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인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朴景仁
(1057~1121)

1. 개요


고려의 문신. 초명은 박경작(朴景綽)이고 자는 영유(令裕), 시호는 장간(章簡)이다.

2. 생애


당대의 뛰어난 문인 박인량의 아들로 문종 11년(1057)에 태어난다. 아버지를 닮아 어려서부터 문장이 뛰어나고 경서, 전적에 통달해 쉽게 과거에 급제한다. 관직에 나간 뒤에는 승진을 거듭해 좌습유에 이르렀으며 품성과 언행이 강직해 세간에서 좋은 평을 듣는다.
숙종 8년(1103) 이계응과 함께 요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다. 예종 2년(1107) 임의가 지공거, 박경인이 동지공거가 돼 한즉유 등을 선발한다. 이 때 임관한 한즉유는 후일 자신을 뽑아준 박경인의 묘지명을 짓는다.
예종 3년(1108) 윤관을 따라 병마부사로 여진 정벌에 나가는데 도중 낙마해 다리를 다친다. 박경인은 전선에 나가지는 못하고 정주에 머물렀는데, 윤관으로부터 동북에 9성을 쌓을 것이라는 글을 받는다. 박경인은 동북면에 성을 쌓아도 지켜내기 힘들 것을 예견하고 만류하는 글을 보냈지만 윤관은 박경인의 말을 듣지 않는다.

무공은 이미 이뤘고 나라의 위엄을 이미 떨쳤으니, 마땅히 군사를 거두고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다시 적지에 깊이 들어가 성과 연못을 늘여세우면, 지금은 비록 할 수 있을지라도 후일에 지키기 어려울까 두렵습니다.[1]

박경인의 말대로 결국 윤관은 여진과의 전쟁에서 패하고 9성을 지키지 못하고 돌아와야 했다.
이후 좌간의대부, 동북면병마사, 직문하성, 전중감 한림학사, 우산기상시, 좌산기상시 등으로 관직이 바뀐다. 전중감에 있을 때인 예종 8년(1108)에는 북송에 사신을 보내려는 왕에게 글을 올려 만류한다. 박경인의 글이 아주 합당했기 때문에 예종은 박경인의 말을 따랐지만, 왕의 뜻을 거스른 것이기 때문에 전중감에서 국자좨주로 옮겨진다. 예종 10년(1115) 서북면병마사에 임명돼 서북면으로 떠나게 된다. 박경인은 예종에게 하직인사를 올리고 경인이라는 이름과 함께 차와 약을 받는다.
병마사 임기를 마치고 돌아와 예종 11년(1116) 형부상서 한림학사승지에 임명된다. 박경인은 한림학사승지로서 『상서(尙書)』를 강론하고 다른 학사들과 함께 『정관정요』에 주석을 단다. 이어서 이부상서, 호부상서, 예부상서를 역임하고 예종 13년(1118) 서북면병마사 겸 지중군병마사에 임명된다. 또 판한림원사, 지추밀원사에 오른다.
박경인은 젊어서 다친 다리에 풍비(風痺, 류마티스 관절염)가 와서 예종에게 조금 빨리 은퇴하고 싶다는 의사를 여러 번 표현한다. 예종은 명의와 약을 제공하며 박경인을 여러 번 붙잡았으나, 결국 예종 15년(1120) 60대 중반의 나이로 '광록대부 검교태자태보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판예부사 태자소사 수국사'에 임명된 뒤 은퇴한다. 결국 관절염의 악화로 이듬해 예종 16년(1121) 6월 29일(음력) 소신사(燒身寺)에서 죽는다. 사후 예종에게서 시호를 받고 해당 관청의 주관에 따라 개공 동쪽 대덕산(大德山)의 서쪽 기슭에 장사된다.[2]

3. 가족관계


  • 부: 박인량
    • 본인: 박경인
    • 처: 은천현군 조씨
      • 아들: 박효렴
      • 며느리: 인천 이씨
      • 아들: 박효선
도관원외랑 조윤간의 딸과의 사이에서 아들 둘을 둔다. 박효렴은 이자겸의 사위로 이자겸 축출 후 지방 수령으로 좌천된다. 박효선은 김숙평(金叔平)의 사위다.

[1] 武功已成, 國威已振, 宜戢師旅, 以圖萬全. 更深入賊地, 列置城池, 今雖已成, 後恐難守.[2] 이후 우봉군의 둔이산 동쪽으로 옮겨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