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성
1. 개요
熊津城 | 고마나리(나루)
위례성[1] 에서 천도한 백제의 2번째 수도. 현재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었다. 제22대 문주왕이 도읍하고 제26대 성왕 때 사비성으로 천도하였다. 이후 웅진성은 제2 수도 기능을 하였다.
웅진성의 정확한 범위는 미상이고, 공산성이 웅진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공산성 문서에도 보이듯 공산성 자체가 웅진성이 아니라 공산성을 포함한 부지 일대를 웅진성이라 통칭했을 가능성도 크다.
2. 역사
백제는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 정책으로 하남위례성을 빼앗기고 475년에 개로왕이 살해당했으며, 이에 따라 다음 국왕인 문주왕 원년에 이 곳으로 쫓기다시피하며 천도하였다. 웅진성은 아랫동네 사비성으로 다시 도읍을 옮기는 538년까지 63년 동안 백제의 수도로 기능했다.
위기 상황에서 급하게 새 수도로 정해진 데서 알 수 있듯 방어에 유리한 지형[2] 이었기에, 사비성 천도 후에도 전시에 수도 사비성이 위험할 경우 왕이 이 곳으로 피난가는 등 제2수도로서의 기능이 있었다.
백제 멸망 후에는 당나라의 웅진도독부가 잠깐 존재했으며, 나당전쟁으로 676년에 완전히 당군을 쫓아낸 통일신라 때는 웅주(웅천주)로 개편되었다. 신라는 부여군 대신 여기를 충청 일대 웅천주의 행정 중심지로 삼았는데, 백제 때는 평지가 좁아서 한 나라의 수도로는 적합하지 않아서 천도했다지만 이제 더 이상 수도가 아니기에 드넓은 부여 대신 공주로도 지역 행정 중심지 역할은 충분하다고 보았던 듯 하다.
김헌창의 난 때 잠시 장안국의 수도였다. 이후 공주로 명칭이 바뀌고 고려, 조선 시기에도 충남 지역의 중심도시 역할을 했다.
3. 어원
고대 한국어(백제어)로는 '''고마나루''' 또는 '''고마나리'''로 불렸다. '고마[koma]'는 곰을 뜻하며, '나루'와 '나리'는 각각 '물가'와 '시내(내)'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백제어에는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훈독이 존재하여 '곰 웅(熊)' 자를 적고 '고마', '내 천(川)' 또는 '나루 진(津)' 자를 적고 '나리', '나루'라고 부르는 식의 지명 조어법이 통용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및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사서에서는 모두 '웅진'의 표기를 따르고 있는 반면, 《양서(梁書)》 에는 '고마(固麻)'라고 적혀 있어 그 어원을 추정할 수 있다.
역사를 왜곡하기로 유명한 일본서기는 개로왕이 고구려 장수왕에게 죽고 즉위한 후임 문주왕에게 백제를 재건하라며 왜왕이 고마나리를 할양 했다는 기록이 있다.
백제가 멸망하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경덕왕 시기에 훈독이 폐지되었으며, 오늘날과 같은 중국식 한자음, 즉 음독으로 지명이 통일되었다. 이에 따라 고마나루 일대 역시 '웅천주(熊川州)' 또는 '웅주(熊州)'로서 신라 9주의 일부로 재편되었다. '웅천'과 '웅진'은 각각 '고마+나리(川)', '고마+나루(津)'의 조합에 대응되므로, '웅주'가 '웅진'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했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훈독이 폐지된 이후에도, 백제 유민이었던 현지인들은 일종의 사투리로써 계속 웅주 땅을 '곰나루'라고 불렀으며, 웅주를 '곰주'로 불렀다. 이 발음이 다시 한자로 음차되어 오늘날 공주시의 유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