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image]
[clearfix]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United States Indo-Pacific Command; USINDOPACOM'''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미합중국 국군의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태평양사령부들을 총괄하는 권역별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1947년 제정된 통합전투사령부 계획에 따라 태평양사령부로 조직되었다. 초기에는 태평양함대사령관이 태평양사령관을 겸직하는 형태였으며, 1958년 태평양함대사령관 직책이 분리되었다.
1957년 대한민국, 일본 등을 책임 구역으로 하던 극동사령부를 병합해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는 베트남 전쟁을 총괄하던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가 태평양사령부 산하에 설치되어 있었다.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은 기본적으로 인도-태평양사령부의 통제를 받고 있다.
2018년 5월 30일, 급격해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팽창에 대응하는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 전략에 따라 작전 지역을 아시아-태평양에서 인도-태평양으로 확장하면서 사령부의 명칭 역시 인도-태평양사령부로 변경되었다.
현 사령관은 필립 S. 데이비드슨 해군 대장으로 함대전력사령관을 맡던 중 부임했다.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United States Indo-Pacific Command; USINDOPACOM'''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미합중국 국군의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태평양사령부들을 총괄하는 권역별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2. 상세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1947년 제정된 통합전투사령부 계획에 따라 태평양사령부로 조직되었다. 초기에는 태평양함대사령관이 태평양사령관을 겸직하는 형태였으며, 1958년 태평양함대사령관 직책이 분리되었다.
1957년 대한민국, 일본 등을 책임 구역으로 하던 극동사령부를 병합해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는 베트남 전쟁을 총괄하던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가 태평양사령부 산하에 설치되어 있었다.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은 기본적으로 인도-태평양사령부의 통제를 받고 있다.
2018년 5월 30일, 급격해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팽창에 대응하는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 전략에 따라 작전 지역을 아시아-태평양에서 인도-태평양으로 확장하면서 사령부의 명칭 역시 인도-태평양사령부로 변경되었다.
현 사령관은 필립 S. 데이비드슨 해군 대장으로 함대전력사령관을 맡던 중 부임했다.
3. 편제
3.1. 구성 사령부
- 태평양 육군(United States Army Pacific , USARPAC ,
- 태평양 함대(United States Pacific Fleet , USPACFLT , )
- 태평양 공군(United States Pacific Air Forces, PACAF , )
3.2. 하위 사령부
- 주한미군(United States Forces Korea , USFK , )
- 주일미군(United States Forces Japan , USFJ , )
- 재앙관리인도주의원조고급센터(Center for Excellence in Disaster Management and Humanitarian Assistance , CFE-DM , SES)
4. 역대 사령관
[1] 190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5함대사령관 출신.[2] 191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 출신. 해군참모총장으로 영전.[3] 191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4] 191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5] 1917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2함대사령관 출신.[6] 1923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7] 1927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8] 193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유럽해군사령관 출신. 존 매케인 상원의원의 아버지.[9] 1935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국가안보국장 출신.[10] 194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11] 1943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12] 1946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유럽해군사령관 출신.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13] 195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14] 195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15] 1958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 해군사관학교장으로 영전.[16] 196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합동참모본부장 출신. 부적절한 발언으로 인해 소장 강등 후 퇴역.[17] 196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해군참모차장 출신. 빌 클린턴 정부에서 주중 미국대사 역임.[18] 1968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합동참모본부장 출신.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국가정보장 역임.[19] 1970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20] 1967년 빌라노바 대학교 졸업. 함대전력사령관 출신. 중부사령관으로 영전[21] 1971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북부사령관 출신.[22] 1973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23] 1977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유럽-아프리카해군사령관 출신.[24] 1978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태평양함대사령관 출신. 도널드 트럼프 정부에서 주한 미국대사 역임 중.[25] 1982년 미국해군사관학교 졸업. 함대전력사령관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