이후 한반도의 정통 국가로서의 정통성을 걸고 체제 대립을 하게 되었고 이는 국가 운영과 국민 여론 및 국민의식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까지 이 전쟁으로 굳어진 각 체제(體制, Regime)는 유지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이 전쟁으로 경제적으로 크게 부흥하였고, 제2차 국공내전으로 풍전등화와 같은 상태에 내몰린 중화민국(대만)중화인민공화국이 병력을 한반도로 투입하는 바람에 살아나게 된다.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을 이루는 데 실패하고, 국제사회에서 침략자로 규정되어 20년 넘게 외교적 고립을 면하지 못하는 등 현대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다.

2. 명칭


일반적으로 전쟁은 분쟁의 주체, 전투는 발생한 장소를 그 명칭으로 쓴다. 반면 이 전쟁은 (대한민국 기준으로는) 발발한 날짜가 전쟁의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및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공식적으로 '6·25전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관습적으로 날짜-사건을 조합해 6·25전쟁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영어로는 The Korean War라고 부른다. Korean War라는 이름은 자유민주주의 진영에서 전쟁을 주도한 UN군 사령부에서 붙인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를 '한국전쟁'으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다. 이 명칭 외에도 6·25전쟁을 호칭하는 몇몇 어휘들이 있는데, 가령 북한에서는 조선전쟁 혹은 조국해방전쟁이라고 부른다. 북한은 한국을 인정하지 않는 동시에 자신들을 '조선'이라 칭하므로 '조선전쟁'이라 하는 것이다.
한편 중국에서는 조선전쟁 혹은 미국에 대항해 조선(북한)을 지원한 전쟁이라는 의미의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战争)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 임진왜란을 부르는 표현은 보통 '만력조선지역'이지만, 항왜원조전쟁(抗倭援朝战争)이라고도 한다. 이는 왜적에 대항해 (명나라가) 조선을 지원한 전쟁이라는 의미로 6·25를 의미하는 항미원조와 대상만 다르다. 중국 측이 6·25전쟁을 어떤 식으로 바라보는지를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도 전쟁을 중립적으로 바라보고자 할 때에는 조선전쟁(朝鲜战争)이라 칭한다.
일본에서는 조선전쟁(朝鮮戦争, 초센센소), 조선동란(朝鮮動乱, 초센도란) 이라고 부른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한국(韓國)을 한반도 남반부의 국가(대한민국)에 한정된 의미로 보고 조선(朝鮮)을 '한반도' 혹은 '한민족'을 일컫는 말로 쓰기 때문에 '조선전쟁'이라는 용어를 쓴다.
대만의 중화민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전(韓戰)이라고 부른다. 대만에서는 베트남 전쟁도 월전(越戰)으로 부르고 있다. 다만 대만에서도 지명으로서는 조선(朝鮮)이 더 익숙하기에 민간에서는 조선전쟁(朝鮮戰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52년 공보처에서 발간한 정부간행물 "6·25사변 피살자 명부"와 1952년 국방부에서 간행된 정부간행물 "한국전란지"로 표현되기도 했다. 행정관서에서는 주로 '6·25'로 표기했다. 1973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제정한 각종 기념일에 관한 규정에서도 6·25사변일(六二五事變日)이 등장하고, 2014년 3월 24일에는 6·25전쟁일로 개정되었다. 반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한국전쟁이 등재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전쟁이 발발한 날짜를 근거로 6·25 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6·25사변 또는 6·25동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경인년(庚寅年)에 공산주의자들에 의해서 발발한 난(亂)이라고 하여 경인공란(庚寅共亂)이라는 별칭도 있지만 이는 주로 우익 보수 진영, 그것도 지금의 노년층에 해당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나 간혹 비공식적으로 썼지 현재는 해당 진영에서도 쓰이지 않는다.
6·25전쟁이란 말은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단어로 한국적인 자주성, 주체성을 강조하지만 국제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 한편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Korean War라는 명칭은 객관성 중립성을 보여준다고는 하나, 그 번역어인 '한국전쟁'은 엄밀하게 말해 중립적이지는 않다. 전쟁의 한쪽 주체인 북한에서 스스로를 '한국'이 아니라 '조선'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한국'과 '조선'은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아무튼 한국학계에서는 학자들의 입장에 따라서 대체로 '''6·25전쟁''' 또는 '''한국전쟁'''으로 쓰인다. 2011년 한국전쟁학회에서 김명섭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한국전쟁이란 용어를 사용할 경우 '''전쟁 발발 책임이 모호해지거나 전도될 우려가 있다'''면서 6·25전쟁이라 부르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6·25가 당시 미소 냉전체제 하에서 국제전의 성격을 띤 점을 감안하면 이 전쟁의 영문 표기는 '1950~53 한국 6·25전쟁(the 6·25 War in Korea 1950-53)' 혹은 '1950~53 한국 공산주의자 전쟁(the Communist War in Korea 1950-53)'으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The Korean War를 한국전쟁으로 번역하는 것은 '조선'과 '한국'이 가지는 역사적, 개념적 차이를 간과한 것으로 기계적인 번역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조선일보 전병근 기자는 한국전쟁이라는 용어가 1980년대 미국의 수정주의 학자인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교수의 책 '한국전쟁의 기원'(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Vol.1, 1981년 출간·국내에는 1986년 번역·출간)이 국내에 소개되는 과정에서 국내 좌파들에게 확산됐다는 기사를 썼다.기사
국방부에서 발간한 군 공식간행물을 보면 1952년부터 2004년까지 발간된 서적은 제목이 '한국전쟁'으로 되어 있었지만, 2004년부터 '6·25전쟁'이 사용되기 시작해 2005년부터는 6·25전쟁 한가지만 사용하고 있다.[19] 국방부 지정 공식 용어가 과거에는 한국전쟁이었으나 2004년부터 6·25전쟁으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 중인 단행 자료를 검색하면 1980년 이전에 발간된 자료 중 제목이 한국전쟁으로 되어 있는 자료는 제목이 6·25로 되어 있는 자료보다 2배가 더 많이 검색되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출판계나 학계에서도 '한국전쟁'이란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20]
한국의 역사에서 벌어진 전쟁이 6·25전쟁만 있는 게 아닌데 한국전쟁이라고 부르는 것은 혼동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고, 6·25가 사건의 성격을 포괄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5·18민주화운동이나 6·10만세 운동 등도 바꿔야 하느냐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유럽에서도 2월 혁명이나 7월 혁명처럼 사건이 발생한 시기에 근거해 명칭을 부여한 예가 존재하므로 6·25전쟁이라고 쓰는 것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역사적 용어는 해당 사건을 어떻게 보는가, 즉 역사관이 반영된 것으로써 날짜 또한 그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미국 의회에서는 군사적인 충돌의 의미를 가진 'conflict'라는 단어를 사용해 6·25전쟁을 지칭했다. 6·25전쟁이 대규모 국제 전쟁으로 비치면 안된다고 봤던 트루먼 대통령과 미국 의원들에 의해 'war'라는 단어의 사용이 사실상 금기시되었다. 6·25전쟁이 World War III가 될 수도 있었기 때문에 대중에게 6·25전쟁이 '전쟁이지만 전쟁 같이 느껴지지 않도록' 이를 축소하여 지칭한 것이었다.(당시엔 'Korean Conflict'라 불렸다.[21]) 후에 6·25전쟁이 정치인들의 손에서 역사가들의 손으로 넘겨질 때 쯤, 'war'가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대한민국과 북한이 싸웠다고 해서 남북전쟁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미국의 내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져 있기에 쓰이지 않는다.

3. 상세


직접적 원인은 김일성이 전쟁을 일으키면 한반도 적화통일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도박을 건 것이다. 과거에는 남북 정부 수립 이후 38선에서 있었던 군사적 충돌이 발전한 것이라는 내전설, 미군과 한국군이 북한의 남침을 유도했다는 남침유도설 등이 주장된 바 있으나 1990년대 러시아 정부에서 소련의 기밀문서를 공개하면서 논쟁은 사라졌다. 공개된 소련의 기밀문서에는 김일성이 전쟁 전 소련의 지원을 요구하는 자료가 남아있고 이에 소련은 중국과 지원 방안 및 개입 정도에 대해 사전에 논의한 부분이 확인되었다.
2010년 이후 국지전 연구가 진전됨에 따라 6·25전쟁을 외적 기원(김일성 또는 스탈린의 기획)과 내적 기원(내전의 확대)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발생한 것으로 보는 복합기원설에 국제적으로 힘이 실리고 있다.[22]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6·25전쟁에 대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23]에서 6·25전쟁에 대한 명확한 원인과 기원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주장이 대립하고 있으며, 주류 역사학계의 정설은 존재하지 않는다.[24]
소련에서는 지원에 소극적이었지만, 중공군으로 위장한 파일럿들을 일부 보낸 바 있다. 이 파일럿들의 통신이 감청되기도 했지만 소련이 개입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될 경우 제3차 세계대전을 우려한 미군과 UN군에서는 이를 일부러 무시했다. 6·25전쟁이 무조건 한반도 내의 국지전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생각을 가진 당시 미 대통령 트루먼 입장에서는 자꾸 전쟁을 키우려고 하는 맥아더가 굉장히 위험한 인물로 인식되었다. 당시 맥아더는 중국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장제스와 함께 중국 해안에 상륙하자'''는 작전을 구상했다고 한다.
결국 트루먼에 의해 해임된 맥아더는 일단 전쟁영웅으로 미국에 귀국하지만 이후 미 의회 상원위원회 청문 과정에서 그 진실이 까발려져 명예를 실추당한다. 한편 6·25전쟁이 제3차 세계대전으로 확전되면 안 된다고 봤던 사람은 트루먼 뿐만이 아니었다. 세간에 공개된 스탈린의 서필에 의하면, 스탈린 역시 6·25전쟁이 제3차 세계대전으로 확전될까봐 노심초사했다.[25][26] 양측 모두 확전의 두려움에 자기들 나름대로 어느 정도의 전쟁 억제력을 확보해 전쟁이 커지는 것을 막은 것이다.

3.1. 전쟁 발발




3.2. 전쟁의 전개




3.3. 미군의 참전과 역할




3.4. 전쟁의 영향




3.5. 전쟁에 대한 인식




3.6. 관련 기록




3.7. 6.25 전쟁 10대 미스터리




3.8. 6.25 전쟁 결과의 대체 역사




4. 전쟁범죄



4.1. 유엔군


'''※ 유엔군, 국군, 미군, 우익이 저지른 학살 행위는 6.25 전쟁 학살/유엔군, 국군, 미군, 우익 문서 참조.'''

4.1.1. 대한민국


반공이 국시였던 지난 세기에는 "북한의 사악함과 국군의 영웅적 희생"을 강조하기 위해 사실상 은폐되었지만, 대한민국 정부와 국군은 전쟁 범죄의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대표적으로 보도연맹 학살사건(경산 코발트탄광 학살사건)과 거창 양민 학살사건이 있는데, '''대한민국 국군''' 및 서북청년단과 같은 극우 단체에 의해 10만~30만 명의 38선 이남 거주 '''대한민국 국민'''이 학살당한 사건이다.
그나마 유엔군이 전쟁범죄 행위에 동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학살을 저지르는 한국군 및 경찰을 유엔군이 저지하여 목숨을 건진 케이스는 있다. 영국군이 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 당시 추가적인 학살을 막은 사례 등.
그 외에도 한강 인도교 폭파, 소년병 징집(자발적으로 종군한 학도병과는 별개), 국민방위군 사건, 한국군 위안부 등이 있다.

4.1.2. 미국


6.25 전쟁에 참여한 여러 군대 중에서 그나마 가장 신사적이었다. 물론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완전히 깨끗하다는 뜻은 아니다. 한국군, 인민군, 중공군은 물론이고, 미군 스스로가 저지른 학살까지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NARA)에 모조리 사진과 자료로 남겼다. 그렇게 남은 미군의 대표적인 학살 사건은 제1기병사단이 했던,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이다. 그 밖에 세균전을 행했다는 의혹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미국측도 이를 부인하고 있다.

4.1.3. 캐나다


한국전쟁 당시 캐나다군도 한국 양민을 대상으로 학살과 전쟁범죄를 벌인적이 있다.

4.2. 공산군


'''※ 공산군과 좌익이 저지른 학살행위는 6.25 전쟁 학살/인민군과 좌익 문서 참조.'''

4.2.1. 북한


소위 인민재판으로 알려져 있는 행위가 가장 유명하다. 지역주민을 모아놓고 지역 유력가, 정치인 등을 처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였다.
또한 안재홍, 김규식, 조소앙, 정지용, 손진태, 박열, 정인보, 이광수, 방응모 등 유명인사들을 납북하였다. 납북자의 88.2% (84,659명)가 한국 전쟁 발발 이후 3개월(1950년 7월~9월) 동안에 납북되었으며, 그 중 80.3% (77,056명)가 자택이나 자택 인근에서 납치되었다. 납북된 한국 인사 중에는 법조인이 190명, 교수 및 교원이 863명, 언론인이 226명이었다.[27] 또한 이러한 납치의 기획은 전쟁중에 뿐만아니라 전쟁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생산된 북한 당국의 문서에서도 확인이 된다.[28][29]한국전쟁 납북사건 자료원
그 외에 포로에 대한 처우가 처참했다는 말도 있다.

선제공격으로 6.25 전쟁을 일으켰으면서,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정전 협정을 위반하고 계속해서 대남도발을 자행하고 있다.

4.2.2. 중국


흔히 삼대기율 팔항주의를 들먹이며 중공군은 범죄가 없는 깨끗한 군대였다는 환상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사실 전쟁범죄가 아예 없었다기보다는 중국 지휘관들이 아군도 자주 처벌[30]해서 나온 이야기에 가깝다.[31] 식량을 배급하지 않고 행군을 시키거나, 낄낄 웃으며 포로들을 쏴죽이거나, 채찍 등으로 구타, 부상당한 포로들을 산 채로 불태우는 등 중공군도 각종 전쟁범죄를 저질렀다. 이하는 전부 중공군에게 포로로 잡혔던 UN군 장병들이 증언한 내용이다.
''''6.25전쟁''''이나 ''''한국전쟁''''으로 부르는 한국과 달리 중국은 미국에 대항해 북한('조'선)을 지원했다는 뜻의''' '항미원조 전쟁''''이라고 부른다.중국의 6.25전쟁 시각

'''수용소에 있던 포로 일부는 손이 뒤로 묶인 채 살해되었고, 부상당한 포로들은 수류탄 혹은 몸에 기름을 부어 불을 붙여 태워 죽였다.'''

중공군에게 잡힌 UN군 포로 중 건강하거나 걸을 수 있는 상태의 부상자들은 수용소까지 걸어갔고, 심각한 부상을 입은 자들은 그 자리에 버려두고 가거나 총살시켰다. 포로들이 죽은 이유는 대부분 위생관리 부재, 식량 부족, 이질, 폐렴 등이었다. '''중공군들은 소량의 식량을 주거나 아예 주지 않았고, 배급된 식량 또한 영양가가 없었다.'''

또 중공군은 포로들을 자그마한 철장에 가두고 살을 에는 추위에 맨발로 서 있게 하거나 찬물에 몸을 담갔다 빼게 하곤 했다. 적군은 포로들을 두들겨 패고 물로 가득한 구덩이에 한동안 집어넣기도 했다.

죽음의 수용소들 중 한 곳은 '동굴'이라는 이름의 수용소였다. 이곳에 보내진 포로들은 담요도 없고, 화장실 시설도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생활했다. 벨리 아타소이 병장은 이러한 포로수용소들 중 한 곳인 450M짜리 터널에서 며칠을 지냈는지 모르며, 이틀에 한 번 주 모래 섞인 보리밥을 먹으며 목숨을 부지했다고 한다.

- '터키인이 본 6.25 전쟁' 지음 : 알리 데니즐리, 옮김: 이선미, 감수 이난아

중공군은 부상당한 나를 다른 포로들과 함께 차에 태우고 새끼줄로 묶었다. 차는 여차하면 전복 될 것만 같았다. 자동차 바퀴는 울퉁불퉁한 돌 길 위를 지나갔다. 부상자들 중 자동차에서 떨어지는 사람도 있었다. 떨어진 사람은 다시 차에 태우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총을 쏴 죽여 버렸다. '''중공군들은 이런 광경을 보고 낄낄거리며 웃었다.''' 내 옆에 앉아 있던 흑인 미군 한 명이 떨어졌다. 그는 밧줄을 붙잡고 차 뒤에 질질 끌려오다가 힘이 빠지자 그 줄을 놓았다. 중공군 중 한 명이 그의 머리에 총을 쏘았다. 그러다 중공군 한 명이 내게도 총을 발사했다. 총알이 내 머리카락 사이에서 머리에 닿을 듯 지나갔다.

- 터키군 무자페르 쉔부르치 하사의 증언

장진호 전투 제 3 일 째인 11월 30일 저녁까지 사망자는 수백 명에 이르렀으나 땅은 얼어 붙어서 파지지 않았다. 시체들은 잘라 놓은 목재처럼 세 겹, 네 겹으로 쌓아 올려졌다. 12월 1일 오후 1시를 기해 포위 돌파전은 오후 늦도록 일대도살극을 연출했다. 이날 오후 늦게 대열이 유린 되자 '''중공군은 부상병들이 실려 있는 트럭으로 기어 올라가서 무력하게 누워 있는 아군 부상병들을 쏘고, 찌르고 했다.''' 또 어떤 차에 휘발유를 끼얹어 '''부상병들을 산 채로 불태우기'''도 했다. 대열을 벗어나 도망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것은 명백하고 완전한 살인이었다. 나는 열두 평생을 살아도 다 하지 못할 너무도 많은 아픔과 피, 죽은 자와 다친 자들을 보았다.

- 미 육군 7사단 제임스 블롬 하사의 증언


5. 기타


  • 소련은 김일성 주석이 모스크바에서 스탈린에게 46번이나 (!!) 남침허가를 조른까닭에 영토안에서의 교전만 허가했을뿐 전면적 남침을 허가한적이 없다. 오히려 미국과의 충돌이 두려워 김일성이 북한을 말아먹기 직전에도 참전하지 않다가,중공군과 인민군의 공군력이 너무나도 형편없어서 약간의 소련공군의 참전허가를 내렸지만 38선 위 북한 점령지역 에서만 작전을 허가했다. 독소전쟁으로 한 세대 전체가 갈린거나 다름없는 소련이 5년만에 미국과 싸우는게 부담되어 참전 소련공군 에게 한국어, 중국어, 몽골어 등 러시아어를 사용못하게 했지만 생판 모르는 외국어를 강요당하다 보니 사고가 빈번하고 작전 진행 자체가 방해되어 암암리에 교신 중 러시아어를 사용했고 이를 미국이 감청을 통해 소련공군이 참전한걸 파악했다. 그렇지만 소련이 미국을 두려워 했던 것 처럼 미국도 소련을 부담스러워해[32][33] 소련군의 참전사실을 극비에 부쳐 모르쇠로 일관했다 90년대가 돼서야 사실이 밝혀졌다.
  • 미국의 역사학자 존 톨랜드가 윌리엄 딘 장군의 유족을 찾아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당시 딘 장군이 전쟁 중에 얻어먹었던 음식 중 하나가 마늘 장아찌였는데, 딘 장군은 마늘 장아찌의 맛에 매우 감탄하여 일부러 하산해서 더 얻어오기까지 했다. 전후 샌프란시스코 육군장교회관에서 백선엽(1920~2020)과 점심을 먹으면서 그가 하는 말이 "백 장군, 요즘 내가 말이지요, 김치를 잘 담근답니다. 한국에서 생활하다가 김치 맛에 푹 빠졌나 봅니다." 였다고.
  •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전선 각지의 부대에 알리는 전보를 쳤던 사람 중 한 명이 바로 송해였다고 추정된다. 고향이 이북인 송해는 6.25 전쟁 당시 전보병으로 근무했는데, KBS2 김승우의 승승장구에 출연하여 몇 십 년이 지난 지금도 생생히 당시에 쳤던 모스 부호를 기억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앞서 소개된 이승만과 로버트슨의 소휴전회담 중 1번 항목의 상호 안전보장 조약은 한미상호방위조약으로 결실을 맺었다.
  • 이오시프 스탈린은 6.25 전쟁 중 인민재판에 대한 정보를 전파받자마자 "김일성 동무는 이 미친 짓을 규제하지 않고 무얼 하는 건가?"라며 격분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공산군이라는 집단은 인민의 협조를 얻는 것을 미덕[34]으로 삼는 집단인데 그 인민에게 반감을 불러 일으키는 짓을 하는 건 정신나간 행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스탈린에게는 충격적이겠지만 인민재판을 도입한 것은 다름아닌 김일성 본인으로, 스탈린은 자제하길 바랬던 그 짓을 김일성은 되려 자기가 앞장서서 부하들에게 명령한 것이다.
  • 이 전쟁에서 양측이 한반도에서 사용한 탄약량은 2차대전기 유럽 전선 전체에 쏟아부은 것에 비견될 정도로 많다.[35] 전선이 교착된 후에는 하루에 수십 만 발을 쓰기도 해서 '밴플리트 탄약량'이라는 소비량 단위 신조어가 생기기도 했다. 아이러니한 것은 6.25직전의 국지전 때 국군 포병대가 사용한 탄약량을 보고 '좀 아껴 효율적으로 쓰라'며 탄약보급량을 줄이고 탄약고를 걸어잠근 것이 미국 고문단이었다는 것. 근데 이건 고문단의 잘못이 아니라 초기 한국군이 대책없이 탄약을 낭비한게 문제였다고 보는게 맞다. 미군이 1949년 6월에 5100만발의 각종 탄약을 제공했는데 6개월동안 3000만발 이상을 소모했다. 그 와중에 옹진반도에서는 6일동안 105mm 곡사포탄 5,572발, 각종 박격포탄 19,000여발을 포함하여 100만발 이상을 소모했고 전과는 북한군 69명 사살. 거의 북한군 한명 죽이는데 14,700여발을 쓴거다. 포탄만 따져도 1명당 350발을 넘기는 판이라 고문단장인 로버츠 준장이 한국군이 탄약을 너무 낭비하니 달라는대로 주면 답이 안나온다는 소리를 할 지경이었다. 참고로 당시 1개 포병대대가 동원되었으니 15문의 야포가 투입된 셈이니 1문당 하루에 62발을 갈겨댄 셈인데 미군 포병의 탄약 제한이 105mm 야포는 하루에 50발로 제한되어 있었고 저 양이 크게 부족한것도 아니었으니 얼마나 갈겨댔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저렇게 탄약을 소모해서 전과라도 있었으면 모를까[36][37] 그렇게 갈겨서 올린 전과가 최대로 잡아도(즉 모든 적 병력이 105mm탄에 죽었다고 가정할 경우) 69명 사살하는데 그쳤으니 제한을 걸어도 할 말이 없다.
  • 6.25 전쟁 중 미군의 흑백인종 통합 운영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인 미 육군 부사관, 아이작 우더드(Isaac Woodard, 1919~1992)병장 피격사건으로[38] 제33대 미합중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은 유색인종 차별을 개선하기 위해 1948년 7월 26일 행정명령 9981호를 통해 미군 내의 인종간 분리정책 폐지를 명령했다.[39] 당시 미 해군과 공군은 즉시 대통령의 명령을 수용했지만, 보수적인 미 육군과 해병대는 그렇지 않았다. 미 극동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 원수를 비롯한 당시 대다수 미 지상군 고위 지휘관들은 미 합중국 대통령의 이 행정명령을 무시하고 있었다. 그렇게 무시된채 남아있던 흑인연대인 제24보병연대가 6.25 전쟁에 급파되고, 이런저런 논란을 거쳐 맥아더 해임 후인 1951년 10월 1일 매튜 B. 리지웨이 장군은 24연대와 같은 유색인종 부대를 해체하고, 유색인종 장병들은 인종통합을 위해 백인부대로 전출시켰다. 이후부터는 백인부대에서도 흑인신병을 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 육군에서 완전한 인종통합이 이루어진 것은 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더더욱 보수적이었던 미 해병대는 1952년부터 백인부대에서 흑인신병을 매우 제한적으로 받았고, 1960년이 되어서야 완전한 인종통합이 이루어졌다.[40] 보수의 끝판왕인 군에서 민간보다 먼저 인종간의 화합을 시작하도록 명령한 트루먼 대통령의 혜안은 역사적으로 높게 평가 받을만 하다.
  • 근세기 가톨릭 성인 중 가장 유명한 성인 중 한 명인 파드레 비오의 경우에는 6.25 전쟁을 세상 종말의 전조라는 사적 계시를 하기도 했다. 1950년에 일어난 전쟁은 6.25 전쟁뿐이므로 6.25 전쟁을 두고 말하는 게 분명하겠지만 이 사적계시의 날짜가 6.25 전쟁이 일어나기 거의 5달 전인 2월이다.
  • 북한의 남침 1시간전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서는 제4회 브라질 월드컵의 개막전 킥오프가 있었다. 북한의 남침이 시작되고 있을 때 브라질멕시코를 탈탈 털고 있었으며 경기 결과는 브라질 4:0 멕시코였다.
  • 관우의 67대손이자 관평의 66대손인 관충금(關忠金)이 중공군 신분으로 이 전쟁의 1.4 후퇴에 참전하였다.
  • 1960 로마 올림픽1964 도쿄 올림픽 남자 마라톤을 2연패한 아베베 비킬라가 이 전쟁에서 에티오피아군 참전부대인 각뉴부대의 대대장 경호병으로 참전했었다.
  • 아폴로 계획 당시의 우주 비행사였던 닐 암스트롱 역시 6.25 전쟁 참전용사이다. 미 해군 장교로, F9F-2B 팬서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하였다.
  • 메이저리그 보스턴 레드삭스의 레전드 테드 윌리엄스는 포항 K-3 비행장에 주둔한 미 해병대 제33해병항공전대 311해병공격비행대대에 소속되어 F9F 팬서 조종사로 참전하여 총 39회의 전투 임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미국인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도는데 성공한 존 글렌이 그의 윙맨으로 함께 작전에 참가하였다.
  • 영국의 원로 영화배우 마이클 케인 역시 이 전쟁에 영국 육군의 병사로 참전하였다.
  • 미국의 제48대 부통령 마이크 펜스의 부친인 에드워드 펜스(Edward Joseph Pence Jrㆍ1929~1988)도 6.25 전쟁 참전용사이다. 미 육군 소위로 참전한 그는 이 전쟁에서의 활약으로 동성무공훈장을 수여받은 전쟁영웅이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미국의 스키선수 린지 본의 할아버지 도널드 킬도도 6.25 전쟁 참전용사이다.[41] 특히 그는 동계올림픽이 열린 정선 인근에 주둔한 부대에서 복무했다고 한다. 다만 안타깝게도 킬도는 손녀가 자신이 목숨을 걸고 싸워 지킨 땅에서 열린 올림픽에 출전하는 것을 보지 못하고 눈을 감았다. 이 때문에 린지 본은 할아버지의 유골 일부를 정선 알파인 경기장에 뿌렸다고 한다.
  • 케이툰에서 매주 금요일마다 연재되는 웹툰 야오네집 21화에서는 6.25 전쟁을 거쳤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작가의 어머니는 피난길에 친어머니에게 버려지려다가 그걸 본 유엔군의 흑인 군인이 아이를 버리지 말라고 어머니에게 준 담요와 크래커로 버텼고, 그럼에도 결국에는 나무에 묶인 채로 버려졌는데 이를 후퇴하던 북한 인민군의 한 군인이 보고는 안쓰럽게 여겨 나무에서 풀어주고 돈을 쥐어주고는 마을에서 따듯한 걸 사먹으라고 했다고 한다.[42] 그 돈을 가지고 마을로 내려가다고 한국군 장교의 눈에 띄었고, 그 장교의 지인에게 맡겨졌다가 우연히 그 집을 찾아왔던 영어교사 부인이 데려가 부부가 양녀로 삼았다고 한다. 덧붙여 작가가 어린 시절 옆집에 살았던 할머니는 평소보다 불편했던 체험 쯤으로 회고했다고 하고 작가의 시어머니는 맛있는 음식들이 많았던 시절로 기억하고 작가의 아버지는 평범하게 모내기하다 미군 부대 카투사에 들어가 스크램블 에그 만드는 법을 배워온 게 다라고 한다.
  • 이 전쟁이 일어나기 1년전의 6월 26일, 즉 전쟁이 일어난 1950년 6월 25일과 월과 일이 거의 비슷한 시기인 1949년 6월 26일백범 김구가 암살되었던 날이였다. 그러니까 전쟁 발발 다음날인 1950년 6월 26일은 백범 사망 1주기를 맞이하였던 해였다. 이것은 대한민국에 하나의 징크스처럼 굳어져가고 있는데 이른바 30년 주기 국장설로 30년 간격으로 국상을 치르고 나면 반드시 대규모 유혈사태를 겪는다는 것. 첫번째로는 1919년 고종 황제 승하 후 3.1 운동으로 대규모 학살이 일어났으며, 두번째가 1949년 김구 선생 서거 후 발생한 이 전쟁, 세번째는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 전두환의 집권과정에서 일어난 12.12 사태5.18 광주민주화운동, 네번째는 2009년 김대중 대통령 서거 후 일어난 천안함 피격 사건연평도 포격 도발이다. [43]
  • 1950년 5월에 첫 발매하였던 칠성사이다는 사이다 출시 한 달만에 전쟁으로 사이다 생산이 중단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 밀리터리 FPS 게임인 콜 오브 듀티배틀필드 시리즈에는 2020년 6월 현재까지 단 한 차례도 배경으로 등장한 적이 없다.[44] 북미권에서의 “Forgotten Wars”라는 이미지가 강한 것도 있고 무엇보다 오랫동안 휴전상태인데다 중국군이 적으로 나와서 중국 시장에 출시가 불가능해지기에 게임으로 내놓기에 섣불리 판단하기 어려운 전쟁이다.
  • 이 전쟁 때문에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매년 6월 25일마다 전투 준비 태세 훈련을 한다.
  • 제주도가 전쟁 당시 전장이 되지 않았던 이유 때문에 실제 제주도로 한국 정부를 피난시키는 방안이 나타나기도 했다.[45] 만약 현실이 되었더라면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관계처럼 되어버렸을지도.
    • 제주도가 전장이 되지는 않았지만 제주도는 이미 제주 4.3사건으로 말이 아닌 상태였다. 게다가 4.3 사건으로 구속되어 본토로 수감된 사람들은 당시 전국에서 벌어진 학살로 인해 대부분 목숨을 잃었다.
    • 당시 제주출신 들은 4.3 사건으로 인해 빨갱이 이미지가 덧씌워져 많은 수의 제주인들이 전쟁 때 해병대에 입대해 싸웠고 상당수의 해병이 제주출신 이었을 정도였다.
  • 지금도 서울 중심부에는 '9.28 서울 수복 작전' 당시의 치열한 전투를 암시하듯 오래된 건물이나 유적지의 석재등을 살펴보면 탄흔이 남아 있다. 경복궁, 숭례문, 흥인지문등의 건축물은 물론 신라시대때 세워진 북한산의 진흥왕 순수비에는 지금도 선명히 탄흔들이 남아있으며, 연세대학교의 언더우드 동상 또한 살펴보면 기단에 수많은 탄흔을 볼 수 있다.
  • 중공군은 말도 안 되는 미군의 화력을 막기 위해 지하 만리장성을 수천km 규모로 건설했다. 중공 기록만이 아니라 UN군 기록에도 실제로 효과가 있어서 공격하는데 화력 지원을 할 수 없어 피해가 심했고 결국 UN군의 계속된 공세로도 밀지 못하고 포기했다고 한다.
  • 일부 언론사에서는 6.25 전쟁 정전 협정을 맺은 1953년 7월 27일을 종전일인 것처럼 쓰고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6.25 전쟁은 종전된 것이 아니다.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정전과 종전은 엄연히 다른거다. 풀이하자면 정전은 전쟁을 잠시 정지한다는 뜻이고 종전은 전쟁을 종결한다는 뜻으로 확연하게 다르다. 매년 6월 25일마다 기념식을 국가에서 주최하는것도 단순히 전쟁이 있었던걸 기념하는게 아니라 아직 전쟁이 진행중이니까 사기 진작과 애국심 고취를 위해 행사를 갖는 것이다. 다만, 전쟁 양상이 전면전에서 국지전으로 바뀌었을 뿐이며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제2연평해전 등 계속 전투가 발생했다.
  • 한국군의 전투보병휘장은 6.25 전쟁기간의 공적으로만 수여하고 이후 폐지하였다.
  • 한국인에겐 가장 임팩트 있고 현재에도 영향이 있는 두개의 근현대사 이벤트[46] 중 하나지만 그동안 세계사로 볼 땐 제2차세계대전베트남 전쟁 사이 이벤트 정도로 취급됐으며 물론 냉전시기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이 맞붙은 첫 무력분쟁 이라는 상징성이 있지만 전쟁 과정과 전후 세계에 임팩트가 앞뒤 전쟁들 만 하지못해 뭍힌감이 있었다. 하지만 2010년대 말 부터 미중관계에 긴장감이 돌며 재평가 되었고 특히 중국 쪽 에서 미국과 처음으로 싸운 6.25전쟁, 정확히는 전쟁 내 중공군을 고평가 하기 시작했다. 2020년에 관련 영화만 3개 이상이 나왔고 방탄소년단 이 6.25 때 대한민국 쪽의 참전용사들에 감사를 표하자 전국적인 보이콧이 있었을 정도.


6. 다룬 책



6.1. 학계


  • 브루스 커밍스 : 대표저서: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Vol. 1(한국전쟁의 기원)은 6.25 전쟁 발발전까지 대한민국의 내부상황을 다뤘는데 최고의 실증연구를 보여줬고 실제 많은 한국의 학자들이 감탄했다. 그러나 정작 6.25 전쟁과 그 이후를 다룬 2권은 추측과 근거없는 음모론으로 가득해서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47] 특히 군사학적 분석을 무시한 지나친 실증주의 집착이 주 원인이었다. 반대로 1권은 주로 한국 내부를 미군 문서를 중심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실증주의 집착이 오히려 강점이 됐다. 최근에는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 캐서린 웨더스비: 대표저서 "Korea, 1949-1950: To Attack, or Not to Attack? Stalin,Kim Il Sung, and the Prelude to War”, 미국 존스홉킨스 대 국제대학원 교수. 국제적으로 브루스 커밍스의 수정주의 역사관을 깨트린 장본인이다.[48] 다만 국내에서 인지도는 낮다.커밍스만 알고 웨더스비는 모르는 한국 국제적으로 냉전사 연구의 선봉이자 중심인 우르도윌슨센터에서 "냉전국제사프로젝트"의 6.25 전쟁 연구책임자로 일했다. 특히 그녀는 6.25 전쟁에 관련된 구소련문서 번역을 주도했다. 그녀를 가장 유명하게 만든 것은 브루스 커밍스와의 설전이다. "냉전국제사프로젝트 회보(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Bulletin)"에서 커밍스의 수정주의에 비판을 가했고, 커밍스는 공개된 소련문서의 신빙성에 태클을 걸면서 수정주의를 방어했다.
  • 김학준 : 대표저서 "김학준. 『한국전쟁: 원인, 과정, 휴전, 영향』. 서울: 전영사. 2010." 1980년말 6.25 전쟁에 대한 미국학계의 연구성과를 국내에 소개하였다. 김학준은 추후에 6.25 전쟁을 연구하지 않았지만, 6.25 전쟁의 원인에 대한 미국의 연구결과를 한국 학계에 소개한 것만으로 엄청난 것이었다.[49] 1980년 계간 현대사가 폐간된 일로 한국 학계에서는 6.25 전쟁을 금기시 해왔는데, 그 터부를 깨부셨기 때문이다. 물론 김학준의 저서와 논문은 기존의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고,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한국학계의 터부를 깨부순 것만으로 언급될만 하다. 참고로 해당 도서는 1980년대 말 논문집을 집대성한 것이다.
  • 박명림 : 대표저서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1 2", 정치학 박사 학위 논문으로 브루스 커밍스의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에서 주장된 남침 유도설을 논파하였다. 1999년 한국전쟁의 기원을 출간하여 당시 국내기준에서는 최고의 실증업적을 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학술적인 연구를 할 때 봐야하는 책이다. 그러나 러시아가 내놓은 한국전 요약의 비중이 크다는 한계가 있다. 이 요약은 당시 스탈린과 소련의 개입을 축소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사실, 요즘도 러시아 국내의 도서관과 문서고에 직접 들어가 연구할 게 많고 그러는 분들이 있다(미국정부나 미국 학계가 골라내 영역한 게 사료의 전부가 아니란 점을 명심하자!). 2010년대 중반에도 6.25 전쟁기를 전후한 시기의 외교문서 관련해 가끔 새로 발굴한 자료 소식이 들려온다.
  • 김영호 : 대표 연구논문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스탈린의 세계전략이 6.25 전쟁에 미친 파급력을 분석하였다.
  • 김명섭 : 대표 연구저서 『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 정전협정과 한미동맹으로 구성된 6.25 전쟁과 정전체제에 관한 연구를 집대성하였다.
  • 와다 하루키 : 좌파 성향의 일본인 학자이다. 소련사와 북한사를 연구한 일본인 학자다. 북한사와 김일성 항일투쟁사를 연구한 학자이다 보니 뉴라이트를 비롯한 세력들에게 빨갱이로 까이기도 한다. 6.25 전쟁 관련한 책도 썼다.
  • 정병준 : 대표저서 "한국전쟁: 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 대한민국, 북한, 미국, 소련의 문서들을 교차검증한 국내 최초의 학술도서다. 실제 정병준 교수는 미군 문서와 북한군 노획 문서를 미국까지 가서 1년이 넘게 직접 확인하고 복사해서 가져왔다. 또한 당시 소련 문서는 미국에서 완벽히 번역된 상태였다. 실증연구로 브루스 커밍스와 박명림을 능가하는 최고의 성과를 이뤄냈다. 이건 정병준이 꼭 박명림이나 브루스 커밍스보다 뛰어난 학자라기보단 당시에 소련 문서가 미국에서 완벽하게 번역된 이유도 있고, 정병준 자신도 이 점을 자세히 설명하며 미국 측 학계의 대단한 점을 저서 '한국전쟁'에서 자세히 설명하며 찬사를 보내고 있다.
  • 김동춘 : 대표 연구저서 '전쟁과 사회'

  • 박태균 : 6.25 전쟁 발발 이전부터 전쟁 발발, 정전과정 등 개략적으로 다룬 대중역사서 '한국전쟁'을 쓴 저자이자 서울대 교수다. 대표적인 대중서적으로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이 있다.
  • 조갑제: 트루먼과 스탈린의 한반도 게임 비사라는 책이 있다.


6.2. 군사적 자료


지난 60년간 세계 각국에서 발간된 엄청나게 많은 자료가 존재한다. 아마존에서 'Korean War'로 검색하면 5,263종의 책이 검색된다. 절반 이상이 참전용사들의 수기.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전쟁이다보니, 한글로 된 책자도 그 양이 어마어마한 수준이다. 그러나 수준이 제각각 천차만별이라 기본 텍스트는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공식간행물부터 보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초등학생용부터 중고등학생용, 일반인용, 전문가용 각종 버전의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세금이 아깝지 않은 훌륭한 사례 중 하나다. 물론 책으로 소장하려면 구입도 가능하다. 오프라인상으로는 서울 용산구에 있는 전쟁기념관 내부 1층 우측의 카페에 책꽂이에 판매도서용이라 해서 진열되어 팔고있다. 재고가 있다면 1권당 거의 2만원대돈으로 살수야 있겠지만 상업용서적(?)이 아닌 비매품에 가까운 책이라 상설재고 여부는 불투명하다. 군에서 발간한 전문학술 자료인 만큼 흥미 위주의 민간 서적에 비해 훨씬 자세하게 전쟁기간 동안 군사적, 전술적 상황에 많은 비중을 할애했다. 두드러진 점은 어느 전투, 전역, 작전이 있으면 세부내용과 특정전장의 지리환경, 투입부대, 전투서열과 각 제대 지휘관 성명, 전술지도(?)로 당시 상황 구현과 일자별 각 제대,부대의 전투기록명시가 있다.
그 다음은 미 육군 당국의 공간사를 읽어 보는게 좋다. 영문판은 미 육군 전사감실 홈피에서 무료로 구독할 수 있다. 한글판은 국립중앙도서관 홈피에서 무료로 원문보기를 할 수 있다.
<정책과 지도> 제임스 F. 슈나벨, 온창일 옮김, 육군본부, 1974. (James F. Schnabel, Policy and Direction: The First Year, OCMH, 1972.)
<낙동강에서 압록강까지> 로이 E. 애플먼, 육군본부, 1984. (Roy E. Appleman,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OCMH, 1961.)
<밀물과 썰물> 빌리 C. 모스맨, 대륙연구소출판부, 1995. (Billy C. Mossman, Ebb and Flow, November 1950-July 1951, OCMH, 1990.)
<휴전천막과 싸우는 전선> 월터 G, 허메스, 육군본부, 1968. (Walter G. Hermes, Truce Tent and Fighting Front, OCMH, 1966.)
퓰리쳐상을 수상한 저명한 저널리스트 데이비드 핼버스탬(David Halberstam)저《콜디스트 윈터: 한국전쟁의 감추어진 역사》(The Coldest Winter)는 꼭 읽어보도록 하자.[50] 한국전을 둘러싼 열강들의 정치싸움과 맥아더의 삽질을 잘 알게 될 것이다. 단, 미국인이 지은 책인 만큼 한국의 시각과 한국군에 대한 내용은 전무하다시피 하니 이 점은 참고하도록 하자.

6.3. 다큐멘터리


  • 컬러로 보는 한국전쟁 - 잔인한 장면이 있으니 시청에 주의할 것.
1부 영상, 2부 영상
개론적이지만 전반적으로 꼼꼼히 설명된 자료를 찾는다면, KBS에서 제작, 방영한 10부작 <한국전쟁> 다큐멘터리를 추천할 만하다. 원작은 1990년에 제작, 방영되었고 그해 방송대상까지 받았던 작품. 이후 2010년에 리메이크되는데 이때 구 소련 해체 이후 공개된 문서/영상자료와 중국측의 협조를 받은 자료 등을 대폭 보강하였다. 이 다큐에는 전쟁의 배경, 당시 한반도와 관련된 국제적 역학, 관련 인물들의 증언 등이 잘 소개되어 있다.
특히 1990년판 당시 생존해 있던 여러 관련자들의 증언을 많이 실어놓았는데 DVD에서 갑자기 화면비가 4:3으로 나오는 부분이 있다면 90년판 내용을 활용한 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한편으로는 비참한 전쟁의 충격에 대한 당시 '휘말린' 사람들[51]에 대한 인터뷰도 많이 담겨 있다. 다만 DVD 판매 때문에 KBS 홈페이지에서 다시 보기는 할 수 없으며, DVD로 구입해야 하는데 선례들이 그렇듯이 좀 비싼 편.
한편 국내에 소개된 국외 제작 6.25 전쟁 관련 다큐멘터리로는 1988년에 KBS를 통해 방영된 영국 BBC 제작 다큐멘터리 '한국전쟁(4부작)'과 1994년 SBS에서 방영된 러시아 오스탄키노에서 제작한 '한국전쟁의 실상(2부작)'이 있다.
'한국전쟁의 실상(2부작)'은 SBS에서 먼저 방영되고 다음날 KBS에서 방영되었다. 당초 방송 3사가 공동 구매하기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SBS 측이 이를 깨고 프리미엄을 얹어서 독점 방영권을 따냈고, 이에 KBS 측이 시청자의 보편적 접근권을 내세워 항의하는 바람에 SBS는 해당 프로그램을 KBS에 무상으로 제공해야 했다. 당시 SBS 가시청권은 서울 및 수도권으로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KBS의 주장은 일리가 있었고, KBS는 정규 편성을 변경하여 긴급 편성 방영했다.
BBC 제작 다큐멘터리 '한국전쟁'은 고품격의 다큐멘터리를 많이 제작한 BBC의 명성에 비해 여러모로 아쉬운 점이 없지 않지만, 당시 국내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중국 인민지원군 참전자들의 증언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러시아 오스탄키노에서 제작한 '한국전쟁의 실상'은 6.25 전쟁 당시 소련, 중국 등 공산권의 동향을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기밀 해제된 구 소련 문서를 통해 당시 소련이 6.25 전쟁에 비공식적으로 참전했음을 증명하고 있다.
그 외의 6.25 전쟁 관련 다큐멘터리
  • 76인의 포로들 - MBC에서 제작된 2부작 다큐멘터리로 1993년 방영되었으며, 그해 한국방송대상을 수상했다. 6.25 전쟁 당시 남북한 대신 중립국행을 택한 76인의 포로들의 이후 행적과 현재의 삶을 추적한 다큐멘터리로, 인도, 브라질, 아르헨티나 현지 취재를 통해 제작되었다.

7. 관련 작품


외국 것도 많기는 한데 , 당연하게도 한국의 작품들이 더 많다.

7.1. 문학


  • 광장 (최인훈)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 그을린 대지와 검은 눈 - 한국 전쟁의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 (앤드루 새먼 지음/이동훈 옮김) - 전쟁 당시 영국군들의 눈부신 활약 및 지금까지 묵인돼왔던 영국군의 민간인 학살 등을 담은 작품.
  • 기억 속의 들꽃 (윤흥길)
  • 나무들 비탈에 서다 (황순원)
  • 노근리 그 해 여름 (김정희) - 제목애서도 알 수 있듯이 위의 노근리 학살 사건에 대해 아이의 관점으로 서술한 책이다.
  • 남부군 (이태)
  • 마당 깊은 집 (김원일)
  • 불의 제전 (김원일)
  • 목마와 숙녀 (박인환)
  • 몽실 언니 (권정생) - 주인공 몽실이는 사회적인 약자의 모든 걸 가진 인물로 전쟁으로 아버지 정씨를 잃는다.
  • 병신과 머저리(이청준) - 주인공 형제는 둘 다 전쟁으로 큰 상처를 입은 인물들이다. 형은 군의관 출신이고 동생은 소설가이나 두 사람다 전쟁으로 형은 몸에 큰 상처를, 동생은 마음에 큰 상처를 입었다.
  • 불꽃 (선우휘)
  • 불신 시대 (박경리)
  • 비 오는 날 (손창섭)
  • 소문의 벽 (이청준) - 주인공이 겪는 중요한 트라우마의 시작이 6.25 전쟁 때의 일이다.
  • 수난이대 (하근찬) - 장애를 가진 부자의 이야기로 아버지는 일제 징용으로 외팔이 되었고, 아들은 전쟁으로 외다리가 된 상이군인이다.
  • 스탈린의 편지 (노재성) - 대체역사소설.
  • 어둠의 혼 (김원일)
  • 여명의 눈동자(드라마의 원작)
  • 오발탄 (이범선) - 주인공의 동생이 6.25 전쟁에 참전해 부상자가 되었으며 상이군인도 등장한다.
  • 요한 시집 (장용학)
  • 육촌형 (이현주)
  • 유예 (오상원)
  • 은마(는 오지 않는다) (안정효)
  • 장마 (윤흥길) - 빨치산 아들을 둔 친가와 국군 장교인 아들을 둔 외가댁을 배경으로 남북간의 대립을 무속이란 공통 정서를 통해 화합을 이루게 하는 이야기.
  • 초토의 시 (구상)
  • 태백산맥 (조정래)
  • (황순원)
  • 흥남 철수 (김동리)
  • 흰종이 수염 (하근찬) - 상이군인출신인 아버지를 둔 소년 이야기. 처음에 아들은 사친회비로 인해 더 이상 학교에 갈 수 없게 되어 아버지는 학교에게 사정을 얘기한 뒤 돈을 벌고자 홍보일을 하지만 그마저도 아들을 괴롭히는 못된 일당들에게 걸려 놀림감이 되고 이에 아들은 아버지를 모욕하는 그 놈을 흠씬 패준다.

7.2. 영화


한국 영화가 아닌 것은 괄호 안에 제작국가를 명시하였다.
  • M.A.S.H. (미국)
  • 격퇴 - 베티고지 전투를 소재로 한 영화.
  • 고지전 - 전쟁의 아이러니함과 그 속의 다면적인 인간상을 극렬히 드러냈다.
  • 국제시장 -1000만 관람 돌파작이지만 6.25전쟁만을 다룬 영화는 아니라서 진정한 전쟁 영화 수작의 타이틀은 밑에 있는 '태극기 휘날리며'가 가지고 있다.
  • 금강천 (중국)
  • 남부군
  • 낙동강은 흐르는가
  • 돌아오지 않는 해병
  • 마이 워 (중국)[52]
  • 맨츄리안 켄디데이트 (미국)
  • 배틀 힘 (미국)
  • 병사는 죽어서 말한다 (66년 作)
  • 빨간 마후라
  • 서부전선
  • 순교자들(65년 作)
  • 스윙키즈
  • 아벤고 공수군단
  • 아일라(터키 영화) - 2017년 10월 터키에서 개봉해서 500만명 이상이 관람했다. # 터키군과 전쟁고아의 실화이야기. MBC스폐셜에서 다루었다.
  • 에미의 들(92년 作)
  • 영호작전(미국) - 1952년 개봉. 당시 미군의 민간인 학살을 다루기도 한 독특한 작품. 한국에는 1957년 개봉되었고, 동명의 한국영화가 1967년에 제작된 바 있다. 물론 전혀 다른 영화다.
  • 오! 인천 (미국/한국)
  • 울지 않으리[53]
  • 원한의 도곡리 다리 (미국)
  • 웰컴 투 동막골 - 800만명 관람으로 6.25 전쟁만을 다룬 영화 중 흥행 2위이자, 반전과 평화의 중요성을 잘 나타낸 영화.
  • 은마는 오지 않는다 - 전시 미군 성매매를 다루고 있는 작품.
  • 인천상륙작전 -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위해 활약했던 특수부대원들을 다룬 영화.
  • 작은 연못
  •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 - 2019년 개봉. 772명의 학도병들이 인천상륙작전이 시행되기 전 장사상륙작전을 다룬 영화이다.
  • 적과의 동침
  • 증언
  • 집결호(중국)
  • 죄없는 병사들(90년 개봉)
  • 철모(미국) - 미군과 전쟁고아의 이야기. 다만 인종차별이라는 평도 있다.
  • 태극기 휘날리며 - 한국 전쟁 영화 최고의 수작, 천만 돌파 흥행작.
  • 포화속으로 - 포항여중 전투에 참전한 학도병들을 다룬 영화.


7.3. 드라마


  • 로드 넘버 원
  • 백마고지 - 1986년 KBS에서 방영.
  • 비극은 없다 - 1980년대 후반에 KBS에서 방영. 정비석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함.
  • 서울 1945 - 2006년 KBS에서 방영. 친일파와 독립운동가에 대한 재해석과 더불어 한국전쟁을 민족의 비극이라는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점근했다. 시작인 1화와 2화에서 한국전쟁을 다루다가 1930년대 일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49화에 와서 다시 한국전쟁 시점으로 돌아온다. 마지막화인 71화까지 한국전쟁을 다루고 있다.
  • 야인시대 - 그 유명한 4딸라가 6.25 전쟁 중에 김두한이 임금 관련해 미군이랑 협상할 때 나온거다. 이 외에도 김두한의 친구이자 오른팔 같은 존재인 문영철이 전투 중 죽는다.

  • 여명의 눈동자
  • 왕초
  • 일월 - 1993년 KBS에서 방영. 드라마 후반부가 6.25 배경인데 그것도 주인공 자매의 부산 피난생활까지다.
  • 전우 - 6.25 배경인 드라마 로드넘버원과 다른 배경스토리. 현재까지 3편이 제작되었다.
  • 지리산 - 1989년 KBS에서 방영.
  • 천둥소리 - 1986년 MBC에서 방영.
  • TV소설 은희 - 2013년 KBS2에서 2회에서 6.25 피난길에서 잠시 장면 나온다.
  • M.A.S.H. - 위 영화의 드라마 판. 문서 참조.
  • 3840 유격대 - 1983년 MBC에서 방영. 제목의 의미부터 북위 38도선과 북위 40도선을 강조하는데 실제로 북위 38도선과 북위 40도선을 오가며 싸우는 대한민국 국군 특수부대를 다뤘다. 김희라 주연.(3840 유격대장 이철근 대위 역.)

7.4. 뮤지컬



7.5. 만화, 애니메이션



7.6. 게임


  • 스틸 팬더스 시리즈 - 몇몇 시리즈에서 6.25 전쟁 배경의 캠페인과 시나리오가 등장한다. 대표적인 것들로 장진호 전투를 다룬 캠페인인 Chosin Few, 북한군을 지휘해 스미스 특수 임무부대를 궤멸시키는 시나리오인 Task Force Smith 등이 있다.
  • Theatre Of War 3: Korea
  • 워게임: 레드 드래곤은 6.25 전쟁이 직접적인 배경은 아니지만 부산 포위의 작전 계획이 낙동강 방어선, 인천상륙작전과 유사한 부분이 있다. 또 2번째 DLC로 추가된 신규 캠페인이 '제2차 한국전쟁'이기도 하다. 워게임: 레드 드래곤/캠페인 참고.
  • 스타크래프트 2의 유즈맵 한국전쟁 korean-war의 배경이며, 나무위키를 참고하여 고증을 맞춘 게임이다. 제작자는 국가유공자인 할아버지를 생각하며 만들었다고 한다.
  • 6월 25일 - 2015년 경기컨텐츠진흥원 제작.
  • War Thunder : 후기 제트기에 한해 6.25 전쟁 당시 미 공군의 교전지역이던 춘천맵을 플레이할 수 있다. 지상군의 경우 한국을 배경으로 한 맵이 존재한다.
  • 도미네이션즈에서 미국의 낙하산병이 낙하해 한국의 병사들과 강력한 대대를 형성하는 한국 전쟁 대대가 전술성 병력으로 등장한다.

7.7. 노래


(가나다 순)

7.8. 미술작품


  • 한국에서의 학살(파블로 피카소)[54]
피카소는 사회주의 계열이었기에 UN군의 민간인학살을 그렸다.

7.9. 동영상






8. 어록


"나는 정전이라는 것이 결코 싸움을 적게 하는 것이 아니라 더 많게 하며 고난과 파괴를 더하고 전쟁과 파괴적 행동으로 공산 측이 더욱 전진하여 오게 되는 서곡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였기 때문에 정전의 조인을 반대하여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 정전이 조인되었음에 나는 정전의 결과에 대한 나의 그동안 판단이 옳지 않았던 것이 되기를 바란다."

- 이승만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

- 더글러스 맥아더

'''"포탄 맞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요? 조그맣게 갈비 조각이 나요. 사람이 분해돼 버리고 아무것도 없어요. 펑 하고 터지고 나서 가 보면''' (손바닥을 반절쯤 붙잡아 보이며) '''나무에 창자 조각 요만큼 걸려 있고 살 토막 요만큼 걸려 있고 그래요. 포탄 맞으면 아무것도 없어요... 버린 게 아니라''' (시체를) '''찾을 수가 있어야 버리죠.''' (영화 고지전을 보았느냐는 질문에) '''...그런데 그건 애들 장난이지."'''

- 김달육 육군 소령(퇴역), 6사단 7연대 2대대 6중대장, 8사단 16연대 1대대 2중대장으로 6.25 전쟁에 참전.

'''"지금 한국 국민이 전쟁 속에서 고통당하고 있는데 이를 먼저 돕지 않고 전쟁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평화 시에 한국에 선교사로 간다는 것은 제 양심이 도저히 허락하지 않습니다."'''

'''“I cannot in good conscience return to Korea as a Christian missionary in peacetime if I am not first willing to be there to help the Koreans defend their freedom in time of war,”'''

- 미 해군 윌리엄 해밀턴 쇼(William Hamilton Shaw) 대위,

(미 해병대 제1사단 5연대 본부중대 정보장교로 6.25 전쟁 당시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녹번리에서 전사.)

'''"모두들 앉아 내 말을 들어라. 그동안 잘 싸워주어 고맙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더 후퇴할 장소가 없다. 더 밀리면 곧 망국이다. 우리가 더 갈 곳은 바다밖에 없다. 저 미군을 보라. 미군은 우리를 믿고 싸우고 있는데 우리가 후퇴하다니 무슨 꼴이냐. 대한 남아로서 다시 싸우자. 내가 선두에 서서 돌격하겠다. 내가 후퇴하면 너희들이 나를 쏴라."'''

- 백선엽[55]

'''"내가 여기서 죽더라도 끝까지 한국을 지키겠다."'''

- 월튼 워커

"Stand or die."

고수 혹은 죽음뿐.

- 월튼 워커

"국군은 대통령으로부터 명령을 기다리고 있으며, 명령만 있으면 점심은 평양에서 먹고 저녁은 신의주에서 먹을 수 있다."

- 신성모

"인민군이 서울만 점령하면 남로당원이 들고 일어나 남조선 전 지역을 해방시킬 것이다. 인민군의 진격은 해방된 지역을 향한 승리의 행진이 될 것."

- 박헌영

"중국이 혁명에 성공했습니다. 이제는 남조선을 해방시킬 때입니다"

- 김일성

"장관님은 숙소에 계실 것입니다. 그렇지만 아시다시피 장관님은 영국에서 오래 사셨기 때문에 일요일에는 아무도 만나시지 않고 또 전화도 받지 않으십니다."

- 신동우

"어느 나라에서든 인민은 그들의 주권과 독립을 위해서 유혈전쟁을 수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우리는 승리를 얻기 위해 어떠한 희생도 주저해서는 안되고 지금부터라도 장기전을 계획하지 않으면 안된다."

- 박헌영

"이 전쟁은 내전이므로, 남조선군이 38선을 넘는 것은 무방하나, 유엔군이 38선을 넘는다면, 이는 중국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겠다."

- 저우언라이[56]

"서울시민 여러분, 안심하고 서울을 지키시오. 적은 패주(敗走)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여러분과 함께 서울에 머물 것입니다.", "국군은 총반격으로 적은 퇴각 중입니다. 이 기회에 우리 국군은 적을 압록강까지 추격하여 민족의 숙원인 통일을 달성하고야 말 것입니다."[57]

- 북한의 남침 소식을 들은 대한민국의 이승만 정부이승만 본인 입으로 말한 것을 포함해서 이를 재구성하고 각색한 후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틀은 방송. '''정작 이 방송이 들린 시점에서 이미 이승만은 국군과 피난민들의 유일한 퇴로인 한강 다리마저 끊고 서울에서 도망친 후였다.'''

"우리 인민군대는 전투를 계속하면서 부득이 후퇴하지 않을 수 없다. 인민군은 마지막 피 한 방울을 다 흘릴 때까지 용감히 싸우라."

- 국군과 유엔군이 평양을 향해 진격해오던 1950년 10월 11일 밤 평양에 방송된 김일성의 음성. '''그리고 몇 시간 뒤 김일성은 평양에서 도망쳤다.'''

"야, 이 자식아! 전쟁이 잘못되면 나뿐 아니라 도 책임이 있어!"

- 김일성[58]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통일에 착수하자는 조선사람들의 제청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는 중국과 조선이 공동으로 결정해야 할 문제이고 중국동지들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검토할 때까지 연기되어야 한다."

- 이오시프 스탈린

"조선 통일은 무력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미국이 대한민국 같은 작은 나라 때문에 3차대전을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미국의 개입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 마오쩌둥

'''"대한민국은 미국에서 수 천 마일 떨어진 곳에 있는 작은 나라지만, 그 곳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든 미국인들에게 중요합니다. 6월 25일 공산주의자들이 대한민국을 공격했습니다. 이는 공산주의자들이 독립 국가들을 정복하기 위해 군사력을 사용하려 한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북한의 남침은 유엔헌장 위반이고 평화를 침해한 것입니다. 우리는 이 도전에 정면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 해리 S. 트루먼

"딘 장관, 우리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 그 개새끼들을 막아야 하오. 그게 전부입니다."

“Dean, we’ve got to stop the sons of bitches, no matter what, and that’s all there is to it.”

- 해리 S. 트루먼

"이 곳은 극동의 그리스다. 만일 우리가 강경한 조치를 취하기만 하면 다음 단계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 해리 S. 트루먼

"한국에서 미국의 행동은 악당들의 기습(Bunch of bandits)을 유엔이 격퇴시키는 것을 도우려고 취해진 것이오."

- 해리 S. 트루먼[59]

'''"인천 상륙작전은 5000 대 1의 도박입니다. 그렇지만 나는 그런 확률에 익숙합니다... 우리는 인천에 상륙할 것이고, 나는 그들을 격멸할 것입니다."'''

'''"...Inchon is a 5000 to 1 gamble, but I am used to taking such odds... We shall land at Inchon and I shall crush them."'''

- 더글러스 맥아더

'''"우리는 지금 인천 앞바다에 와 있습니다. 우리는 드디어 오늘 상륙작전을 감행하게 되었습니다. 이 작전이야말로 불법 남침한 북괴군을 분쇄하고 위기에 처한 조국과 민족을 위하여 정의와 자유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 손원일인천상륙작전을 앞두고 USS Pikaway (APA-222)함 함교에서 상륙개시를 기다리는 해병대 장병들에게 한 훈시.

"국군과 유엔군은 수도 서울을 탈환했다."

- 손원일

"친애하는 동포형제자매들, 영웅적 조선인민군 장병들과 남녀빨찌산들, 용감한 중국인민지원군 장병들, 친애하는 동지들, 지난 7월 27일 10시에 판문점에서는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대표들을 일방으로 하고 미제국주의자들을 위수로 한 무력침공군 대표들을 타방으로 하여 정전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조선에서 정전의 달성은 외래제국주의 련합세력을 타승하고 미제국주의 리승만 매국도당들을 반대하여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여 우리 조국 인민이 3년간에 걸친 영웅적 투쟁의 결과이며 우리나라와 우리 인민이 쟁취한 위대한 력사적 승리입니다."

- 김일성[60]

'''"조선 문제는 결코 조선에만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조선 문제는 동양의 발칸 문제다. 조선은 세계 평화와 혼란을 좌우하는 열쇠다. 전세계의 문제이자 전 인류의 문제다.'''"

- 후세 다쓰지[61]

'''6.25 당시에 만주를 폭격했으면 통일을 이룰 수 있었다'''[62]

(1996년 6월 24일 중부전선 시찰 당시 김영삼 대통령 발언)[63][64][65][66][67][68]


9. 유사사례



10. 관련사건



11. 다른 위키의 한국전쟁 문서



12. 같이보기












[1] '무너진 다리를 건너 탈출하는 피난민들', 맥스 데스퍼. 1950년 12월 4일 촬영했으며 이 사진으로 맥스 데스퍼는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흔히 한강대교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진이지만 실제로는 대동강철교다. 한강대교(인도교)는 폭파 당시 '''아무도 건널 수 없는 수준'''으로 무너졌었다. 촬영 당시 한국군과 유엔군은 평양 철수를 하고 있었다.[2] 제주도, 울릉도, 독도에서는 섬은 물론이고 인근 해역에서도 교전이 없었다. 다만 대한해협 해전 등 반도 연안과 서해 5도, 거제 상륙작전 등 일부 도서 지역에서는 많은 전투가 있었다.[3] 황실친위대를 파병했다.[4] 중국은 ‘사회주의 형제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된 의용군이 참전한 것이다.’라는 입장을 표명했으나, 이들의 정체는 정규군인 중국인민해방군 제 3, 4 야전군 이다. 당시 중공군의 무장상태와 공세는 정규군 수준이었다. 이들은 전후에 중국에서 영웅으로 추대되었고, 현재 만주 일대에서 한국을 사실상 주적으로 상정하여 유사시 한반도에 투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훈련 중인 부대들의 전신이기도 하다.[5] 사실 이탈리아는 6.25 전쟁 발발 5년 후인 1955년 12월 22일에 UN에 가입했지만 6.25 전쟁 당시에는 유엔군의 이름으로 참전하였다. 링크[6] 서독 정부는 1953년 5월 80여명 규모의 의료지원단을 대한민국에 파견해 휴전 이후인 1954년 5월 부터 약 5년 간 의료지원활동을 벌였다. 하지만 의료지원활동 시점이 휴전 이후였다는 이유로 의료지원국으로 인정받지 못했으나 2018년에야 대한민국 국방부는 공식적으로 독일을 6번째 의료지원국으로 인정했다.# 이에 따라 전쟁기념관이나 UN평화기념관 등지에서 내용 수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중이다.[7] 제3세계 중립국으로서 양쪽 상관없이 다친 병사들만 돕겠다는 이유로 유엔군과 공산군 양측에 모두 간접적으로 지원했다.[8] 참전국의 파병 책임자 및 통수권자는 볼드체로 표기. 북한 측 지휘관은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민국사연표에 근거함.[9] 전쟁 말기 한국군 58만, 미군 34만 가량이었기에 이 이상의 수치로 추산된다. 최대 수치는 공산군보다 적은 걸로 추정된다.[10] 2018년 4월 27일,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과 북한 국무위원장 김정은판문점 선언을 통해 연내에 종전을 선언하겠다고 합의한 적이 있으나 지켜지지 못했다.[11] 미군 사망자는 4만 명 가량이고 국군 사망자가 14만인데, 국군의 경우 정확한 통계를 내기가 쉽지 않다.[12] 이대근, 현대한국경제론: 고도성장의 동력을 찾아서, 경기: 한울 아카데미, 2008, p.60[13] 공산군의 경우 누락된 수치가 많기에 정확한 수치 추산은 힘들다. 그래서 자료를 보면 온갖 추측이 다 있다.[14] 저작자: Roke(2006. 06. 05.)[15] 6사단 청성부대[16] 보통 남침(남쪽을 침략)과 북침(북쪽을 침략)을 혼동하는데, 남침이 맞다.[17] 김영호,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6년[18] 휴전 기간이 워낙 오래됬고, 국력 차이가 많이 벌어져서 얼마전의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전쟁 급의 규모는 커녕 인도 중국간의 포격전이나 국지전 수준의 무력 충돌도 없지만 북한의 안보위협과 군사적 도발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그 70년간의 지속적인 군사 도발의 피해가 누적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지 몰라도, 전술한 전쟁이나 국지전과는 다른, 국가 간의 게릴라식 무력 충돌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1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간행물 목록에서 확인 가능.[20]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에서 확인 가능.[21] 굳이 번역하자면 한국에서의 충돌, 한국 사태[22] 어떤 이들은 일제강점기 악영향이 6.25전쟁의 또 하나의 요인으로 보는 이들도 있긴하다.[23] 구소련 문서는 매우 파편적이고 제한된 기록이기에 6·25전쟁의 기원을 해명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24] 김태우, "한국전쟁 연구 동향의 변화와 과제,1950-2015." 『한국사학사학회』, 32권, 2015, pp. 325-364[25] 당시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한지 10년도 채 되지 않았다.(제2차 세계대전 종전은 1945년, 6·25전쟁 발발은 1950년으로 고작 5년 뒤의 일이었다) 이런 상황이니 누가 제3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싶겠는가. 했다가는 전세계의 욕이란 욕은 다 먹고 심지어는 패배에 망신까지 살 수 있을 일이다. 이 때문에 맥아더는 미국 내에서 전쟁광으로 불리며 해임까지 당했다.[26] 특히나 소련은 2차 대전으로 수천만에 달하는 인명이 희생되었고 핵심 농공업지대는 초토화되었다. 실전 경험이 풍부한 대병력은 있지만, 한창 전후 복구중인 소련이 또다시 대전쟁을, 그것도 어마어마한 경제력(렌드리스 참조)을 보여준 미국을 상대로 벌일 생각을 할 수 있을 리가...[27] 이미일,〈6·25전쟁 중 한국 민간인 납북 문제에 대한 전후 처리 현황과 과제〉[28] 1949년 8월 5일〈연천주재지사업보고서〉"…반동분자들을 분열.와해시키고 납치함으로써 국토완정의 결정적 역할을 높일 임무…"[29] 1950년 8월 17일〈북조선 군사위원회 결정사항 제18호〉"서울시임시인민위원장은 각 부 각 청의 요구에 맞추어 북조선의 농업 및 산업 현장으로 50만 명을 후송하도록 한다."[30] 전쟁범죄를 저지른 아군을 처형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6.25 회고록을 보면 중공군을 꽤 고평가한 장군들이 있다. [31] 어떤 중년의 미군은 젊은 중공군 병사가 몰래 풀어줘서 본대로 복귀할 수 있었는데, 중공군 병사가 풀어준 이유가 압권이다. (그 병사가 한 말) “난 어릴 적부터 '''항일동지들이었던''' 미국인들을 만나보고 싶었다, 이제 그 소원을 이뤘으니 어서 여기서 떠나라.”[32] 전쟁 1년 전 인 1949년에 소련은 핵개발을 완료했다.[33] 미국 내 에서도 전쟁 극초창기엔 반공의식이 높아 전의가 높았지만 1.4후퇴 이후 장기화 되자 전쟁에 피로감을 호소하는 여론이 대세였고 해리 트루먼 의 후임인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전쟁영웅 이었지만 대선 공약 중 하나가 전쟁의 빠른 종결 이었을 정도다. 이와중에 소련군과 싸우게 된다면 미국은 한반도는 물론 자국에서도 여론과 전쟁을 치뤄야 했었다.[34] 미덕이기 이전에 생존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스탈린도 남말할 처지는 아니지만 그가 그 "미덕"을 무시할 수 있었던 배경은 강력한 집권체계와 전시동원체제가 완비된 다음이라 점령지 주민을 짓밟아도 전쟁을 수행하는 데 지장없었기 때문이다.[35] 물론 중공군은 비뢰포 같은 빈자의 무기를 사용해서 직접 비교는 곤란하다. [36] 물론 항목에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정말 아무 효용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37] 사실 미군도 6.25 때 세계대전 급 화력을 퍼부어서 돈을 너무 많이 낭비했다. [38] 1946년 2월 12일 미 육군에서 명예제대하고 민간버스 편으로 집으로 귀가하는 도중 화장실에 가고 싶어 휴게소 정차를 요구한 아이작 우더드 병장과 이를 거부한 버스기사 사이에 시비가 붙자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들이 아이작 우더드 병장을 집단구타 후 유치장에 불법 감금하고 부상당한 눈을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여 실명에 이르게한 사건으로 전미유색인지위향상협회(NAACP)에서 이 사건을 공론화 하여 미합중국 정부의 흑백분리 정책 철회를 이끌어 냈다.[39] 당시에는 주요 전투병력은 대부분 백인이었고 흑인황인종, 히스패닉등은 극히 일부를 제외 하고는 입대 자체가 힘들었다. 입대 했더라도 대부분 비전투직에다 인종별로 나누었다. 지금이야 다민족국가의 대표주자지만 이시절만 해도 미국은 '백인의 나라' 였다.[40] 지금처럼 피부색 따윈 상관 없이 여러 인종의 병사들이 같은 참호와 막사에서 먹고 자며 부대끼는 풍경은 6.25전쟁 당시에는 아주 생소한 모습이었으나 월남전에 이르러서는 매우 당연시 되었다. 물론 아직 인종 차별이 만연하던 시절이라 장교진은 대부분이 백인이었고 끼리끼리 어울리거나 패싸움을 하는등 순탄치만은 않았다.[41] 또한 본의 전 남자 친구였던 타이거 우즈의 부친은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이다.[42] 그 때문에 작가의 어머니는 그 유엔군에게 고마워서 아프리카 고아를 입양하고 싶다고 말버릇처럼 말했고, 겨울만 되면 길가에 보이는 군고구마 장수의 모자를 보면 그 인민군이 생각나서 항상 고구마를 사온다고 한다.[43] 이는 정치외교 측면에서 볼 때,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군주, 대통령, 정치인이 사망할 경우 그가 가졌던 힘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에 대규모 유혈사태를 겪게 된다는 분석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상황이 하필 30년이라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타났기 때문에 이는 자칫 괴담으로 굳혀질 우려가 있다.[44] 콜 오브 듀티의 경우 몇몇 등장인물들의 배경으로 간간히 언급되었고 미래전을 다룬 어드밴스드 워페어에선 2차 한국전쟁 미션이 있기도 하다.[45] 전쟁 초기 낙동강 방어선으로 대한민국 국군이 밀려났을 때, 이승만 대통령이 측근으로부터 제주도로 피난해야 한다는 제안을 들었으나 이를 묵살했다고 한다. 월튼 워커 미8군 사령관은 아예 대한민국 정부를 서사모아로 이전하는 계획을 고려하기도 했는데, 이때 정부 이전 후보지 중에 제주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단, 제주도는 면적이 너무 좁고 농경, 식수 환경이 척박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결국 후보지에서 제외되었다. 중공군이 전쟁에 개입하면서 1.4 후퇴로 대표되는 위기가 닥치자, 미국 합동참모본부와 유엔군사령부가 북한군과 중공군이 금강-소백산맥 방어선을 도달할 경우, 한국 정부를 제주도로 이전해서 차후 공세 전환의 거점으로 삼자는 구체적인 안건이 나왔지만 연합군이 서울을 재탈환하면서 백지화되었다.[46] 다른 하나는 일제강점기.[47] 원서는 레이건 집권 초기인 81년에 나왔으나 한국어판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 나왔다.[48] 그렇다고 해서 웨더스비의 시각을 전통주의 시각은 아니다. 자세한 것은 6.25 전쟁/전쟁 발발참고.[49] 김학준은 주로 러시아학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50] 베트남 전쟁에서의 미국과 엘리트들의 실수를 조명한 '최고의 인재들(The Best and the Brightest)'를 집필한 인물이기도 하다.[51] 참전 당시 끔찍한 기억을 증언하는 군인이나 학살이 일어난 지역의 주민 등[52] 중국판 이름은 아적전쟁. 참고로 이 영화의 홍보 동영상이 중공군의 6.25 참전을 미화하고 한국 측을 조롱하여 문제가 되었다. 물론 영화는 흥행 평가 모두 거하게 망했다.[53] 오! 인천 못지 않은 괴작인데, 감독은 놀랍게도 임권택이다![54] 참고로 타 퀴즈 프로그램에도 나온 적이 있다.[55] 다부동 전투 당시 방어 담당 구역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후퇴한 11연대 1대대 장병들에게 한 발언. 이 발언 직후 백선엽은 주머니 속 권총을 뽑아 사단장 일선 돌격을 감행한다. 참고로 김석원은 맨날 이런 짓 하다가 미군에게 일본군출신답다고 찍혔다. 결국 누가 하느냐에 따라 인식이 다른 것이다.[56] 1950년 10월 1일 대한민국 국군 제3보병사단이 강원도 양양에서 38선을 넘어 북한 영토로 진격을 시작한 직후 한 발표.[57] 이 연설은 영화 부산행의 안전행정부 장관의 연설의 모티브가 되었다.[58] 1950년 11월7일 피난 당시 만포진에 있는 소련 대사관 파티에서 만취한 김일성이 박헌영 부수상과 전쟁에 대한 이견으로 언쟁할 때 대리석으로 된 잉크병을 박헌영에게 던지며 한 말.[59] 1950년 6월 28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한국에 대한 군사적 개입 행위를 유엔의 경찰 행위라고 부를 수 있습니까?" 라고 질문한 기자에게 트루먼이 한 대답.[60]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 된 이후 전쟁승리를 자축하는 이른바 ‘전승열병식’에서 한 연설내용 #[61] 6.25 전쟁과 관련이 깊지 않지만 정치인이나 외교관이 아닌 일개 변호사가 무서울 만큼 한반도의 중요성을 정확하게 통찰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발언을 한 후세 다쓰지는 한국전쟁 발발과 정전까지 모두 지켜보고 사망하였다. 이후 발칸반도에서도 구 유고내전,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연방의 대립, 키프로스 분쟁을 비롯한 수많은 문제들을 발생하고, 그것을 구 1세계 및 유럽권 전체가 떠안게 됨으로써 이 발언이 역으로 실행되기도 하였다. 뭐 이 발칸반도는 1차대전의 원인으로써 지목된 것이고 구유고 내전은 그렇게 전세계에 충격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62] 여야, 김대통령의 6.25 만주 폭격 발언 놓고 치열한 성명전[63] 김영삼대통령의 6.25만주폭격주장 회고 관련 안보논쟁 가열 1996.6.26 kbs뉴스[64] 김영삼 대통령 만주폭격 발언 일파만파[65] 여야 만주폭격 공방[66] 김영삼대통령의 6.25만주폭격주장 회고 관련 안보논쟁 가열 1996.6.26 kbs뉴스[67] 김영삼 대통령 만주폭격 발언 일파만파[68] 여야 만주폭격 공방[69] 국군의 전투보병휘장은 오로지 50년대에 6.25전쟁의 포상으로만 수여되고 폐지된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