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위시대

 

大空位時代 / Great Interregnum.
1. 개요
2. 소개
3. 관련 문서


1. 개요


1254년 ~ 1273년 동안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위가 공석이었던 공위시대를 지칭한다. 해외에서는 'The Great Interregnum' 이라고 부른다.

2. 소개


12세기 후반부 들어 절정의 위세를 과시하던 교황들과 강력한 황권을 추구했던 호엔슈타우펜 가문신성 로마 제국 황제들은 잦은 대립을 벌였다. 특히 호엔슈타우펜 가문시칠리아 왕국의 왕위까지 차지하며 남부 이탈리아까지 손에 넣게 되면서 이탈리아 반도를 두고 황제와 교황의 권력 싸움은 절정에 이르고 있었다.
교황들은 황제를 견제하고 길들이기 위해 파문을 남발하고 대관식을 자꾸 연기하며 정식 황제로 임명하지 않는 수법을 사용했다. '최초의 르네상스인'으로 불리며 시대를 앞서나갔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인노첸시오 3세 등 당시 절정의 위세를 과시하던 교황들과 잦은 대립을 벌였다. 교황은 프리드리히 2세가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이지 않을 때마다 수차례 파문을 남발하여 황제를 곤경에 처하게 만들었다. 프리드리히 2세가 파문에 처하자 각지에서 파문을 명분으로 황제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고 이 때문에 프리드리히 2세는 반란을 토벌하느라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1250년 프리드리히 2세가 사망하고, 뒤를 이어 황제로 선출된 차남 콘라트 4세 역시 교황에게 파문을 당하고 대관을 받지 못해 황제 자리에도 오르지 못하며 각지에서 계속되는 반란으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냈다.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콘라트 4세가 1254년 사망하자 그 후계자를 두고 제국은 분열을 겪는다. 콘라트 4세에게는 콘라딘이라는 아들이 있었지만 2살에 불과했기 때문에 배제되고 말았다.[1][2] 이미 프리드리히 2세 시절 대립왕에 즉위한 홀란트 백작 빌헬름(재위 1247~1256)이 있었으나 그도 1256년 사망하고 만다. 혼란스러운 정국 속에서 후계 황제를 놓고 제후들은 분열하게 된다. 라인 지방의 영주들은 영국왕 헨리 3세의 영향으로 헨리 3세의 동생인 콘월 공작 리처드(재위 1257~1272)를 독일왕으로 선출했고, 다른 세력은 프랑스왕의 지지 아래 카스티야왕 알폰소(재위 1257~1275)를 옹립하였다. 두 명의 외국인 출신 대립왕들은 누구도 결정적인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교황은 이러한 사태를 즐겼고 두 명의 대립왕 중 누구에게도 황제 대관을 하지 않았다. 결국 장기간 제위가 비는 사태가 발생한다.
교황은 자신의 권력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존재인 황제가 없는 상황을 반겼다. 이렇게 황제 자리가 공석으로 방치된 채 20년이 유야무야 지나버렸고(...), 시간이 갈수록 독일 지역의 상황은 막장이 되어가 마침내 교황조차 황제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유력 제후들의 세력 다툼에 시달리던 중소 영주들과 여러 도시들에서도 황제 옹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이런 흐름 속에 1273년, 마침내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의 요청으로 프랑크푸르트에서 황제를 선출하기 위한 회의가 열리게 되었다. 황제 선출을 위해 모인 선제후들은 스스로 황제 후보로 나서지 않으면서도 다른 유력 가문이 제위를 차지하는 것을 견제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회의는 한동안 공전으로 흐르다가 힘의 균형을 위해 일부러 한미한 가문 출신을 황제로 선출하는 쪽으로 분위기가 기울기 시작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프리드리히 2세의 대자(代子 godson)이자 유력 가문들과 혼인 동맹을 맺고 있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백작 루돌프 4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추대되어 루돌프 1세로 즉위한다. 이로써 대공위시대는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백작'''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된 것은 첫 사례였다. 그전까지는 당연하게도 공작 가운데서 황제가 선출되었다.
야심가 루돌프 1세는 황제의 자리에 오르자마자 황제의 권력을 이용해 세력을 크게 확장했다. 루돌프 1세는 자신의 최대 정적인 오타카르 2세에 대해 황제에게 불경하다는 이유를 들어 그를 굴복시키고 오스트리아 공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을 획득하고, 케른텐 공국, 크라인 공국 등을 자신의 영향권 아래에 두는 등 세력을 크게 확장했다. 한미한 가문 합스부르크는 불과 몇년 만에 신성 로마 제국 최대의 가문으로 급부상했다. 이에 다른 제후 세력들이 다시 루돌프 1세와 합스부르크를 견제하기 시작한다. 결국 루돌프 1세는 일부 세력의 반대로 교황의 대관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워낙 황제의 존재를 필요로 했던 교황은 대관식을 하지 않고도 그를 황제로 인정해 버렸다.
루돌프 1세가 황제가 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력이 급격하게 팽장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위를 세습하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선제후들은 이후에도 계속해서 황제를 세습시키지 않고 나사우 '''백작''', 룩셈부르크 '''백작''', 비텔스바흐 '''백작'''으로 돌려가면서 즉위시켰다. 게다가 이런 백작 출신 황제들은 한동안 교황의 대관도 받지 못했다. 이 와중에 룩셈부르크 가문이 세력을 크게 확장하고 거의 황제 세습에 가까이 다가갔으나 가문이 단절되고 말았고, 15세기 중반에 이르러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시 제위에 오르는 데 성공하면서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제위를 세습하게 된다.

3. 관련 문서



[1] 선대 프리드리히 2세 역시 하인리히 6세가 사망했을 당시 3살에 불과했기 때문에 제위를 물려받지 못한 바 있다.[2] 콘라딘시칠리아 왕위를 놓고 프랑스 왕 루이 9세의 동생인 앙주의 샤를과 싸우다 붙잡혀 처형당했다. 콘라딘은 20살이 되기도 전에 죽었고 거기에 후계자가 없었다. 또 프리드리히 2세에겐 황위 계승권은 없지만 적법한 서자라고 인정받은 아들들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시칠리아왕 만프레디와 사르다니아 왕 엔조(후에 폐위)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모두 남계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패사하거나 옥사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