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자루질(교통)

 


1. 개요
2. 문제점
4.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에서 단일 버스 노선이 10분 안팎의 짧은 배차간격, 많은 운전기사와 차량을 동원해서 승객을 쓸어 담는 행위를 뜻하는 표현이다. 광역철도, 지하철도 사정은 비슷한데, 철도는 원래 사람을 많이 태우려고 만든 교통수단이다.[1] 역에서 사람을 가득 태우는 일이 아주 드물어서, 쓸어 담는다는 표현이 좀 부족하다.[2] 따라서 주로 버스에만 먹히는 표현이며, 이런 노선이 존재하는 구간은 여러모로 증차나 대체재가 필요하다.
쉽게 말해 빗자루처럼 한 번에 많이 쓸어 담는 모습에서 비롯된 은어다. 스윕은 다른 용도로 주로 쓰이지만 같은 말이다. 2012년 10월에 빗자루질의 중요성을 다룬 텔레비전 광고가 나왔다.(동영상 보기) 근데 정작 동영상에 나온 버스 노선 파주 버스 9030배차간격이 10~35분이다.

2. 문제점


준공영제가 아닌 지역의 버스 노선에서 빗자루질이 계속될 경우 독과점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이런 노선에서 버스 한대가 고장나서 주행 못하거나 사소한 이유로 예정 도착시간이 어그러지면 피해를 보는건 기다리는 승객들이다.
또한 이런 길에는 차가 많이 다녀서 걸핏하면 막힌다. 더구나 버스 인가는 한정된 상태이며, 도로 환경상 규칙적으로 시간을 지키기 어렵다. 또한 시간을 놓치면 버스를 타지 못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 버스가 시간을 어기면 기사들이 문책을 받기 때문에, 과속 및 난폭운전의 위험성을 안고 있으며, 지나치게 많은 승객을 받아 주행할 경우 생기는 안전사고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이런 구간은 대체제인 도시철도 등이 공간과 자본의 제약으로 들어올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승객의 편의를 위해서는 교통국의 정확한 교통량 판단과 적절한 대체노선 운영으로 승객의 분산을 유도해야 하지만 그러지 못하는 노선에서 발생하는 것이 빗자루질.

3. 사례




4. 관련 문서


[1] 어느 정도나면 망했다는 소리 듣는 의정부 경전철이나 용인 경전철이 일 이용객수가 1만~4만 사이를 오가는데 그 정도 이용객수가 나오는 단일 버스 노선이면 여기 목록에 올라오기 충분하다. 실제로 이 정도 이용객이 있는 노선 경로에 버스가 단일 노선으로만 운행될 리는 없지만.[2] 이미 경부고속선 평택분기~오송 구간에서 KTX와 SRT가 3~10분 간격으로 운행중이다. 참고로 이곳은 하루 왕복 190여편고속열차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