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효

 

扶餘孝
생몰연대 미상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1. 개요


의자왕의 아들이자 의자왕 말년 시점의 태자.

2. 생애


본래 의자왕의 태자이자 다음 후계자로 내정된 왕자는 부여융이었다. 그런데 백제 멸망 당시의 기록에는 태자가 '부여효'로 바뀌어 있고 부여융은 태자가 아닌 단지 왕자로 칭하고 있다. 일단 기록상 부여융과 부여효는 다른 사람이라고 명확히 기록돼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설이 있지만 이는 아무래도 655년 정월에 일어났던 의자왕의 친위 쿠데타의 결과로 보인다. 부여효는 부여융의 배다른 형제로 추측되는데, 백제 말기에 전횡을 일삼았다는 의자왕의 대부인이 의자왕의 친위 쿠데타를 도와 권세를 잡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대부인 소생인 부여효가 부여융을 몰아내고 태자위를 빼앗아갔다는 설이 유력하다. 한편 이 의자왕의 대부인이 은고부인이라는 설도 있으나 아닐 가능성이 높다.
660년, 나당연합군이 대대적으로 백제를 공격했고 웅진강 입구의 전투에서 당군에게, 황산벌 전투에서 신라군에게 양쪽에서 패배해 수도 사비성 공격이 눈앞에 다가오자 의자왕은 태자 효와 함께 사비성을 탈출하여 북쪽 웅진성으로 피난했다. 웅진성으로 떠난 이유는 웅진은 과거 개로왕 피살 때에도 고구려군의 위협이 다가오자 문주왕이 일단 수도로 삼았던 것처럼 지리적으로 수비하기 좋은 지형이었기 때문인 듯 하다. 그러나 나당연합군은 부여태가 지키는 사비성을 먼저 함락한 후 웅진성으로 밀려들었고 예식진의 배신으로 의자왕과 함께 포박당한다.[1] 이후 의자왕과 같이 당으로 포로로 끌려갔고 이후의 생애는 알 수 없다.

3. 가족관계


  • 아버지 의자왕
  • 아들 부여문사 - 삼국사기의 백제멸망전 기록에서 등장. 여기서 효를 태자, 융은 왕자로 기록했고 문사는 태자의 아들이므로 효의 아들로 보인다. 그런데 효를 따라 웅진성으로 떠나지 않고 사비성에 잠시 남았다가 부여융과 함께 뒤늦게 밧줄을 타고 탈출한다. 융과 효의 사이가 좋았을 이유가 없어 의아한 대목인데 그만큼 백제멸망전 당시 상황이 긴박했다는 것일 수도 있다.

[1] 이때 현 충청남도 공주시 신원사(사찰)(新元寺)의 부속 암자인 고왕암(古王庵)에 백제 왕자가 도망쳐 숨었다가 잡혔다는 전설이 내려오는데 정확히 누구인지 확실하지 않다. 부여융이었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삼국사기에 따르면 그때 부여융은 사비성에 있었으므로 웅진성으로 도망쳤던 부여효가 또 다른 후보로 유력하긴 한데 다른 왕자들이 더 있었을 수도 있으므로 확실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