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레이

 

1. 개요
2. 2000년 제1호 태풍
2.1. 진로도 경과 표[출처]
3. 2005년 제18호 태풍
4. 2012년 제10호 태풍
4.1. 기록
5. 2017년 제23호 태풍


1. 개요


담레이(ដំរី, Damrey)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크메르어로 코끼리를 의미한다. 최초 대한민국 표기는 '돔레이'였다.

2. 2000년 제1호 태풍



'''2000년''' '''태풍'''
'''제1호 돔레이''' → 제2호 롱방
'''2000년 제1호 태풍 돔레이'''
위성사진
[image]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00년 5월 7일 9시 ~ 2000년 5월 12일 21시
영향 지역
마리아나 제도,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태풍 등급
'''5등급'''[JTWC]
태풍 크기
'''대형(직경 1500 km)'''
최저 기압
'''93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80 m/s'''
10분 평균
'''46 m/s'''
2000년 5월 7일 발생하여 2000년 5월 12일 소멸한 태풍으로. 2000년 첫 태풍이기도 하며 최대풍속 51 m/s (100 kt; 185 km/h) 그리고 최저기압 930 hPa이었다.
당시 일본 기상청은 매우 강력한 대형 태풍으로 규정하였고 허리케인 등급으로는 5등급 태풍이었다.

2.1. 진로도 경과 표[출처]


시기[1]
1분풍속[2]
1분풍속[3]
등급[4]
050318
25
13
TD
050418
25
13
TD
050518
30
15
TD
050606
35
18
TS
050612
40
21
TS
050618
55
28
TS
050700
60
31
TS
050706
65
33
C1
050712
70
36
C1
050718
75
39
C1
050812
85
44
C2
050818
105
54
C3
050900
115
59
C4
050906
130
67
C4
050912
150
77
C5
050918
'''155'''
'''80'''
C5
051000
140
72
C5
051006
105
54
C3
051012
90
46
C2
051018
65
33
C1
051100
55
28
TS
051106
45
23
TS
051112
40
21
TS
051118
35
18
TS
051200
30
15
TD
051206
25
13
TD
051212
25
13
TD(소멸)

3. 2005년 제18호 태풍



'''2005년''' '''태풍'''
제17호 사오라 → '''제18호 담레이''' → 제19호 룽왕#s-3
'''2005년 제18호 태풍 담레이'''
위성사진
[image]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05년 9월 21일 9시 ~ 2005년 9월 28일 3시
영향 지역
필리핀, 대만, 중국, 홍콩, 마카오, 베트남, 라오스
태풍 등급
'''2등급'''[JTWC]
태풍 크기
'''중형(직경 900km)'''
최저 기압
'''955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6 m/s'''
10분 평균
'''41 m/s'''
2005년 9월 21일부터 9월 28일까지 활동한 태풍으로, 필리핀, 베트남에 큰 피해를 안겨주었다.

4. 2012년 제10호 태풍



'''2012년''' '''태풍'''
제9호 사올라 → '''제10호 담레이''' → 제11호 하이쿠이#s-2
'''2012년 제10호 태풍 담레이'''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12년 7월 28일 21시 ~ 2012년 8월 3일 21시
영향 지역
중국, 대한민국, 일본
태풍 등급
'''1등급'''[JTWC]
태풍 크기
'''중형(직경 850km)'''
최저 기압
'''965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1 m/s'''
10분 평균
'''36 m/s'''
2012년 제10호 태풍 담레이는 7월 28일 21시경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동남쪽 부근 해상 (26.0N, 147.1E)에서 열대폭풍(TS)으로 발달하며 태풍으로 명명되었다. 이 태풍은 발생부터 소멸까지 북태평양 고기압의 남서쪽 주변부를 따라 계속 서북서진하는 진로를 보였다. 일본 가고시마현의 다네가 섬을 통과한 후 제주도 남해상을 지나면서 SSHS 기준 1등급 태풍으로 발달하여 전성기를 맞이하고, 중국 롄윈강 시 일대에 상륙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남해안과 제주도가 직접 영향권에 들어갔다.
한중일 3국에 다 피해가 있었다.

4.1. 기록


'''순간최대풍속(m/s)'''
공식
제주
'''고산 25.1''' 제주 19.6 서귀포 16.1 성산 16.0
전남 서해안/내륙
진도(첨찰산) 20.6 흑산도 18.5 목포 13.4 영광 12.0 해남 11.3 광주 10.3
전남 남해안
장흥 17.3 완도 15.7 광양 15.4 여수 13.9 강진 13.7 순천 10.8 보성 10.2
비공식
제주
'''가파도 30.8''' 윗세오름 29.7 진달래밭 26.4 서광 25.6

5. 2017년 제23호 태풍



'''2017년''' '''태풍'''
제22호 사올라 → '''제23호 담레이''' → 제24호 하이쿠이#s-3
'''2017년 제23호 태풍 담레이'''
진로도
[image]
활동 기간
2017년 11월 2일 9시 ~ 2017년 11월 5일 3시
영향 지역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태풍 등급
'''2등급'''[JTWC]
태풍 크기
'''중형(직경 900 km)'''
최저 기압
'''97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6 m/s'''
10분 평균
'''36 m/s'''

[출처] A B JTWC 진로도 문서 다운로드 주소[JTWC] A B C D [1] mmddhh[2] 노트, knots[3] m/s[4] SS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