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림자
1. 개요
형제간에 같은 글자가 들어간 이름을 사용하는 것. '''항렬자와는 다르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부계쪽 사촌형제까지도 모두 같은 글자를 공유한다면 항렬자일 확률이 높고, 형제자매끼리만 공유한다면 돌림자일 확률이 높다.[1]
2. 용례
항렬자와는 달리 부모가 임의로 정한 글자를 넣을 수 있다. 세련된 글자와 올드한 글자가 섞여 있는 항렬자와 달리 세련된 글자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름의 앞 글자를 돌림자로 하는 경우도 있고 뒷 글자를 돌림자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전자의 경우 이성 형제가 같은 글자를 쓰기도 하지만(ex.지영, 지혁 // 민경, 민서, 민석, 민아, 민우, 민주, 민준, 민지[2] ) 후자의 경우 대개 동성 형제만이 같은 글자를 공유한다.(ex.민우, 용우, 윤우, 다현, 서현//예린,서린,재민,태민) 간혹 돌림자를 흐름(?)으로 만들기도 하며(ex.시현, 시은, 다은) 심지어 순우리말 이름을 돌림자로 짓기도 한다(...).(ex.한솔, 한비)
2.1. 과거
항렬자보다 훨씬 먼저 시작되었다. 그 유래는 대략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이부형제나 이복형제가 많았기에 보통 동부, 동복, 동성인 형제 간에만 돌림자를 썼다.(ex.삼맥종, 숙흘종) 물론 평민들은 안 쓰는 경우도 차고 넘쳤고(애초에 평민들은 '''구한말까지''' 대부분 순우리말 이름을 썼기 때문에 어지간히 네이밍 센스가 좋지 않은 한 돌림자 맞추기도 어려웠다.) 주로 고위 귀족 가문이나 왕가에서 쓰였다. 물론 왕가라고 해서 다 쓰는 건 아니다.(ex.천명, 덕만)
과거에는 승려들의 법명에도 돌림자를 썼다.
2.2. 현재
21세기부터는 항렬자와 마찬가지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좋은 이름으로 작명하려고 해도 항렬자와 돌림자가 발목을 잡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다가[3] 인식도 나쁘기 때문이다.
3. 돌림자를 사용하는 인물
- 범 현대가 - 1세대는 "영"자 돌림을, 2세대는 "몽"자 돌림을, 3세대는 "선"자 돌림을 쓰고 있다.
- 북한의 소위 백두혈통 - 김일성 세대는 주(柱)자 돌림[4] , 김정일 세대는 일(日)자 돌림, 김정은 세대는 정(正)자 돌림을 쓰고 있다.
[1] 물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사촌형제까지 같은 글자를 공유함에도 그 글자가 항렬자가 아니라 부모들이 임의로 정한 돌림자인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아버지의 형제들이 자녀의 이름을 지을 때 누구는 항렬자를 따르고, 누구는 따르지 않는 식으로 이름을 지었다면 엄연히 항렬자임에도 형제자매끼리만 글자를 공유할 수도 있다.[2] 원래 '민'자 돌림이 남매 돌림자로 짓기도 무난하다.[3]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이순규가 있다.[4] 김일성의 본명은 김성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