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림자

 


1. 개요
2. 용례
2.1. 과거
2.2. 현재
3. 돌림자를 사용하는 인물


1. 개요


형제간에 같은 글자가 들어간 이름을 사용하는 것. '''항렬자와는 다르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부계쪽 사촌형제까지도 모두 같은 글자를 공유한다면 항렬자일 확률이 높고, 형제자매끼리만 공유한다면 돌림자일 확률이 높다.[1]

2. 용례


항렬자와는 달리 부모가 임의로 정한 글자를 넣을 수 있다. 세련된 글자와 올드한 글자가 섞여 있는 항렬자와 달리 세련된 글자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름의 앞 글자를 돌림자로 하는 경우도 있고 뒷 글자를 돌림자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전자의 경우 이성 형제가 같은 글자를 쓰기도 하지만(ex.지영, 지혁 // 민경, 민서, 민석, 민아, 민우, 민주, 민준, 민지[2]) 후자의 경우 대개 동성 형제만이 같은 글자를 공유한다.(ex.민우, 용우, 윤우, 다현, 서현//예린,서린,재민,태민) 간혹 돌림자를 흐름(?)으로 만들기도 하며(ex.시현, 시은, 다은) 심지어 순우리말 이름을 돌림자로 짓기도 한다(...).(ex.한솔, 한비)

2.1. 과거


항렬자보다 훨씬 먼저 시작되었다. 그 유래는 대략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이부형제나 이복형제가 많았기에 보통 동부, 동복, 동성인 형제 간에만 돌림자를 썼다.(ex.삼맥종, 숙흘종) 물론 평민들은 안 쓰는 경우도 차고 넘쳤고(애초에 평민들은 '''구한말까지''' 대부분 순우리말 이름을 썼기 때문에 어지간히 네이밍 센스가 좋지 않은 한 돌림자 맞추기도 어려웠다.) 주로 고위 귀족 가문이나 왕가에서 쓰였다. 물론 왕가라고 해서 다 쓰는 건 아니다.(ex.천명, 덕만)
과거에는 승려들의 법명에도 돌림자를 썼다.

2.2. 현재


21세기부터는 항렬자와 마찬가지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좋은 이름으로 작명하려고 해도 항렬자와 돌림자가 발목을 잡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다가[3] 인식도 나쁘기 때문이다.

3. 돌림자를 사용하는 인물


  • 범 현대가 - 1세대는 "영"자 돌림을, 2세대는 "몽"자 돌림을, 3세대는 "선"자 돌림을 쓰고 있다.
  • 북한의 소위 백두혈통 - 김일성 세대는 주(柱)자 돌림[4], 김정일 세대는 일(日)자 돌림, 김정은 세대는 정(正)자 돌림을 쓰고 있다.
[1] 물론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사촌형제까지 같은 글자를 공유함에도 그 글자가 항렬자가 아니라 부모들이 임의로 정한 돌림자인 경우도 있으며, 반대로 아버지의 형제들이 자녀의 이름을 지을 때 누구는 항렬자를 따르고, 누구는 따르지 않는 식으로 이름을 지었다면 엄연히 항렬자임에도 형제자매끼리만 글자를 공유할 수도 있다.[2] 원래 '민'자 돌림이 남매 돌림자로 짓기도 무난하다.[3] 대표적인 케이스로는 이순규가 있다.[4] 김일성의 본명은 김성주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