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락

 

[image]
1. 개요
2. 근연종


1. 개요


쏨뱅이목 양볼락과의 바닷물고기.
학명은 ''Sebastes inermis'' Cuvier, 1829
우럭과 함께 한국인의 대표 횟감으로 대중적인 생선이다. 5~6줄의 불명확한 줄무늬가 특징이며 성체는 30cm정도 되는 작은 물고기이다. 번식력이 강한 편에 속한다. 수컷의 경우 생식기가 뒷쪽 바로 뒤에 교접기가 있다. 식성은 잡식성이라 물고기, 오징어, 새우, 게 등등 못 먹는게 없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뽈락 또는 뽈라구 라고도 한다. 가을이 산란기이며, 1월이나 2월에 미리 뱃속에서 수정해둔 새끼를 낳는다. 제철은 3~4월이며, 이때 지방이 매우 풍부해진다.
, 구이, 젓갈 어떻게 요리해도 좋은 생선이다. 경남 지방에서는 볼락을 이용해 무김치를 담그기도 한다.이게 통으로 매운탕 해먹으면 또 그렇게 맛있다
겨울철 바다낚시(루어) 어종으로 인기가 있으며[1] 낮은 수온에도 공격적으로 미끼에 반응하기 때문에 초보들도 쉽게 낚을 수 있다.
매우 기본적인 락피시로[2] 인공, 자연물 구별없이 뚝떨어지는 바위벽이나 돌틈 여기저기에 많이 산다. 자연그대로의 절벽이나 바위틈 부터 인공물인 항구의 선착장, 교각, 방파제의 테트라포드 틈까지 없는데가 없다. 따라서 포인트 확인은 어렵지 않다.[3][4]
볼락은 참돔 만큼이나 이노신산이 많은 물고기라고 한다. 따라서 거의 참돔 수준의 강한 감칠맛을 느낄 수 있는 물고기이다. 또한 살이 단단하여 식감이 매우 좋다. 보통 부산에서 높은 대우를 받는다. 실제 우리나라에서 잡히는 볼락과 근연종인 불볼락(열기)의 거의 대부분이 부산에서 소비된다. 부산의 횟집 밀집지역에 가보면 철이 되면 수족관 가득 볼락과 불볼락이 들어차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본에서도 인기가 있지는 않지만 참돔 대용으로 먹기는 한다고. 독일에서는 인기 있어서 아이슬란드까지 가서 잡는다고 한다.
크기가 작고 뼈가 덜 억세기 때문에 회를 뜬 후 남은 뼈를 튀겨 먹기도 하는데 이게 또 별미다. 매운탕 맛도 좋지만....매운탕으로 먹기에는 아까운 면이 있는 생선이다. 요즘 양식이 되면서 많이 저렴해졌지만 대중적인 횟감중에서는 최고가에 해당하는 가격이다.
참고로 너무 잘게 썰지 말고 포를 뜬 상태에서 3등분 정도만 해서 먹는 게 제일 맛있다.
다만 조심할 점은 작은 고기라고 함부로 잡았다가 뾰족한 등 지느러미아가미 뚜껑에 손이 베일 수 있다는 점으로 꼭 장갑을 착용하거나 수건 등을 활용하도록 하자.[5]

2. 근연종


  • 불볼락(Sebastes thompsoni)
흔히 열기라고 부른다. 붉은 피부와 검은 세로줄이 특징이다. 볼락보다는 조금 더 깊은 수심에 서식하기 때문에 주로 배낚시로 낚는다. 씨알도 볼락보다 크고 개체수도 많고 낚기도 쉽기 때문에 낚시 대상어종으로 매우 인기가 있다. 크기가 볼락보다 크고 구이나 조림용으로 많이 먹는다.
일본어로는 キンタル(킨타로)라고 부르며 크기가 크고 상당히 비싼 생선으로 유명하다.
가끔 금태로 불리우기도 한다.

흔히 우럭이라고 부른다. 볼락의 근연종 가운데 가장 크게 자라며 60cm를 넘기는 대물도 볼 수 있다.

[1] 사실 락피쉬는 어지간하면 사계절 내내 잡을 수 있는 어종이 많다.[2] rock fish 말그대로 수중바위 지대 어디든 산다.[3] 다른 고기들도 그렇지만 수자원 보호를 위해 산란철 이후 자라나고 있는 작은 크기의 고기는 방생하도록 하자. 볼락은 가뜩이나 작은 크기의 녀석들도 겁이 없어서 미끼에 거침없이 달려든다.[4] 그 예로. 1박 2일 시즌 1 자급자족 특집을 보면 알 수 있다. # [5] 볼락용 지그헤드의 경우 바늘을 빼다 생길 만일의 부상을 피하기 위해 바늘 끝에 미늘이 없는 바늘도 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