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사록
1. 개요
南槎錄. 조선 중기의 문신인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이 선조 34년인 1601년 8월에 안무어사로 제주에 왔을 때 지은 여행일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1601년 7월에 제주도에서 발생한 길운절과 소덕유의 모반 사건이 진압된 후, 이에 연루되어 처벌될 것을 염려하던 제주도민들을 위로하고 안심시키기 위하여 당시 왕이었던 선조의 왕명을 받아 제주도로 오게 된 안무어사 김상헌이 1601년 8월부터 1602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제주도에서 겪은 매일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이다.
전체적으로 1600년대 초 제주도 지방의 사회상과 경제상황, 풍속, 자연환경 등을 세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당시 제주 지방의 명승지인 객사, 서귀방호소, 천지연, 동해방호소, 산방굴, 대정현 객사, 대정향교, 송악산, 모슬포 등의 모습을 상세히 기록하였으며, 한라산 산신제를 지내기 위해 한라산을 등반하며 본 천불봉(千佛峯), 영곡(靈谷), 수행굴(修行窟), 칠성대(七星臺), 좌선암(坐禪巖),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 존자암(尊者庵)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그 외에도 일기 중간중간 김정의 제주풍토록, 임제의 남명소승, 최부의 표해록 등을 인용하고 있으며, 제주도의 자연환경을 감상하며 지은 시 80여 수도 수록되어 있다.
1669년 간행된 초간본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필사본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으며, 탐라지(1653)와 함께 1600년대 당시 제주도의 전반적인 풍속과 사회상 등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3. 번역
2008년에 제주문화원에서 현대책 2권으로 번역하여 책으로 발간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서 서지정보검색 : 남사록(상), 남사록(하)
번역책의 주요 목차는 다음과 같다.
- 남사록 상권
- 남사록서(南槎錄序) /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
- 만력(萬曆) 〔●주상(主上) 35년〕 신축(辛丑) 7월
- 8월 초10일 을해(乙亥)
- 정원(政院)에서 아뢰는 글
- 예조(禮曹)에서 아뢰는 글
- 비변사(備邊司)에서 내린 별도로 해야 할 사항 17개 조목
- 비변사〔本司〕에서 또 아뢰는 글
- 13일 무인(戊寅)
- 14일 기묘(己卯)
- 과천(果川)가는 길에
- 15일 경진(庚辰)
- 수원(水原)가는 길에
- 16일 신사(辛巳)
- 17일 임오(壬午)
- 18일 계미(癸未)
- 19일 갑신(甲申)
- 목사(牧使)이신 당형(堂兄) 휴암(休庵) 선생께 올리다
- 20일 을유(乙酉)
- 21일 병술(丙戌)
- 22일 정해(丁亥)
- 23일 무자(戊子)
- 여산(礪山) 가는 길에
- 24일 기축(己丑)
- 금구(金溝)의 연정(蓮亭)
- 25일 경인(庚寅)
- 태인 양진당(泰仁 養眞堂) 〔2수〕
- 피향정(披香亭)에서 판상(板上)에 있는 시에 차운(次韻)하다 〔2수〕
- 26일 신묘(辛卯)
- 27일 임진(壬辰)
- 금성(錦城) 가는 길에
- 28일 계사(癸巳)
- 29일 갑오(甲午)
- 9월 초1일 을미(乙未)
- 초2일 병신(丙申)
- 객야서회(客夜書懷) 오체(吳體)를 본떠서
- 초3일 정유(丁酉)
- 초4일 무술(戊戌)
- 초5일 기해(己亥)
- 초6일 경자(庚子)
- 초7일 신축(辛丑)
- 산인(山人) 덕웅(德雄)의 시권(詩卷)을 보고 〔●2수〕
- 초8일 임인(壬寅)
- 초9일 계묘(癸卯)
- 술자리에서 입으로 부르는 대로 받아쓰게 하다 〔●3수〕
- 초10일 갑진(甲辰)
- 11일 을사(乙巳)
- 12일 병오(丙午)
- 즉석에서
- 같은 운(韻)자로〔차(次)〕/ 백선명(白善鳴)
- 같은 운(韻)자로〔차(次)〕/ 이백윤(李伯胤)
- 13일 정미(丁未)
- 망원루(望遠樓)에서 백윤(伯胤)과 이별하며
- 14일 무신(戊申)
- 15일 기유(己酉)
- 16일 경술(庚戌)
- 17일 신해(辛亥)
- 18일 임자(壬子)
- 관두(館頭)에서 자다가 깨어나서 〔●2수〕
- 19일 계축(癸丑)
- 두보(杜甫) 추흥(秋興) 시(詩)의 운자(韻字)를 써서 〔●8수〕
- 20일 갑인(甲寅)
- 21일 을묘(乙卯)
- 해구(海口)를 나서며 서울 여러 친구에게 부치노라
- 22일 병진(丙辰)
- 교서(敎書) 〔●지제교(知製敎) 이수광(李晬光)이 지어 올림〕
- 동파(東坡) 도해시(渡海詩)의 운(韻)을 써서
- 탐라시(耽羅詩) 35절(絶) / 최부(崔溥)
- 남명소승(南溟小乘) / 임자순 제(林子順 悌)
- 관풍안 명환(觀風案 名宦)
- 23일 정사(丁巳)
- 24일 무오(戊午)
- 천불봉(千佛峯)
- 오백장군동(五百將軍洞) / 임자순(林子順)
- 보허사(步虛詞) / 임자순(林子順)
- 25일 기미(己未)
- 한라산제문(漢拏山祭文) 〔●지제교(知製敎) 이수록(李綬祿)이 제진(製進)하였다〕
- 제사를 지낸 다음 정상에 올라 설순(雪淳)의 시축(詩軸) 가운데 외조부(外祖父) 시(詩)의 운자(韻字)를 써서 〔●2수(首)〕
- 장관편(壯觀篇)
- 노인성(老人星)
- 존자암(尊者庵)
- 우(又) / 임자순(林子順)
- 26일 경신(庚申)
- 관덕정(觀德亭)
- 관덕정기(觀德亭記) / 신석조(辛碩祖)
- 제영(題詠) /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
- 우(又) / 목사(牧使) 이약동(李約東)
- 우(又) / 종사관(從事官) 유의신(柳義臣)
- 우(又) / 목사(牧使) 이운(李耘)
- 우(又) / 목사(牧使) 민휘(閔暉)
- 우(又) / 목사(牧使) 심연원(沈連源)
- 우(又) / 목사(牧使) 이희옹(李希雍)
- 우(又) / 목사(牧使) 임형수(林亨秀)
- 우(又) 〔삼수(三首)〕 / 목사(牧使) 조사수(趙士秀)
- 우(又) / 경차관(敬差官) 유사원(柳思瑗)
- 전(全) 교수(敎授) 영달(穎達)에게 보임 〔삼수(三首)〕 / 목사(牧使) 김응남(金應南)
- 하(河) 정자(正字) 홍수(弘秀)에게 보임 / 목사(牧使) 김태정(金泰廷)
- 27일 신유(辛酉)
- 28일 임술(壬戌)
- 29일 계해(癸亥)
- 점필재(佔畢齋)의 탁라가(乇羅歌)를 보완하며 그 운(韻)을 경차(敬次)하여
- 점필재탁라가(佔畢齋乇羅歌) / 김종직(金宗直)
- 명륜당중수기(明倫堂重修記) / 윤구(尹衢)
- 중수명륜당서(重修明倫堂序) / 심연원(沈連源)
- 충암선생사당기(冲庵先生祠堂記) / 임제(林悌)
- 충암선생사식령후발(冲庵先生祠式令後跋) / 최사물(崔四勿)
- 결승정상량문(決勝亭上梁文) 〔글이 길어서 약기(略記)한다.〕 / 홍천경(洪天璟)
- 30일 갑자(甲子)
- 남사록(南槎錄) 원문(原文)
- 남사록서(南槎錄序) /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
- 남사록 하권
- 신축(辛丑, 1601년) 10월 초하루 을축(乙丑)
- 흥이 나서 2수 遊興 二首
- 바다 파도가 성(城)을 뒤흔들어 지음 海濤撼城作 / 임자순(林子順)
- 10월 초2일 병인(丙寅)
- 10월 초3일 정묘(丁卯)
- 10월 초4일 무진(戊辰)
- 새벽에 일어나서 (曉起)
- 10월 초5일 기사(己巳)
- 10월 초6일 경오(庚午)
- 10월 초7일 신미(辛未)
- 10월 초8일 임신(壬申)
- 10월 초9일 계유(癸酉)
- 10월 초10일 갑술(甲戌)
- 10월 11일 을해(乙亥)
- 10월 12일 병자(丙子)
- 연북정(戀北亭)ㆍ금오 이여척의 시(詩)에 차운하여 次李金吾汝惕韻
- 이섭정(李涉亭) / 임형수(林亨秀)
- 보문사(普門寺) / 승(僧) 혜일(慧日)
- 10월 13일 정축(丁丑)
- 성산(城山)
- 수산폐성(水山廢城)
- 우도(牛島)
- 우도가(牛島歌) / 충암(冲庵)
- 10월 14일 무인(戊寅)
- 정의현 객사 판상(板上)의 시에 차운하여 旌義客舍次板上韻
- 원운(原韻) / 임형수(林亨秀)
- 우(又) / 임자순(林子順)
- 우(又) / 유사원(柳思瑗)
- 영천관(靈泉館) / 이약동(李約東)
- 10월 15일 기묘(己卯)
- 마둔(馬屯) 2수(二首)
- 10월 16일 경진(庚辰)
- 천지담 돌 위에 시를 지음 題詩天池潭石上
- 산방(山房)
- 원운(原韻)에 차운하여 次原韻
- 원운(原韻) / 목사(牧使) 김충렬(金忠烈)
- 우(又) / 목사(牧使) 임형수(林亨秀)
- 우(又) / 유사원(柳思瑗)
- 대정(大靜) 가는 길에 大靜道中
- 10월 17일 신사(辛巳)
- 송악산(松岳山)
- 명월성(明月城)에 저물어 들어가자 시흥(詩興)이 일어나 明月城暮投遺興
- 10월 18일 임오(壬午)
- 두천(斗泉)
- 용두암(龍頭巖)
- 원운(原韻) / 임형수(林亨秀)
- 우(又) / 임자순(林子順)
- 취병담(翠屛潭) / 임자순(林子順)
- 서천암(逝川庵) / 승(僧) 혜일(慧日)
- 묘련사(妙蓮寺) / 승(僧) 혜일(慧日)
- 애월성(涯月城) 위에서 거친 바다를 바라보며 涯月城上望海惡
- 남명소승(南溟小乘) 천덕(千德) 전(傳) / 임제(林悌)
- 10월 19일 계미(癸未)
- 10월 20일 갑신(甲申)
- 10월 21일 을유(乙酉)
- 10월 22일 무술(戊戌)
- 신귤(新橘) 2수(二首)
- 10월 23일 정해(丁亥)
- 성 안의 공해(公廨) 〔객사(客舍), 관덕정(觀德亭), 운주당(運籌堂), 우련당(友蓮堂), 찬주당(贊籌堂), 상아(上衙), 망경루(望京樓), 이아(二衙), 귤림당(橘林堂), 향교(鄕校), 충암사(冲庵祠), 독실(纛室), 군영(軍營) 좌우위(左右衛), 군관청(軍官廳), 주창(州倉), 주사(州司), 교방(敎坊), 제이각(制夷閣), 결승정(決勝亭), 정원루(定遠樓)〕
- 충암록(冲庵錄)의 귤유(橘柚)
- 남명소승(南溟小乘)의 귤유보(橘柚譜)
- 과원(果園) 2수(二首)
- 10월 24일 무자(戊子)
- 10월 25일 기축(己丑)
- 충암사 제문(祭文)
- 10월 26일 경인(庚寅)
- 10월 27일 신묘(辛卯)
- 10월 28일 임진(壬辰)
- 10월 29일 계사(癸巳)
- 10월 30일 갑오(甲午)
- 11월 초하루 을미(乙未)
- 모흥혈(毛興穴)
- 우(又) / 임자순(林子順)
- 11월 초2일 병신(丙申)
- 11월 초3일 정유(丁酉)
- 11월 초4일 무술(戊戌)
- 11월 초5일 기해(己亥)
- 11월 초6일 경자(庚子)
- 11월 초7일 신축(辛丑)
- 11월 초8일 임인(壬寅)
- 11월 초9일 계묘(癸卯)
- 11월 초10일 갑진(甲辰)
- 11월 11일 을사(乙巳)
- 11월 12일 병오(丙午)
- 11월 13일 정미(丁未)
- 11월 14일 무신(戊申)
- 11월 15일 기유(己酉)
- 11월 16일 경술(庚戌)
- 11월 17일 신해(辛亥)
- 11월 18일 임자(壬子)
- 폐막(弊瘼)
- 11월 19일 계축(癸丑)
- 11월 20일 갑인(甲寅)
- 11월 21일 을묘(乙卯)
- 11월 22일 병진(丙辰)
- 11월 23일 정사(丁巳)
- 11월 24일 무오(戊午)
- 11월 25일 기미(己未)
- 11월 26일 경신(庚申)
- 11월 27일 신유(辛酉)
- 11월 28일 임술(壬戌)
- 두보(杜甫)의 시(詩) 지일(至日)에 차운하여 次杜詩至日韻
- 11월 29일 계해(癸亥)
- 12월 초하루 갑자(甲子)
- 12월 초2일 을축(乙丑)
- 눈 오는 밤 홀로 앉아 雪夜獨坐
- 12월 초3일 병인(丙寅)
- 12월 초4일 정묘(丁卯)
- 12월 초5일 무진(戊辰)
- 12월 초6일 기사(己巳)
- 나그네의 정황 旌況
- 새벽 창가에 새소리 들으며 曉窓聞啼鳥 / 임자순(林子順)
- 12월 초7일 경오(庚午)
- 12월 초8일 신미(辛未)
- 12월 초9일 임신(壬申)
- 12월 초10일 계유(癸酉)
- 12월 11일 갑술(甲戌)
- 12월 12일 을해(乙亥)
- 12월 13일 병자(丙子)
- 밤에 결승정(決勝亭)에 올라, 피리소리를 듣고 감흥 일어나 夜登決勝亭 聞篴有感
- 12월 14일 정축(丁丑)
- 12월 15일 무인(戊寅)
- 12월 16일 기묘(己卯)
- 12월 17일 경진(庚辰)
- 12월 18일 신사(辛巳)
- 조어복(弔魚腹)〔●기록하지 않는다.〕
- 밤에 앉아서 夜坐
- 12월 19일 임오(壬午)
- 12월 20일 계미(癸未)
- 노두(老杜)의 납일(臘日) 시(詩)에 차운하여 次老杜臘日詩韻
- 12월 21일 갑신(甲申)
- 12월 22일 을유(乙酉)
- 12월 23일 병술(丙戌)
- 12월 24일 정해(丁亥)
- 12월 25일 무자(戊子)
- 12월 26일 기축(己丑)
- 12월 27일 경인(庚寅)
- 12월 28일 신묘(辛卯)
- 12월 29일 임진(壬辰)
- 12월 30일 계사(癸巳)
- 섣달 그믐날 저녁 除夕
- 간재(簡齋)의 제석(除夕) 시(詩)에 차운하여 次簡齋韻
- 임인년(壬寅年, 1602년) 정월(正月) 초하루 갑오(甲午)
- 정월 초하루 元日
- 간재(簡齋)의 원일(元日) 시(詩)에 차운하여 次簡齋韻
- 정월 초2일 을미(乙未)
- 정월 초3일 병신(丙申)
- 정월 초4일 정유(丁酉)
- 정월 초5일 무술(戊戌)
- 설순(雪淳) 어른의 방문에 감사하며 謝雪淳丈老來訪
- 정월 초6일 기해(己亥)
- 정월 초7일 경자(庚子)
- 두보〔老杜〕의 인일(人日) 시(詩)에 차운하여 次老杜人日韻
- 정월 초8일 신축(辛丑)
- 정월 초9일 임인(壬寅)
- 정월 초10일 계묘(癸卯)
- 정월 11일 갑진(甲辰)
- 관벽(館壁)에 쓰다 題館壁
- 정월 12일 을사(乙巳)
- 정월 13일 병오(丙午)
- 눈 속에 감흥 일어 雪中遺興
- 조천관잡영(朝天館雜詠)〔운(韻)마다 두 수(每韻兩首) ○ 10수(十首)〕
- 정월 14일 정미(丁未)
- 두보〔老杜〕의 입춘일(立春日) 시(詩)에 차운하여 次老杜立春日韻
- 연북정(戀北亭)의 춘첩자(春帖子) 2수(二首)
- 정월 15일 무신(戊申)
- 정월 16일 기유(己酉)
- 정월 17일 경술(庚戌)
- 정월 18일 신해(辛亥)
- 정월 19일 임자(壬子)
- 관덕정(觀德亭)에 매화(梅花)가 피기 시작했다는 말을 듣고 몇 가지를 꺾어 왔는데 화심(花心)이 아직 이르다. 문득 두보〔老杜〕의 「매예경수안(梅蕊警愁眼)」이란 글이 떠올라 이 다섯 글자로 운자(韻字)를 나누어 다섯 수(首)의 절구(絶句)를 짓다 聞觀德亭梅花始開 折數枝以來 花心尙早 忽起老杜梅蕊警愁眼分韻 作五絶
- 정월 20일 계축(癸丑)
- 정월 21일 갑인(甲寅)
- 초저녁 初昏
- 정월 22일 을묘(乙卯)
- 정월 23일 병진(丙辰)
- 바람에 막혀, 장남삼아 배우체(俳優體) 절구(絶句) 다섯 수(首)를 짓다 阻風 戯成俳優體五絶
- 정월 24일 정사(丁巳)
- 정월 25일 무오(戊午)
- 정월 26일 기미(己未)
- 영랑곡(迎郞曲) / 임자순(林子順)
- 송랑곡(送郞曲) / 임자순(林子順)
- 정월 27일 경신(庚申)
- 초란도(草蘭島) 석벽(石壁)에 쓰다 2수 題草蘭島石壁 二首
- 정월 28일 신유(辛酉)
- 정월 29일 임술(壬戌)
- 정월 30일 계해(癸亥)
- 2월 초1일 갑자(甲子)
- 제주객관에 있을 때, 완화(浣花)의 유수체(流水體) 병풍이 있었는데, 무료하던 중 우연히 그에 차운하다가 종편(終篇)을 못하고 순풍을 만나 배가 출발하였다. 그래서 해상(海上) 여러 섬에 묵던 날 보운(步韻)을 마치고 소견(所見)을 기록함 8수 在濟州客館時 有浣花流水屛風 無聊中偶次其韻 未及終篇 遇風船發 仍扵海上諸島 留宿之日畢步 以記所見 八首
- 2월 14일 정축(丁丑) / 예궐(詣闕) 복명(復命)
- 발문(跋文) / 김창현(金彰顯)
- 남사록(南槎錄) 원문(原文)ㆍ하(下)
- 남사록(南槎錄) 원문(原文)ㆍ상(上)
- 부록 1 남사록(南槎錄) 소재 한시(漢詩) 목록
- 부록 2 남사록(南槎錄) 소재 각종 문(文) 목록
- 부록 3 남사록(南槎錄)의 제주 지지(地誌) 성격
- 신축(辛丑, 1601년) 10월 초하루 을축(乙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