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계급)

 



대한민국 국군 소장 계급장
[image]
[image]
모장
정장, 약장 및 견장
[image]
해군 수장


1. 개요


少將. 미 육군/해병대/공군, 영국 육군/해병대는 Major General, 미 해군과 해안경비대, 영국 해군은 Rear Admiral. 영국 공군은 Air Vice-Marshal(미국식 계급명에 익숙한 이들은 공군차수로 오역하기도 한다). 군대의 장관급 장교의 두 번째 단계. 일명 투스타. 과거 대한제국군의 참장(參將)에 대응되는 계급이기도 하다.

2.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소장

2.1. 상세


대한민국 국군의 최초 소장 진급자들은 1949년 2월 4일에 나왔다. 채병덕, 이응준, 손원일, 김홍일이다.
이 계급부터는 전투 부대의 지휘관/참모 보직뿐만 아니라 정책 부서 등을 두루 거쳐야 올라갈 수 있다. 사실상 非전투 병과의 진입이 어렵고 여군은 병과에 관계없이 아무도 진급하지 못했다가 강선영 준장이 항공작전사령관에 임명되면서 최초의 여군 출신 소장이 되었다. 대한민국 육군에선 이 계급까지는 非육사 출신도 간간이 보이기에 非육사 출신의 진급 상한선으로 여기기도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6.25 전쟁 당시 장교 임관제도 중 하나였던 현지임관의 경우 최대 진급 한계가 이 소장이었다.

2.2. 대우


소장의 대우는 일반직공무원 고위공무원단 나급(2급) 및 대한민국 군무원 1급 상당이다.#. 자세한 내용은 공무원/계급 문서 참조바람.
[image]

2.3. 임기제 소장


이명박 정부 시절 김종배 준장은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합동작전과장을 지내던 도중 임기제 진급을 통해 소장으로 진급하여 육군부사관학교장을 역임했고. 임기가 연장되어 육군교육사령부 교육·훈련부장을 지냈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고 2013년 10월 다시한번 임기제 진급을 통해 소장에서 중장으로 진급 해 육군교육사령관을 역임 후 전역했다.


2.4. 각 군별 보직 및 현황


지휘관 보직만 작성한다.


2.4.1. [image] 대한민국 국군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장 및 관리관
국직부대
  • 국방시설본부장
  • 국군복지단장
  • 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장
  • 사이버작전사령관
  • 국군정보사령관
  • 777사령관
  • 국방부 조사본부장[1][2]
  •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3][4]
  •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5][6]
  •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7][8]

2.4.2. [image] 대한민국 육군



육군본부 각 참모부장 및 감찰실장
  • 사단장
  • 부군단장[9]
  •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10][11]
  • 제2작전사령부 참모장
  • 육군인사사령관[12][13]
  • 육군항공작전사령관[14][15][16]
  • 육군미사일사령관
  • 육군동원전력사령관
  • 육군3사관학교장
  • 육군학생군사학교장
  • 육군부사관학교장
  • 육군훈련소장
  • 육군보병학교장
  • 육군포병학교장
  • 육군기계화학교장
  • 육군종합군수학교장
  • 육군종합행정학교장
사단장 외에도 육사, 3사, 학생군, 부사관 학교, 육군 훈련소 등 교육기관장으로 보직 받게 된다.[17] 드물게 군단급 독립사령부의 부사령관 같은 직책도 있지만, 부군단장 보직의 실상은 중장 진급에 실패한 장성의 예우 차원에서 좋게 전역하시라는 뜻의 자리이다. 군수지원사령관은 준장이 보임되지만, 제1군수지원사령부는 전방 지역인 강원도 전체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다보니 규모가 커서 사령관으로 소장이 보임되기도 한다. 소장이 맡다 준장이 맡는 등 상황에 따라 바뀐다고는 하는데, 보임 당시 준장이었다가 소장으로 진급하는 경우도 가끔 있지만, 처음부터 소장인 사람이 대다수다. 이 경우는 병기나 병참 병과의 진급 상한선이 된다.
여군의 경우에는 준장이 사실상 진급의 상한선이었기 때문에 여군 소장 진급자는 없었으나, 2019년 11월 8일, 창군 이래 최초로 강선영 준장이 소장으로 진급하고 항공작전사령관으로 보임되었다. 최초의 여성 소장이 탄생하면서 여군의 진급 상한선이 확장되었다. 링크 그러나 해당 글에서도 보다시피 속보였을 때는 기사에 적혀있다가 삭제된 내용인, '앞서 국방부는 2017년 12월 여성인력 우선 선발 원칙에 따라 창군 이래 최초로 전투병과에서 강선영 당시 육군 대령과 허수연 육군 대령 2명을 동시에 준장으로 진급시켰었다.'라는 부분으로 인해서 결국에는 "실력이 아니라 페미니즘 정책의 일부로 인해 최초의 여성 준장이 나오게 되었다"는 사람들의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게 되었다.

2.4.3. [image] 대한민국 해군


해군본부 각 참모부장
해군교육사령관해군사관학교장은 편제상 중장 보직이나, 해군에서 합참의 본부장 이외 합참, 혹은 국직부대 보직을 하나 더 맡게 될 경우 해군교육사령관이 소장으로, 두개까지 더 맡게 될 경우 해군사관학교장까지 소장이 보임된다.
1·2·3함대는 각 해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그 전력이 준장이 지휘하는 제7기동전단보다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18]

2.4.3.1. [image] 대한민국 해병대

본래 제1해병사단장이 사실상 해병대사령관으로 올라가는 진급 코스였으나 서해 5도가 많이 부각되고 서울특별시의 앞바다를 지키는 것이 중요해진 2010년 이후론 되레 수도권 부대인 제2해병사단장에 시선이 더 많이 가고 있다[19] 대한민국 해병대해사 출신에 보병병과가 아니면 별을 다는 것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20]하므로 해병대에서 소장을 단다는 것 자체가 실로 대단한 일이다. 비보병으로 장군 진급한 케이스가 해병대 교육훈련단장을 역임했던 차동길 장군[21]과 서헌원 장군[22]뿐이다.

2.4.4. [image] 대한민국 공군


공군본부 각 참모부장
  • 공군교육사령관[23][24]
  • 공군군수사령관
  • 공군방공유도탄사령관
  • 공군방공관제사령관
  • 공군공중전투사령관
  •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관
공군교육사령관공군사관학교장은 편제상 중장 보직이나, 공군에서 합참의 본부장 이외 합참, 혹은 국직부대 보직을 하나 더 맡게 될 경우 공군교육사령관이 소장으로, 두개까지 더 맡게 될 경우 공군사관학교장까지 소장이 보임된다.
공군기능사령관, 공군본부 주요 부장, 실장 자리도 대체로 소장 계급이다. 방공포병 및 군수 특기의 경우 소장이 진급 상한선이다. 조종 특기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여 실제로 공군에서 조종사가 아닌 경우 소장 이상 올라가는 것은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기에 비유된다. 게다가 거의 공사 출신에 주 기종이 전투기여야 가능하며 전투기가 아니면 진급하기 힘들다. 전투기라고 해도 실제로 기체를 조종하는 전방석에 앉아야 진급이 잘 되는 편이며 레이더 및 무장을 주로 다루는 후방석은 잘 안 쳐주는 편이다(물론 중장 이상은 공사 출신에 전투기 조종(전방석)이 아니면 아예 불가능하다.) 비조종 병과가 소장으로 진급할 경우 무조건 임기제가 되는데, 그나마 방공포병은 방공유도탄사령관 자리가 있어 상시 소장 1명을 유지하지만 군수는 소장 계급자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군수사령관과 방공관제사령관은 조종 특기가 맡는다.
편제상 원래 중장 보직인 교육사령관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공군의 소장 지휘보직 중에서는 공군이 보유한 전술기들을 총괄하여 지휘하는 공중전투사령관이 가장 요직으로 뽑힌다. [25] 그러나, 현직을 포함하여 최근 수년 이내 진급한 중장이상의 공군 장성들은 소장 시절 보직이 공군본부 참모부장,합동참모본부 각 본부 산하 부장 등 참모보직을 주로 역임하였으며 특히 합참 보직을 거칠 경우 다음 진급에 유리한 경우가 많았다. 교육사령관의 경우 상황에 따라 다른데 소장에서 맡게 되면 대체로 한직으로 취급받는 분위기이다.[26] 중장이 임명되면 중장 1차 보직으로 주로 주어지고 임기가 끝나면 다른 보직으로 이동하므로 한직 개념이 아니지만.[27]

2.5. 여담


  • 2010년에 공군대학 교장이었던 소장이 자신의 주 기종인 F-5가 아닌 F-15K를 타 보고 전역하고 싶다고 억지를 부리고 탑승했다가 지상에서 사출한 적이 있다. 군 내부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가 언론 보도로 유명해진 일이다. 관련 기사
  • 소장의 아이덴티티는 사단장. 사단장은 10,000여 명에 달하는 전투 병력의 최고 지휘관이다. 덕분에 여러 사단·여단을 묶어서 지휘하는 군단장, 지상작전사령관 등에 비해 평시 가장 실질적인 전투력을 보유한 지휘관이어서 지휘관의 꽃이라 불린다. 같은 소장 계급이라도 해군의 함대사령관과 공군의 기능사령관은 육군의 군단장에 대응하는 보직이다.

3. 타국의 소장



3.1. 미군


미군 소장 계급장
육군
공군
우주군
해병대
해군
해안 경비대
Major General
Rear Admiral (Upper Half)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3.2. 중국 인민해방군


[image]
少将. 인민해방군에는 준장이 없고 대신 상급대령대교가 준장 역을 맡는다. 소장의 경우 계급장은 1성이지만 실제로는 타국의 2성장군/제독과 동일하다. 대장에 상당하는 상장도 3성밖에 계급장에 표시되지 않는다.
시진핑의 아내인 펑리위안이 인민해방군 소장이다.

3.3. 영국군


영국군 소장 계급장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Major General
Rear Admiral
Major General
Air Vice-Marshal
수장
견장
수장
견장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3.4. 호주군


호주군 소장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Major General
Rear Admiral
Air Vice-Marshal
수장
견장
수장
[image]
[image]
[image]
[image]

3.5. 뉴질랜드군


뉴질랜드군 소장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Major General
Rear Admiral
Air Vice-Marshal
수장
견장
수장
견장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3.6. 캐나다군


캐나다군 소장 계급장
언어
육군
해군
공군
영어
Major general
Rear Admiral
Major general
프랑스어
Major-général
Contre-amiral
Major-général
모양
견장
금장
수장
수장
견장
수장
견장
계급장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3.7. 프랑스군


프랑스군 소장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국가헌병대
Général de division
Vice-amiral
Général de division aérienne
Général de division
[image]
[image]
[image]
[image]
프랑스 외인부대 총사령관의 계급이 이 계급이다.

3.8. 독일군


독일군 소장 계급장
육군
해군
공군
Generalmajor
Konteradmiral
Generalmajor
정복
전투복
동정복(수장)
하정복(견장)
전투복
정복
전투복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3.9.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 소장(少将) 계급장
소장(少将)
Major General (MG)
Rear Admiral (Two-Star) (RADM(2))
[image]
[image]
[image]

3.10. 중화민국 국군


중화민국 국군 소장(少將) 계급장
육군
해군
해군육전대
공군
소장(少將)
Major General (MG)
소장(少將)
Rear Admiral (RADM)
소장(少將)
Major General (MajGen)
소장(少將)
Major General (Maj Gen)
[image]
[image]
[image]
[image]

3.11. 일본 자위대


자위대 장보(将補)(소장) 계급장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육장보(陸将補)
Major General (MG)
해장보(海将補)
Rear Admiral (RADM)
공장보(空将補)
Major General (Maj Gen)
정복
근무복
동계정복(수장)
하계정복(견장)
근무복
정복
근무복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작업복
작업복
작업복
[image]
[image]
[image]
장보(将補)라고 한다. 다만 준장이 없어 이를 보충하기 위해 장보를 1종과 2종으로 나눈다. 2종의 경우 타국의 준장과 비슷하다. 1종은 소장급이다.

3.12. 북한군



조선인민군 중장(소장) 계급장
육군
해군
[image]
[image]
[image]
항공 및 반항공군
사회안전성인민내무군
국가보위성
[image]
[image]
[image]
준장 없이 소장부터 오르는 체제이므로 2성, 즉, 국군의 소장에 대응하는 계급은 중장이다.

4. 실존 인물



5. 가상 인물


서브컬처에서는 의외로 대접이 박한 계급 중 하나인데 야전에선 고위급 지휘관이긴 하지만 실제 현대전대대/여단 중심의 병력운용이 기조인 만큼 준장은 가끔 보여도 소장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차라리 중장은 되어야 야전군사령부에서 큰 회의 때 병풍 노릇이나 하지. 특히 로봇물은 중대·대대 구분만 있고 사단 규모 전투와 같은 것이 있을 리가 없어서 더욱 공기취급을 당한다.
항목 참조.

[1] 현재 준장 보직.[2] 준장 or 소장[3] 현재 중장 보직[4] 소장 or 중장[5] 현재 소장 보직[6] 준장 or 소장[7] 현재 소장 보직[8] 준장 or 소장[9] 준장 or 소장[10] 현재 소장 보직[11] 소장 or 중장[12] 현재 소장 보직[13] 소장 or 중장[14] 현재 소장 보직[15] 소장 or 중장[16] 항공병과장 겸임[17] 참고 사항으로 항공·방공·화생방학교장, 특수전학교장, 국군의무학교장은 준장 보직이고 공병·정보통신학교장은 해당 병과의 병과장을 겸임하므로 실질적인 진급 상한선이며, 종합군수·종합행정학교장은 관련 병과 출신이 보임되는 것이 아니라 사단장을 역임한 전투 병과 출신이 보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8] 단, 전단해군작전사령부의 직할이라, 전단장의 권한이 작전사령관이 간섭 잘 안 하는 함대 사령관에 비해 약하다.[19] 2013년 9월 말 취임한 이영주(해사35기) 전 사령관은 1사단장, 2015년 취임한 이상훈(해사36기) 전 사령관은 2사단장 출신이다. 2011년~13년 사령관을 역임했던 이호연(해사34기) 전 사령관도 2사단장 출신이며 이 분은 연평도 포격전 당시 사단장이었기에 더욱 부각되었다. 또한 전진구(해사 39기) 전 사령관과 2019년에 취임한 이승도(해사 40기) 사령관도 2사단장 출신이다.[20] 2017년 12월 제주대 출신 NROTC(해군학군사관) 32기인 김정학이 준장으로 진급했다.[21] 포병, 해사37기, 예비역 준장, 현재 단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해병대군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22] 포병, 해사41기, 소장, 해병2사단장을 역임하고 현재 해병대 부사령관직을 수행하고 있다.[23] 현재 소장 보직[24] 소장 or 중장[25] 다음으로는 굳이 따지면 가끔 중장진급자가 나오는 공중기동정찰사령관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실 이 보직도 북부사에서 현 체제로 개편된 이후 중장 진급자가 없었다. 방공유도탄사령관은 특성상 소장이 진급 상한선이고 방공관제, 군수사령관은 해당 보직을 끝으로 전역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공군은 전투 외에도 기술군 특성상 기능사령관 외에도 소장 보직이 많아서 사령관 보직 경험 없다고 중장 진급에 불리하거나 참모총장 영전이 불가능하지 않다. 애초 공중전투사령관 보직도 중장 진급자는 많이 배출했으나, 참모총장으로 영전한 사람은 남부사 시절부터 따져도 정경두 장군(참모총장 이후 합동참모의장, 국방부 장관 역임) 한 사람밖에 없다.[26] 애초 중장 보직이라 소장이 임명될 경우 고참 소장들이 많이 간다. 그런데 마냥 한직이 아니라서, 수송기 조종사 등으로 군생활 잘해서 만렙 찍은 사람들이 가는 경우가 많은데, 수송기 조종사의 진급 상한선은 소장이기 때문이다.[27] 해공군은 중장 TO가 각각 5명뿐이고 교육사령관이 참모차장, 사관학교장과 함께 중장 1차 보직으로 배정되는 경우가 많아서 임기가 끝나면 다른 중장 보직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지만,(참모총장 중 1차 교육사령관 - 2/3차 작전계통 보직을 거친 사람이 자주 있다.) 육군의 경우 중장 1차 보직이 대부분 군단장이라 군단장 이후 배정된 보직이 교육사령관이면 거의 본직을 마지막으로 전역하는 경우가 많았다.[28] 흔히 타이거 대령으로 알러진 인물로 소장진급을 하였다. 자세한건 수헤일 알 하산 참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