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소닥틸루스
[image]
복원도
중생대 쥐라기 후기 지금의 카리브 지역에서 살았던 람포링쿠스류 익룡. 속명은 '섬의 손가락'이라는 뜻으로, 이 녀석의 화석이 카리브의 섬나라인 쿠바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 녀석의 모식표본은 1918년 쿠바 서부 피나르 델 리오(Pinar del Río) 지방의 하구아층(Jagua Formation)에서 쥐라기 후기 해양 생태계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화석을 발굴하기 위해 확보한 일곱 덩이의 석회암 덩어리 속에서 발견되었다. 다만 해당 석회암 덩어리가 확보된 이후 즉각 후속 연구가 진행된 것은 아니었고, 이 때문에 이 녀석은 그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은 채로 석회암 속에 파묻혀 '''무려 50년 가량을''' 박물관 수장고에 처박혀 있었다(...). 이 녀석의 화석이 빛을 보게 된 것은 그로부터 한참 시간이 지난 1966년의 일로, 당시 컬럼비아 대학교의 대학원생이었던 리처드 룬드(Richard Lund)가 어류 화석을 찾기 위해 이 석회암 덩어리를 산으로 녹여 깎아내는 과정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확인된 화석은 두개골 일부를 비롯해 경추와 미추 일부, 갈비뼈와 넓다리뼈 일부 등이었으며, 골격들이 전체적으로 산만하게 흩어져있긴 했지만 그 대신 화석화 과정에서 찌그러지지 않고 3차원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모식표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1969년 학계에 정식으로 보고되어 지금과 같은 학명을 부여받았는데, 관련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날개 길이[1] 나 팔꿈치 부분의 형태 등 골격 구조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는 것 외에는 이 녀석과 마찬가지로 쿠바에서 발견된 익룡인 카키붑테릭스나 유럽의 람포링쿠스와 전체적으로 매우 흡사하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보아 계통분류학상으로도 이들과 가까운 관계에 있었을 것이며, 생태 역시 비슷했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상태.
복원도
1. 개요
중생대 쥐라기 후기 지금의 카리브 지역에서 살았던 람포링쿠스류 익룡. 속명은 '섬의 손가락'이라는 뜻으로, 이 녀석의 화석이 카리브의 섬나라인 쿠바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2. 상세
이 녀석의 모식표본은 1918년 쿠바 서부 피나르 델 리오(Pinar del Río) 지방의 하구아층(Jagua Formation)에서 쥐라기 후기 해양 생태계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화석을 발굴하기 위해 확보한 일곱 덩이의 석회암 덩어리 속에서 발견되었다. 다만 해당 석회암 덩어리가 확보된 이후 즉각 후속 연구가 진행된 것은 아니었고, 이 때문에 이 녀석은 그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은 채로 석회암 속에 파묻혀 '''무려 50년 가량을''' 박물관 수장고에 처박혀 있었다(...). 이 녀석의 화석이 빛을 보게 된 것은 그로부터 한참 시간이 지난 1966년의 일로, 당시 컬럼비아 대학교의 대학원생이었던 리처드 룬드(Richard Lund)가 어류 화석을 찾기 위해 이 석회암 덩어리를 산으로 녹여 깎아내는 과정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확인된 화석은 두개골 일부를 비롯해 경추와 미추 일부, 갈비뼈와 넓다리뼈 일부 등이었으며, 골격들이 전체적으로 산만하게 흩어져있긴 했지만 그 대신 화석화 과정에서 찌그러지지 않고 3차원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모식표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1969년 학계에 정식으로 보고되어 지금과 같은 학명을 부여받았는데, 관련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날개 길이[1] 나 팔꿈치 부분의 형태 등 골격 구조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는 것 외에는 이 녀석과 마찬가지로 쿠바에서 발견된 익룡인 카키붑테릭스나 유럽의 람포링쿠스와 전체적으로 매우 흡사하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보아 계통분류학상으로도 이들과 가까운 관계에 있었을 것이며, 생태 역시 비슷했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