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버스 711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 구 740번이 전신이다.
- 2008년 개편 때 법동 쪽을 살짝 바꾸고 '대전역 - 문화동' 구간을 자른 대신 신탄진까지 연장시켰으며, 번호도 711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는 대전역에서 중앙시장, 원동네거리로 직진해서 대동역을 거쳐 대전역 동광장으로 들어갔다.
- 개편 1달 후 중앙로역 경유로 바뀌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또 개편 초기엔 한남대와 대전역을 연결하는 유일한 노선이었지만 얼마 후 314번이 수요 분담차원에서 연장되었다.
- 2013년 6월 25일에 협진운수 철수하고 동건운수 단독운행으로 바뀌었다. 협진운수 운행분 4대는 동건운수가 대신 메꾸었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2015년 7월 24일에 2대가 감차되고 2016년 9월 1일자로 1대 추가 감차되어, 평일 13대, 주말 12대가 운행을 한다.
- 2015년 7월 31일부터 신탄진기점에서 바로 신탄진시장으로 가지 않고, 금강엑슬루타워 정문 쪽으로 돌아서 간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2017년 7월 28일에 운수업체가 충진교통((현)대전승합)에서 동건운수, 협진운수로 바뀌었다.
- 2018년 10월 22일부터 오후 1대 휴차로 배차간격이 16분으로 늘어나면서, 60분 이내 환승가능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20년 8월 5일에 동건운수 단독운행, 30분 이내 환승가능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신탄진에서 대전역과 은행동까지는 직선으로 쏴주지만 대흥동성당부터 대전역동광장까지는 대흥동, 원동, 대동을 U자 모양으로 뱅뱅 돈다.
- 314번과 함께 한남대학교 학생들의 중요 통학노선인데 동대전고 - 한남대 - 대덕구청 - 대전역 - 중앙로역 구간이 중복되지만 314번은 이미 서대전네거리에서 가축수송을 하고 오는지라 대전역에서 한남대까지 통학할 때 이 버스를 노리는게 나을 듯 싶다.
- 신탄진고 앞을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3] 덕분에 신탄진고 학생들의 중요 통학노선 역할을 하고 있다. 중리로 역시 독점구간이다.
- 대전역이나 은행동에서 신탄진, 읍내동, 신대동까지 급행2번과 비교해도 시간 차이가 얼마 나지 않으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오히려 711번이 신탄진의 어떤 노선들보다도 가장 빨리 시내에 도달할 수 있다. (급행 2번과 701번은 빙 돌아서 가며 중리동~복합터미널 상습 정체 구간을 지나므로 출퇴근 시간대에는 711번이 더 빠르다. 다만 배차 간격이 15분으로 길다는 점...) 하지만 자주 다니는 급행 2번과 701번[4] 에 수요를 다 뺏겨서인지 신탄진에서 읍내동 사이의 구간은 거의 빈차 상태로 한산하게 다닌다.
- 현재는 신탄진에서 읍내동 사이의 구간은 한산하게 운행을 하게 되었고, 주로 읍내동에서 시내로 왔다갔다하는 수요를 처리하고 있다.
- 이렇게 신탄진에서 은행동까지는 직선으로 쭉 가지만 은행동에서 동광장으로 들어갈때는 상습정체구간인 대흥동과 원동 구간을 빙빙 돌므로 가까운 거리지만 10~15분까지 걸린다. 하지만 은행동-대전역-신탄진까지는 최단거리로 이동하므로 가장 빨리 신탄진과 시내를 왔다갔다 할 수 있다.
- 711번은 이용객 수에 비해 배차 간격이 길어진 면이 있다. 노선 특성상 배차 간격이 현재 15분에서 11분까지 단축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 등교시간인 7:30 대에는 중리동부터 헬게이트가 시작된다.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동대전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해 2~3대 정도 증차가 필요하다. 하교시간대에도 헬게이트는 마찬가지이다. 세종 버스 B2 보다 심각하다.
- 주요 수요처는 법동~중리동~한남대학교, 홍도동에서 대전역과 선화ㆍ대흥동 도심까지 수요를 보이며 한때 701번에게 승객 수요를 많이 빼앗긴 시절이 있었으나 701번이 서남부터미널에서 대전고등학교로 단축되면서 승객 수가 도리어 늘고 있다.
- 여담으로, 2017년 7월 28일에서 622번 개통 전까지 협진운수 운행노선들 중 유일하게 유성구를 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