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풀
[image]
밑둥을 돌려서 쓰는 고체 풀을 일컫는 말. 원래는 아모스에서 생산하는 특정 제품의 브랜드명이나, 같은 형태의 제품을 모두 지칭하는 상표의 보통명사화 중 하나로 굳어졌다. 일반적으로는 녹색 몸통에 노란 뚜껑이 달린 아모스 사의 딱풀을 연상하는 사람이 많고, 실제로도 가장 많이 팔리는 딱풀 종류도 아모스의 딱풀이다.
사실 딱풀은 glue stick이라고 해서 1969년 독일의 헨켈 [1] 의 프리트라는 브랜드의 제품 중 하나인 Pritt stick라는 이름으로 생산하고 있는 제품이다.
이 풀의 특징인 립스틱에서 영감을 얻은 스크류 방식의 고체풀을 만든곳도 헨켈사인데 어째 아모스에서는 이 회사와의 관계에 대해서 언급이 없다. 헨켈코리아가 설립된 시기는 1989년이고 딱풀이 나온 게 1984년이며, 그 당시 지적재산권 인식수준을 생각한다면...
대한민국에서 딱풀이 출시된 시기는 1984년 5월로 아모스가 설립되자마자 가장 먼저 출시한 상품이다. 예전에는 물풀이라고 해서 액상형태의 풀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 풀은 질척질척 해서 손에 잘 묻고 종이의 경우 수분을 흡수해 울게 만드는 한편 시큼한 냄새가 나는 단점이 있어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딱풀이 나오자마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출시된 당시에는 나름대로 고가상품이었기 때문에 물풀과 잠시동안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해야했다. 거기다가 쌀풀 등 유사상품도 범람했는데 이 유사상품들은 딱풀보다 접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졌기 때문에 덩달아 딱풀의 접착력도 떨어진다는 편견을 가지게 하는데 일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풀이라는 물건이 아주 주구장창 써서 금방금방 없어지는 물건도 아니고, 가격이 비싸다고는 하나 아주 부담이 되는 가격은 또 아니고, 국민소득이 올라가면서 점점 부담은 덜해지니 물풀은 자동적으로 도태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다만 최근까지도 우체국 같은 곳에는 물풀이 비치되어 있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우표나 인지를 부착하는 행정기관의 경우, 우표 뒷면에 칠해져있는 고무가 물과 만나면 접착성을 띠기 때문에[2] 딱풀보다는 물풀을 비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실 딱풀로 해도 잘 붙기는 마찬가지다. 게다가 당연히도 혀로 침을 발라 우표 자체의 고무 접착제만 사용하기 보다는 풀로 붙이는 것이 권장사항.
현재는 간편한 접착용 풀로 딱풀 이외의 다른 풀[3] 을 찾아보기가 오히려 어려울 지경이 되었다. 그리고 아모스는 딱풀로 번 돈을 바탕으로 각종 문구류를 생산하는 기업이 되었다.
2016년 현재는 '만능 목공풀'이라고 팔리는 접착제가 2000년대 중반까지도 "목공용 '''딱풀'''"이란 이름으로 팔린 적이 있었고 super 딱풀이라고 해서 동일한 원통형에 검은색인 풀을 생산한 적도 있다.
주성분은 스테아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 폴리머이다. 무독성이기는 하지만 맛을 보려고 하지는 말자. 참고로 스테아르산 나트륨은 비누의 주성분이다.
3M 스카치에서는 재접착풀, 칠한 부분을 볼 수 있는 매직풀 등의 제품도 생산한다.
기타 아스트, 모나미(프리스), 크레욜라, 더블에이 등의 업체에서 막대형 고체 풀을 생산한다.
제일 밑 부분은 스크류로 이루어져 있어 돌리면 딱풀 막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올릴 경우 딱풀이 용기와 분리되어버려 돌리기만 해서는 다시 내릴 수 없는데 손에 좀 묻기는 하지만 속에 들어있는 심에 잘 맞추고 손으로 살짝 누르면서 역방향으로 돌리면 다시 들어간다. 참고로 겉으로 보기에 다 사용한 심의 밑동에도 풀이 들어있는데 대부분 그냥 버리는 부분이다. 이것은 비슷하게 스크류 스틱 형태로 되어있는 립밤 제품도 마찬가지.
고체풀이라고는 해도 풀 자체는 무른 편이라 너무 길게 뽑아놓고 쓰면 풀 부분이 부러지는 대참사가 발생한다. 거기다가 공기와 접촉하면 딱딱하게 굳어서 못쓰게 되는 일도 일어나고 굴러다니는 뚜껑을 맨발로 밟으면 몹시 아프니 반드시 뚜껑을 닫아놓는 것이 좋다.
뚜껑을 잘 닫아두었다고 하더라도 딱풀을 쓰지 않고 오랫동안 두게 되면 색이 노랗게 변하고 말라 붙게 된다.
[image]
1. 개요
밑둥을 돌려서 쓰는 고체 풀을 일컫는 말. 원래는 아모스에서 생산하는 특정 제품의 브랜드명이나, 같은 형태의 제품을 모두 지칭하는 상표의 보통명사화 중 하나로 굳어졌다. 일반적으로는 녹색 몸통에 노란 뚜껑이 달린 아모스 사의 딱풀을 연상하는 사람이 많고, 실제로도 가장 많이 팔리는 딱풀 종류도 아모스의 딱풀이다.
2. 역사
사실 딱풀은 glue stick이라고 해서 1969년 독일의 헨켈 [1] 의 프리트라는 브랜드의 제품 중 하나인 Pritt stick라는 이름으로 생산하고 있는 제품이다.
이 풀의 특징인 립스틱에서 영감을 얻은 스크류 방식의 고체풀을 만든곳도 헨켈사인데 어째 아모스에서는 이 회사와의 관계에 대해서 언급이 없다. 헨켈코리아가 설립된 시기는 1989년이고 딱풀이 나온 게 1984년이며, 그 당시 지적재산권 인식수준을 생각한다면...
대한민국에서 딱풀이 출시된 시기는 1984년 5월로 아모스가 설립되자마자 가장 먼저 출시한 상품이다. 예전에는 물풀이라고 해서 액상형태의 풀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 풀은 질척질척 해서 손에 잘 묻고 종이의 경우 수분을 흡수해 울게 만드는 한편 시큼한 냄새가 나는 단점이 있어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딱풀이 나오자마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출시된 당시에는 나름대로 고가상품이었기 때문에 물풀과 잠시동안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해야했다. 거기다가 쌀풀 등 유사상품도 범람했는데 이 유사상품들은 딱풀보다 접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졌기 때문에 덩달아 딱풀의 접착력도 떨어진다는 편견을 가지게 하는데 일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풀이라는 물건이 아주 주구장창 써서 금방금방 없어지는 물건도 아니고, 가격이 비싸다고는 하나 아주 부담이 되는 가격은 또 아니고, 국민소득이 올라가면서 점점 부담은 덜해지니 물풀은 자동적으로 도태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다만 최근까지도 우체국 같은 곳에는 물풀이 비치되어 있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우표나 인지를 부착하는 행정기관의 경우, 우표 뒷면에 칠해져있는 고무가 물과 만나면 접착성을 띠기 때문에[2] 딱풀보다는 물풀을 비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실 딱풀로 해도 잘 붙기는 마찬가지다. 게다가 당연히도 혀로 침을 발라 우표 자체의 고무 접착제만 사용하기 보다는 풀로 붙이는 것이 권장사항.
현재는 간편한 접착용 풀로 딱풀 이외의 다른 풀[3] 을 찾아보기가 오히려 어려울 지경이 되었다. 그리고 아모스는 딱풀로 번 돈을 바탕으로 각종 문구류를 생산하는 기업이 되었다.
2016년 현재는 '만능 목공풀'이라고 팔리는 접착제가 2000년대 중반까지도 "목공용 '''딱풀'''"이란 이름으로 팔린 적이 있었고 super 딱풀이라고 해서 동일한 원통형에 검은색인 풀을 생산한 적도 있다.
3. 성분
주성분은 스테아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크릴 폴리머이다. 무독성이기는 하지만 맛을 보려고 하지는 말자. 참고로 스테아르산 나트륨은 비누의 주성분이다.
4. 제품
3M 스카치에서는 재접착풀, 칠한 부분을 볼 수 있는 매직풀 등의 제품도 생산한다.
기타 아스트, 모나미(프리스), 크레욜라, 더블에이 등의 업체에서 막대형 고체 풀을 생산한다.
5. 사용할 때 주의사항
제일 밑 부분은 스크류로 이루어져 있어 돌리면 딱풀 막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너무 많이 올릴 경우 딱풀이 용기와 분리되어버려 돌리기만 해서는 다시 내릴 수 없는데 손에 좀 묻기는 하지만 속에 들어있는 심에 잘 맞추고 손으로 살짝 누르면서 역방향으로 돌리면 다시 들어간다. 참고로 겉으로 보기에 다 사용한 심의 밑동에도 풀이 들어있는데 대부분 그냥 버리는 부분이다. 이것은 비슷하게 스크류 스틱 형태로 되어있는 립밤 제품도 마찬가지.
고체풀이라고는 해도 풀 자체는 무른 편이라 너무 길게 뽑아놓고 쓰면 풀 부분이 부러지는 대참사가 발생한다. 거기다가 공기와 접촉하면 딱딱하게 굳어서 못쓰게 되는 일도 일어나고 굴러다니는 뚜껑을 맨발로 밟으면 몹시 아프니 반드시 뚜껑을 닫아놓는 것이 좋다.
뚜껑을 잘 닫아두었다고 하더라도 딱풀을 쓰지 않고 오랫동안 두게 되면 색이 노랗게 변하고 말라 붙게 된다.
6. 기타
[image]
- 딱풀로 거미줄을 만들기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어떻게 하냐면, 딱풀을 검지와 엄지에다 바르고 붙였다 뗐다 해서 실처럼 가느다란 것을 아주 많이 만들고, 딱풀의 아랫부분(돌려서 높이 조절하는 노란 부분)에다가 가느다란 실같은 것을 여러개 붙여놓으면 아주 희고 촘촘한 거미줄, 천같은 것을 만들 수 있다.
- 일명 '딱풀녀'라고 불리는 인터넷 상에 떠돌던 한 19금 동영상에서 '천원짜리, 오백원짜리' 라는 드립을 쳐서 이러한 방향으로 유명해지기도 했다. 합성으로 '오천원짜리'까지 만들기도 한다. 디시인사이드에서는 음성만 따와 사용한다거나 해서 인터넷 밈이 된 지 오래. 구글에서 딱풀 검색하면 청소년에게 유해한 검색 결과는 제외되었습니다라고 뜨며, 모든 결과를 보기위해선 성인인증을 요구한다. 실제로 이런 용도로 쓰다가 뚜껑이 안에서 빠져버리면 진짜로 위험하다.
- 옛날에는 딱풀의 가격이 대략적으로 작은 건 500원, 큰 건 1000원을 했었는데 최근에는 인터넷 주문으로 좀 더 싸게 다양한 종류의 딱풀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링크
- 2019년 ASMR 유튜버들 사이에서 딱풀 먹는 영상이 유행하기도 했다. 당연히 저 딱풀은 원래의 딱풀이 아니고, 내용물을 전부 쓰고 깨끗이 씻어 스틱 안에 한천이나 젤라틴 등을 넣은 젤리형 음식이다. 맛상무에서 직접 만들어서 먹어본 결과 굳이 만들어 먹을 필요까진 없다고 평가했으며, 혹시라도 만들게 된다면 스틱에 묻은 잔유 딱풀을 꼼꼼히 제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이렇게 생긴 괴상한 물건도 있다. 놀랍게도 오피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