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젤 2세
1. 개요
창세기전 시리즈의 등장인물. 비프로스트 공국의 공왕(생몰년 에스겔력 1197~ ).
창세기전 2에서는 모젤 공왕의 아들이라는 대사로만 언급되고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과 창세기전 3에서는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2. 창세기전 2
아버지 모젤 공왕이 원로원과의 대립 도중 살해된 후, 그의 존재감으로 인해 어린 나이에 공왕에 올랐다가 게이시르 제국이 흑태자가 복귀한 후 비프로스트를 침공하자 사라와 스트라이더에 의해 실버 애로우 측으로 도피하게 된다.
3. 창세기전 외전 서풍의 광시곡
흑태자 사후 게이시르 제국이 분열되면서 비프로스트 공국도 자연스레 해방되어 복귀한다.
어린 시절의 암울한 기억 탓인지 제국에 복수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이며, 그에 따라 카타리나를 중용하여 군대를 양성하고 아스카론을 발굴하는 등 사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체사레 보르자가 보낸 2중 첩자 죠세핀이란 존재 때문에 원로원은 물론 다른 많은 이들로부터 눈총을 산 모양이다. 결국 체사레가 보낸 암흑살수들을 동원해 원로원 세력들을 숙청하기에 이른다. 일단 표면적으론 이전의 중립국 노선을 고수하고 있어 침략의 명분을 잡지 못하고 있었지만, 제피르 팰컨의 제거를 위해 체사레가 비프로스트에 제국령 내부로의 파병을 요청하자 이를 계기로 약화된 구 제국령을 병합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두 차례에 걸쳐 대대적인 침공에 나서지만, 이 침공은 오히려 분열되어 있던 게이시르 내의 세력들, 즉 제피르 팰컨과 알프레드 프레데릭의 연합과 게이시르 국민들의 통합의 촉매로 작용하게 되었다. 첫 번째 침공에서 패배한 것으로 모자라, 두 번째 침공에는 아스카론까지 동원했음에도 팬드래건 왕국의 개입으로 인해 또다시 패배하게 된다. 자신의 아버지 모젤 공왕에게 큰 신세를 진 라시드가 팬드래건 국왕의 상징인 아론다이트까지 동원해 비프로스트를 가로막았다는건 비프로스트의 생존전략이었던 원교근공 정책에 균열이 갔다는 신호였지만 대왕병 걸린 모젤 2세는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패전을 한 1265년 이후로 모젤 2세의 왕권은 조금 약화되었지만 그 때까지만 해도 여력이 있어서, 1267년에 조카 올리비아[1] 의 아들인 팬드래건의 버몬트파 왕자인 윌리엄과 리처드가 형인 조지의 반란이 실패하고 도피해왔을 때 받아주고 대군을 보내 반란을 성공시키기까지 했다.
대외적으로 건재함을 과시한 모젤 2세는 1269년, 황제의 자리에 올라 제국을 선포하지만 이에 반발한 사람들은 황제를 몰아내려는 움직임이 일어난다. 이것은 비프로스트 내전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 내전으로 인한 국력의 약화는 결국 게이시르 제국을 재통일한 크리스티나 황제의 비프로스트 침공과 병합으로 이어져 1276년, 결국 비프로스트는 멸망하게 된다.
4. 창세기전 3
[image]
죠안 카트라이트가 디안 드 푸와티에를 설득할 때, 자신의 부모님을 비롯한 수많은 공왕파[2] 가 악랄하게 희생당했으며 공왕이 죠세핀이란 여자에게 빠져 나라를 망쳐버렸다고 하는 걸 보면, 모젤 2세가 얼마나 인망을 잃었버렸으며 얼마나 포악하게 나왔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비프로스트의 대립은 창세기전 외전 템페스트 시절에도 샤른호스트와 리처드 사이에서 그들의 힘겨루기와 관련해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
나라 멸망 이후 모젤 2세는 휘하의 세력들과 함께 산지를 숨어다니며 구 비프로스트 발키리 대장이었던 카트린느 메디시스와 함께 독립운동을 하게 되고, 인페르노에서의 크리스티나 황제 암살 미수 사건과 흑태자교의 봉기 등으로 제국이 혼란에 빠진 것을 틈타 크리스티나 황제에게 불만이 많았던 게이시르의 대귀족 기즈 공작과 흑태자교와 힘을 합쳐 제국 중앙 정부와의 준 내전 상태에 들어간다.
하지만 흑태자교의 예상치 못한 봉기로 인해 계획이 엉망이 되어버렸고, 이 때문에 제국 중앙정부의 압박이 거세지자 결국 이 두 세력은 준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임에도 버티다 못해 반란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함께 제국을 연합국으로 만들자는 기치를 내거는데, 이는 모젤 2세를 비프로스트의 영주령 혹은 제국의 새로운 황제로 내걸기 위한 것이었다. 덕분에 자유주의 과격파들로부터 지지를 얻지만 이미 세력차가 압도적인 데다 제국군의 조치가 발빠른 관계로 결국 농성전에 그치게 되었다. 비프로스트령까지 몰리게 된 뒤 결국 완전히 진압당한다.
이 마지막 전투에서 아스카론을 타고 나오는데, 비프로스트는 자신의 왕국이니 제국 녀석들에게 뺏길 수 없다는 말과 과거 그의 학살을 묻는 죠안 앞에서 그들은 반역자니 합당한 처분이었던 거라 말하는 걸 보면 그가 얼마나 막장이 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아무튼 이 전투에서 패배한 후부터는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저 하늘의 별이 된 모양(…).
5. 여담
능력이 없었던 인물은 아니다. 오히려 능력 자체는 제법 뛰어나 모젤 2세의 통치 기간동안 비프로스트 공국은 수십 년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내는데 성공했다. 처음에는 원로원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조언자들의 말도 잘 경청해서 안팎으로 지지자들이 많았고, 제국에 대한 증오심까지 더해 엄청난 군사력 발전을 이뤄내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체사레가 보낸 죠세핀으로인해 막장 테크를 타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