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염

 



'''당나라의 대신
하동충후(河東忠侯)
裴炎 | 배염
'''

'''시호'''
(忠)
'''작호'''
영청현남(永淸縣男) → 하동현후(河東縣侯)
''''''
배(裴)
'''이름'''
염(炎)
''''''
자륭(子隆)[1]
'''부친'''
배대동(裴大同)
'''생몰연도'''
? ~ 684년
'''출신'''
강주(絳州) 문희현(聞喜縣)
1. 개요
2. 생애

[clearfix]

1. 개요


중국 당나라 시대의 재상으로 자는 자륭(子隆)이다.

2. 생애


배염의 출신지는 강주(絳州) 문희현(聞喜縣)으로, 배대동(裴大同)의 아들로 태어났다. 배염은 초기 홍문관에서 수학하였고, 홍문관에서 홍문관생들에게 휴가를 내렸음에도 배염은 휴가를 보내지 않고 홀로 학문에 매진하는 성격이었다. 배염은 홍문관에서 춘추좌씨전한서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였고, 과거제를 통해 명경과에 급제하여 복주(濮州) 사창참군(司倉參軍)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682년 고종이 낙양으로 행차할 때, 고종은 자신의 태자인 이철(李哲)을 장안에 남기고, 배염에게 황태자의 보좌를 맡긴다. 고종이 병에 시달리면서 배염은 태자를 따라 낙양으로 가서 고종의 병세를 살폈지만, 고종의 병세가 위독해지자, 고종은 태자에게 대리청정을 맡겼고 배염은 동평장사가 되어 태자를 보좌한다.
고종이 죽고, 태자인 이철이 이현(李顯)으로 이름을 바꾸고 제위에 오르니 이가 당나라의 제4대 황제인 중종이다. 중종이 즉위하면서, 배염은 중서령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중종의 황후인 위황후는 중종에게 자신의 친정을 일으켜달라고 청탁을 넣었다. 중종은 위황후의 지속된 청탁으로 친아버지인 위현정을 고속 승진시켰고 시중에 내정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중종의 결정에, 배염은 위현정이 아무 공적도 없는데 단지 황제의 장인이라는 이유로 시중에 앉히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간언하였다. 하지만 중종은 다음과 같은 말로 대신들의 반발을 무릅쓰려고 하였다.

"짐이 천하를 전부 위현정에게 준다고 해도 안된다 할 것인가? 시중이라는 자리가 그렇게 아까운가?"

배염은 상술한 중종의 발언과 행태를 당시 황태후였던 측천무후에게 알렸고, 측천무후는 중종의 이러한 촌극을 방치하지 않았다. 측천무후는 직접 배염 등과 군사들을 이끌고 중종을 옥좌에서 끌어내려 여릉왕으로 강등시키고 방주로 유배보냈다.

중종: 저에게 무슨 죄가 있습니까?

측천무후: 장차 위현정에게 천하를 주겠다는 것이 어찌 죄가 안되겠소?

측천무후는 중종의 아우인 예왕 이단을 황제로 앉혔으니, 이가 제5대 황제인 예종이다. 배염을 예종을 즉위시킨 공적으로 작위가 영청현남(永淸縣男)이 되었다.
측천무후가 수렴청정을 하고, 측천무후의 조카인 무승사가 무씨칠묘를 세우자고 측천무후에게 청원하자, 배염은 다음과 같이 간언하며 무씨칠묘를 반대하였다.

배염: 태후께서는 천하의 어머니로, 성덕으로 섭정을 하셨으니, 친족에게도 마땅히 공평무사해야 합니다. 게다가 태후께서는 여씨의 몰락을 보지 못하셨습니까?

측천무후: 여씨의 치세에는 권력이 산 사람에게 있었지만, 지금은 선대를 추숭하는 것이라 전혀 다르거늘, 어찌 둘이 같다고 하는 것이오?

배염: 무성하게 자란 들풀은 자르기 어려우니, 나쁜 선례를 조장해서는 안됩니다. 본보기로 삼아 경계할 일이 그리 멀리 있지 않으니, 마땅히 그 근원을 끊어야 합니다.

또한 무승사는 무삼사와 함께 이원가와 이령기를 죽이라고 측천무후에게 권하였는데, 이때도 배염이 반대하고 나서면서, 배염은 측천무후와 대립각을 세웠다. 배염은 아무리 측천무후가 태후로서 수렴청정을 하고 있지만 무력을 써서라도 정권을 예종에게 물려줘야 한다고 생각하였기에, 배염과 측천무후의 대립은 첨예해졌다.
684년, 이세적의 손자인 이경업이 측천무후에게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측천무후는 배염을 불러 이경업 토벌을 논의하였는데 이경업의 반란으로 배염과 측천무후의 대립은 극한으로 치달았다.

배염: 황제 폐하께서는 성인이 되셨지만 친정하지 못하셔서, 교활한 소인배가 반란을 일으킬 구실을 만들었습니다. 만약 태후께서 정권을 황제 폐하께 돌려주신다면, 반란군은 토벌되지 않고 저절로 무너질 것입니다.

최찰: 배염이 20여 년 동안 조정에 충성하며 반란이 토벌되지 않았는데 태후에게 정권을 황제 폐하께 돌려달라고 청하는 것은 필시 두 마음을 품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측천무후가 최찰의 말을 듣고 배염을 국문하도록 명하였고, 배염의 억울함을 풀어달라는 신하들의 표문에도 물러서지 않으며 결국 배염은 사형되었다.
측천무후가 죽고, 예종이 복위한 뒤 배염은 태위, 익주 대도독으로 추증되고 충(忠)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 신당서에서 언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