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정요

 

貞觀政要
1. 개요
2. 평가
3. 비판
4. 바깥고리


1. 개요


당나라전성기를 이끌었던 당태종23년에 걸친 치세 동안 위징 등 신하들과 나눈 대화를 정리한 책이다. '정관(貞觀)' 자체가 당태종 시기의 연호다.[1] 당태종 사후 약 50년 뒤 오긍이라는 역사가가 정리, 편찬했다.

동으로 거울을 만들면 의관을 단정히 할 수 있고, 고대 역사를 거울삼으면 천하의 흥망과 왕조 교체의 원인을 알 수 있으며, 사람을 거울로 삼으면 자기의 득실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오래 된 책들이 다들 그렇듯이 판본이 여러 개이고 그 내용도 조금씩 다르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체로 명나라 때 정리된 판본.
기본적으로 제왕학 서적이지만, 당나라 초기의 사회 제도와 문화를 이해하는 사료로서의 성격도 가진다.

2. 평가


등장 인물 자체가 막상막하급 먼치킨들인 데다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을 주로 다루고 있어 동아시아 제왕학바이블이자 끝판왕이라고 불린다. 덕분에 동양 세계에서는 국왕과 신하들의 필독서였고 그만큼 애독한 사람들도 많다. 간단히 예를 들어 보자면...
  • 당나라 현종, 문종이 애독했다. 특히 당현종은 치세 전반에 개원의 치라는 태평성대를 이룩하기까지 했다.
  • 당나라 선종은 아예 주요 문구를 발췌해서 만든 병풍을 만들었다.
  • 금나라 세종은 이 책을 인쇄까지 했다. 인쇄술이 아직 최신 기술이던 시절의 이야기다.
  • 청나라 건륭제도 이 책을 매우 좋아했다. 항목 보면 알겠지만 이 사람도 당태종 뺨치는 사람.
  • 고려 광종도 애독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 조선 세종은 대군 시절 이 책을 읽으려다가 태종에게 꾸지람을 들었다.[2]
  • 에도 막부 도쿠가와 이에야스, 메이지 덴노를 비롯한 에도시대 시기의 쇼군, 덴노들도 이 책의 열독자였다.
  • 마오쩌둥, 덩샤오핑, 시진핑 등의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도자들도 애독했다고 한다. 특히 마오쩌둥 어록의 경우 사실상 공산당판 정관정요라 봐도 될 정도.
사실 제대로 된 동아시아 국가의 왕이나 군주치고 읽어 보지 않은 이가 드물다고 할 수 있다.

3. 비판


국가주의적 요소가 제법 들어있고 유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이에 유학자들 가운데에서는 대학연의가 차라리 낫다는 주장도 나왔다.

4. 바깥고리


[1] '정요(政要)'는 '정(政)치의 요(要)체'를 의미한다.[2] 평소 책읽기를 좋아하고 어느 책이든 닥치는대로 읽지만 왕통을 계승할 수 없는 충녕대군에게 안쓰러움을 느낀 태종은 왕실의 후계를 자신처럼 유혈사태를 겪을 일 없이 적장자인 양녕대군에게 곱게 물려주고자 책벌레 충녕을 최대한 정치와 먼분야에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했는데, 그 대표적 일환이 바로 정관정요를 압수 및 금지하는 것이었다. 동아시아에서 정관정요가 제왕학의 교과서이다 보니 가장 대표적인 정치서적인 정관정요만큼은 못읽게 만들었던 것. 하지만 결국 큰형이 폐세자되어 새 세자로 책봉되고 왕이 되면서는 세종 역시 정관정요를 읽고 이에 대한 교육을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