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프트 펑크/음반

 



1. 개요
1.1. 정규 앨범
1.2. 라이브 앨범
1.3. 리믹스/컴필레이션 앨범
1.4. 발표 싱글
1.5. 리믹스 곡
1.6. 참여 곡


1. 개요


프랑스 2인조 일렉트로닉 듀오 다프트 펑크의 음반을 서술한 문서.

1.1. 정규 앨범


'''발매일'''
'''앨범명'''
'''최고 순위'''
'''판매량'''[1]
'''레이블'''
'''비고'''
1997. 1. 17.
'''Homework'''
3위[2]
2,000,000장
Virgin, Soma

2001. 3. 12.
'''Discovery'''
2위[3]
약 3,000,000여장[4]
Virgin

2005. 3. 14.
'''Human After All'''
3위[5]
약 600,000여장 [6]
Virgin

2013. 5. 17.
'''Random Access Memories'''
1위[7]
3,400,000장[8]
Columbia


1.2. 라이브 앨범


  • Alive 1997 (2001)[9]
  • Alive 2007 (2007)[10]

1.3. 리믹스/컴필레이션 앨범


  • Daft Club (2003)
  • Human After All : Remixes (2006)[11]
  • Musique Vol. 1 1993-2005 (2006)[12]
  • Tron : Legacy R3configur3d (2011)[13]

1.4. 발표 싱글


  • Darlin - Shimmies in Super 8 (1993)[14]
  • Darlin - De La Viande Pour Le Disco? (1993)
  • Daft Punk - The New Wave (1994) [15]
  • Daft Punk - Drive (1994, 미발표곡)
-Drive[16]
  • Daft Punk - Da Funk (1996)
- Da Funk[17]
- Musique[18]

1.5. 리믹스 곡


  • The Micronauts - Get Funky Get Down (Daft Punk Remix) (1995)
  • The Chemical Brothers - Life Is Sweet (Daft Punk Remix) (1995)

1.6. 참여 곡


  • Manu Le Malin - Memory (1995)
- M18[19]
  • DJ Kevin - Two Years Together (1995)
- Starboy[20]
- I Feel It Coming[21]
- Hurt You[22][23]

[1] 전세계 총합 판매량[2] 프랑스 SNEP 앨범차트 기준. 영국 오피셜 앨범차트 8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150위.[3] 프랑스 SNEP 앨범차트 기준. 영국 오피셜 앨범차트 2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23위. 미국 빌보드 댄스/일렉트로닉 앨범차트 3위[4] 각국의 공식 판매량으로는 유럽 전체 2,000,000장, 일본 200,000장, 미국 800,000장[5] 프랑스 SNEP 앨범차트 기준. 영국 오피셜 앨범차트 10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98위. 미국 빌보드 댄스/일렉트로닉 앨범차트 1위[6] 프랑스 200,000장, 영국 80,000장, 미국 120,000장.[7] 프랑스 SNEP 앨범차트 기준. 영국 오피셜 앨범차트 1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1위. 미국 빌보드 댄스/일렉트로닉 앨범 차트 1위. 대한민국 가온차트 국외앨범차트 1위.[8] 프랑스 800,000장, 독일 300,000장, 영국 300,000장, 미국 1,000,000장, 일본 100,000장, 대한민국 15,000장[9] 어찌된 일인지 이 음반은 Alive 1997 셋리스트의 곡 대부분이 실려 있지 않다. 왜 이렇게 발매했는지는 다펑 말고 아무도 모른다. 재생시간도 45분 정도로 꽤 짧은 편. 그렇다고 음반의 퀼리티가 떨어지는건 아니고 오히려 alive 2007보다 alive 1997에 더 높은 평가를 주는 사람도 더러 있다.(실제공연의 셋리스트) 정식 음반으로 나온 것은 아니지만 잘 찾아보면 당시 공연에 간사람들이 녹음한 부틀렉을 구할 수 있다.[10] 2009년 그래미 어워즈에서 최고의 댄스/일렉트로닉 앨범 부문에서 수상하였다.[11] 일본 한정 발매였으나 2014년 8월 22일 전 세계에 발매되었다.[12] 컴필레이션 앨범[13] OST 리믹스 음반이다.[14] 달링으로 활동하던 시기 나온 첫 음악. [15] 이때부터 daft punk 명의로 활동했다,Homework에 수록된 Alive도 이 싱글에서 믹스된 형태로 발매되었다[16] 원래 발매예정이였지만 당시 소속 레이블인 SOMA Records에서 "Drive" 대신 "Da Funk"를 보내달라고하여 이 곡은 미발표되었다가 후에 조금 편곡되어 Homework의 수록곡인 "Rollin' & Scratchin'"로 발매되게 된다[17] 후에 정규앨범 Homework에 수록되었다.[18] 후에 컴필레이션 앨범 Musique Vol. 1 1993-2005에 수록되었다.[19] [20] Starboy의 경우 I Feel It Coming보다 다프트 펑크의 색채는 옅은 편이다.[21] 이 곡은 Starboy랑 다르게 아예 다프트 펑크가 전반적인 작곡을 맡은 것으로 보일 정도로 다프트 펑크의 색채가 매우 강하게 묻어 있다. 80~90년대를 연상시키는 특유의 복고풍 스타일도 그렇고 다펑의 보코더 목소리가 Starboy보다 더 크고 또렷하기도 하고.[22] 다프트 펑크의 기마뉘엘이 작사가 및 프로듀서에 참여한 곡이다. 또한 Gesaffelstein과 작업을 함께 했다.[23] 음악 속 느리고 울리는 듯한 사이렌 소리는 영화 <킬 빌 Vol. 1> OST로도 등장한 퀸시 존스의 히트곡 'Ironside'를 샘플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