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Korea Train eXpress 한국고속철도(韓國高速鐵道)
KTX의 B.I.(Brand Identity)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차량
5. 운용
6. 운임
7. 노선 및 운행 정보
7.1. 운행계통
7.1.1. 현행
7.1.2. 개통예정
7.1.3. 폐지
7.1.4. 폐지예정
7.2. 역별 정차 구분
7.3. 특별 배차
7.4. 패스(pass)
7.5. 통일 이후 예상[1]
7.6. 서비스
7.6.1. 잡지
7.6.2. 무선인터넷(Wi-Fi)
7.6.3. 일반실
7.6.4. 특실
9. 차내방송
11. 이용객
12. 기타
13. 관련 문서
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국고속철도(韓國高速鐵道)는 한국철도공사[2]가 운영하는 고속철도 및 준고속철도 브랜드이자[3] 최고 등급의 열차로, 2004년 4월 1일에 개통되었다. 영어 명칭인 KTX는 '코리아 트레인 익스프레스(Korea Train eXpress)'의 약자[4]이다.
과거의 경부선, 경부고속도로처럼 대한민국 교통 전반에 새로운 시대를 연 존재이다. 철도에서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기존선 열차의 영문명에서 Express를 빼앗았으며[5], 국내선 항공편을 상대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2. 역사




[6]
개통 당시 홍보영상(PC에서만 재생가능)
현대로템의 개통축하 신문광고
공사는 1992년 6월 30일에 기공해서, 2004년 4월 1일에 개통되었다. 기공부터 개통까지 우여곡절도 많았다. 당장 천안 지역에 제2천안역(가칭)에서 대전역을 잇는 시험선 34km를 건설할 때만 하더라도 기공식을 개최할 땅이 없어서 임시로 땅 주인에게 땅을 빌려서 기공식 행사를 할 정도였다고 한다.
당초에는 1999년이나 2002년 개통을 목표로 했지만 사업비 예측 실패, 건설사 사정, 심지어 IMF 크리까지 터지면서 공사가 느려진 것이다. 아무튼 공사 도중 외환위기가 터지는 바람에 예산이 뭉텅 깎여버려 대구 - 부산 구간 철로는 기존 구간과 달리 값비싼 고속선[7]을 깔지 못하고 기존선으로 다니면서 150km/h가 넘는 속도로는 달리지 못했었다. 하지만 아래에서 언급하듯이 2단계 구간이 개통된 후에도 기존선 경유 열차는 유지되고 있는데 연선 수요가 꽤 되기 때문이다. 아무튼 당시의 자금 상황으로 인해 고속철도 사업이 전면 중단되는 최악의 사태만은 피했으니 다행. 다만 폭이 다른 철로를 번갈아서 다니는 덕분에 KTX의 바퀴 마모는 빠르게 진행되어 정비소요는 늘어났다. 약 7cm 정도 마모되면 교체해야 한다. 여기서 폭이 다르다는 것은 레일 자체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궤간은 표준궤로 동일하지만, 바퀴가 올라가는 강철 I빔의 규격이 다르다.[8] 다만 최근에 건설되거나 건설 중인 신규철도노선이나 복선전철화 및 선형개량노선의 경우는 고속선과 동일한 레일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는 경부고속선 대전, 대구 도심구간의 개통으로 서울 시내구간과 기존선 경유 열차에만 한정된 얘기. 물론 대전역, 동대구역은 KTX 필수정차역[9]이라 미리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다, 시내구간의 소음문제를 생각하면 경부고속선 최초 개통시 대전, 대구 도심구간이 함께 개통됐다고 해도 해당 구간을 고속으로 달리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당시 고속철도 건설을 담당했던 인물들의 회고가 담긴 책(꿈의 실현, 고속철도 시대를 열다)에 의하면 KTX 사업은 1970년대 중반 박정희 대통령이 유관 부서에 검토를 지시했던 '서울 - 대전 간 급행 고속전철 건설방안'이 그 시초라고 증언하고 있다. 실제로 고속철도 사업 타당성 조사를 위해 IBRD와 프랑스 알스톰, 일본국유철도(현재의 JR그룹)가 방한했다고 전한다. 다만 이 당시의 서울 - 대전 간 급행 고속전철은 그저 한국고속철의 겉부분이나 일부 영역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1970년대 당시 계획된 한국형 신간선이 현재의 KTX 사업에 가깝다. 당시 일본국유철도신칸센으로 적자 탈출을 하는 모습을 보고 한국형 신간선 계획이 나왔으며 경부 신간선과 호남 신간선, 경전 신간선이 계획되었다. 말그대로 당시 철도청의 체질 개선을 목표로 이루어진 일련의 계획들이 현재 한국고속철도 사업의 뼈대를 이룬 것이다.

차량 선정 당시 고속철도 시스템을 가진 단 3개의 국가였던 일본, 독일, 프랑스가 치열하게 경쟁했다. 일본은 당시 최신형인 300계를 한국 사양으로 개조한 커스텀 형식의 차량을 제안했었다. 차량 폭이 3100mm인 2+2 배열의 차량으로 총 좌석 수는 1000석 내외로 하고, 모터의 출력을 상승시켜 영업최고속도인 300km/h까지 나오도록 만든 차량이었다. 그러나 이는 실차가 아닌 베이퍼웨어였다. 또한, 차량선정 당시 일본의 최신형 차량은 300계였고 300계의 최고영업속도는 270km/h에 설계최고속도는 297km/h로 자신들도 시험용 차량이 아닌 영업차량으로는 300km/h를 내본 적이 없었다. 또한 고상홈 문제와 중검수의 한국 자체 실시에 부정적이었고, 라이센스 생산은 전부 불허하고 전량 일본 생산 후 도입을 고집하는 등 기술이전 또한 부정적인 것은 마찬가지였기에 3파전에서 가장 먼저 떨어져 나갔다. 반일감정 때문에 제일 먼저 탈락한 것이라는 루머는 절대 사실이 아니다.
독일은 제안 차량이 ICE 2의 개발형이었다. 3개국 중 기술적 스펙은 가장 좋았고 기술이전, 차관 등 각종 조건도 일본보다는 조금 나았지만 그나마도 프랑스가 파격적인 조건을 들이밀어서 탈락됐다. 에세데 사고 때문에 탈락된 것이란 루머도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차량도입 계약은 1994년에 체결됐고 에세데 사고는 1998년에 일어났다. 물론 ICE 차량으로 결정이 났다면 사고로 인해 안전성 문제가 불거져 차량도입이 늦어졌을수는 있다.
프랑스는 당시 알스톰에서는 일본, 독일 대비 파격적인 수준의 기술이전과 라이센스 생산 허용 조건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는 차량도입을 계약할 때 단종된 구형 기종인 TGV 레조를 떠넘기기 식으로만 생각했던 것이었고[10], 프랑스 현지 기술진도 기술을 배우러 간 한국 측 기술진에게 처음에는 기술을 가르쳐줘도 소화해내지 못할 것이라고 여기는 거만한 태도로 대했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에서 본전을 뽑겠다는 한국 측 기술 연구진의 끈질긴 물밑 교섭 끝에 고속철도에 대한 각종 저작권리, 기술도입 중 새로 발견된 신기술에 대해선 한국 측이 그 권리를 선점하는 등 각종 유리한 조건을 모두 따오는데 성공했다. 당시 알스톰 사내에서도 한국 측을 너무 얕보고 계약을 해버렸다는 반응이 있었다고 전해지며 공장에 칸막이까지 치는 등 갈수록 방어적이고 신경질적인 태도로 변했다고 한다. 그래서 차량을 들여오면서 프랑스 측이 제공을 거부한 기술은 거의 리버스 엔지니어링하다시피 개발해야 했던 부분도 있었다. 이 때문에 KTX가 한국으로 인도되어 들어올 때 프랑스 현지에서는 알스톰에 대한 비난여론이 거세게 일었고 실제로 알스톰의 주식까지 폭락했다고 한다. 참고로 초기도입분 차량들은 1998년 4월 18일에 마산항으로 들어왔다.당시 뉴스 프랑스가 병인양요 때 훔쳐간 외규장각 도서를 반환해준다는 조건으로 TGV를 수입했다는 루머는 사실이 아니며, 프랑스 TGV가 낙찰된 것은 운용 경험, 금융 조건, 경제성, 사업 일정, 기술 이전 등 여러 면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차관 조건이 가장 파격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2007년 부산역 충돌사고 당시 TGV 차량의 안정성이 제대로 입증됐었는데 만일 신칸센 차량이었다면 기관사는 최소 중상을 입었을거란 말이 많았다.
알스톰은 자회사 EUKORAIL(유코레일. 이후 알스톰 한국 법인으로 사명 변경)을 세워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금성산전, 삼성전자, 금성전선, 일진 등 한국 7개 업체, 추가 프랑스 2개 업체와 한국TGV컨소시엄을 만들어 KTX-1(초기명칭은 TGV)를 들여왔다.[11]#


산천 출시 당시 홍보영상
개통 10주년 홍보영상
어쨌든 이 기술들을 토대로 한국 측 기술연구진들은 차기 시험모델인 HSR-350X와 양산차인 KTX-산천을 뽑아내는데 성공했다. KTX-산천 1호기 출고 당시 기념으로 초청되었던 프랑스 측 인사의 표정은 그야말로 씹은 표정이었다고 전해진다. 기술 팔아봤자 차만 사가고 끝일거라 생각했는데 기술을 뽑아먹을대로 뽑아먹고 다음 차는 자체제작까지 해버리니 그럴 수밖에. 물론 출시 초기에 잔고장으로 온갖 홍역을 치르기는 했다.[12] 이후에도 400km/h대 고속열차 개발을 위한 모델인 HEMU-430X를 뽑아내는데 성공한다. 아무래도 동력집중식 차량은 정치적 사유 등으로 정차역을 줄이기 쉽지 않은 한국 실정에 어울리지 않다보니 새로 동력분산식으로 개발해야 했는데, 그래서 HSR-350X는 냅두고 아예 처음부터 새로 개발한 물건에 가깝다. 연접대차같은 TGV의 흔적도 아예 완전히 사라졌다.
KTX라는 명칭은 1999년 8월 25일에 확정되었다.[13] 그 밖에 '이버드(E-BIRD)'라는 명칭도 후보였다고 한다.

3. 특징


한국철도공사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광명역 환승주차장 등의 사례를 봐도 그렇다. 그리고 경부선 KTX는 한국철도공사의 모든 일반 노선과 열차 운용을 통틀어서 유일하게 흑자를 내기도 했다. 실제로 고속선으로 KTX가 개통된 도시의 경우 항공 수요를 다 뺏어오기도 한다.[14] 경부고속선 1단계 개통 때에는 대구공항의 수요가 급락, 결국 김포-대구 노선을 단항[15]시키는 위업을 달성했다. 그리고 2단계 개통 때에는 울산공항의 수요가 급락했다. 물론 이 수요는 KTX가 대부분 흡수. 단, 서울-부산은 거리가 400km인 관계로 여전히 버스, KTX와 항공편간의 경쟁이 거세다.
개통 당시 최저운임은 10,600원이었으나 너무 비싸다는 지적에 2005년 7,000원으로 줄이고, 이후 2007년 7월 8,100원으로 올렸다가 2011년 11월부터 8,400원으로 올라 지금에 이르고 있다. 개통 당시보다 내려간 최저운임에 비해 km당 운임률의 경우 개통 당시보다 올랐는데, 개통 당시 서울-부산간 KTX 운임은 45,000원이었으나 2019년 12월 현재는 59,800원에 달한다. 5%를 포인트로 적립해준다고는 하지만..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서울 김포-부산 김해 항공 노선의 경우 출발 날짜 및 시간에 따라 최저가 10,000원짜리도 있음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비싸다. 그리고 수익을 위해 KTX 편성을 늘리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이용 가능한 무궁화호 노선을 줄여버리고, 심지어 2019년 말 야간열차마저 폐지시켰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난도 있다.
특실 최저요금은 13,200원 현재 KTX 특실은 일반실 운임의 40%를 할증하는데 할증요금이 4,800원보다 적으면 일반실 운임에 특실최저요금을 더해서 수수한다.[16] 최저운임이 부과되는 구간 중 가장 가까운 구간은 서울역용산역의 3.2km이다.[17] 참고로 KTX의 고속선 구간 운임에는 VAT(부가가치세)가 함께 부과된다.
영업최고속도는 305km/h지만 고속선에서 250~300km/h 사이로 주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 열차가 지연되고 있거나, 전반적인 KTX 운행 상황이 양호한 경우에는 300~305km/h로 달리며[18], 250km/h 이상으로 주행시, 객실 모니터 좌측 상단에 월일시 자막이 주행속도로 바뀌어 표기된다.[19] 2019년 10월 경부터 주행속도를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image]
2012년에는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았다. 과자음료수 같은데 CO2 몇 g 하고 붙어있는 그것 말이다. 일단 상징적으로 서울-부산 구간을 받은 듯한데, 승객 1인당 서울-부산 간 편도로 KTX를 이용하면 9.98kg밖에 안 된다고 한다. 참고로 같은 구간을 자동차로 이용하면 68.46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고. KTX가 승용차의 14.6%(약 1/6) 정도의 이산화탄소만 배출하는 셈. 녹색철도 코레일이라는 말에는 다 이유가 있다.

4. 차량


100000호대
110000호대
140000호대
150000호대
아래 투입차량 항목의 3자리 번호는 열차번호(예매화면에서 보는 3자리 숫자)가 아니다. ABCDEF호 라는 차량번호[20]의 BCD 부분이다. 고속철도차량은 A는 1로 고정, EF는 편성차량의 개별객차번호이다.차량번호와 열차번호 차이 KTX-산천 140000호대 출고를 전후로 차량번호가 개편되었다.
동력차의 측후방에는 '대한민국의 내일 - 국민의 코레일'이라는 홍보문구가 붙어있다. 처음 붙였을 당시에는 '다이나믹 코리아'였다가 이후 '세계 1등 국민철도', '국민기업 코레일', '국민행복 코레일' 등 한국철도공사 홍보문구로 계속 바뀌어왔다.
  • 상업운행 투입차량
    • KTX-I(100000호대): 001~046호(0번대)
    • KTX-산천
      • 110000호대: 101~124호(100번대)
      • 140000호대: 401~415호(400번대, 경강선 투입 차량)[21]
    • KTX-이음(150000호대): 501~519호(500번대)
  • 과거 투입차량
    • KTX-산천 120000호대: 201~222호(200번대)[22]
  • 투입예정 차량
  • 기술개발용 시제차량

5. 운용


KTX는 고속전용선에 한해 단선병렬로 운영한다.[23] 평소에는 좌측통행의 일반 복선처럼 쓰지만, 원칙적으로는 어느 선로로든 쌍방통행이 가능한 방식. 우측통행을 하거나, 심하게는 아예 선로 두 가닥을 똑같은 방향으로만 운용해도 역주행이 아니라는 뜻.
이렇게 운용하면 한쪽 선로가 사고 등으로 인해 막혔을 경우, 반대편 선로를 이용해 단선 운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복선에 비해 훨씬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다. 광명역 KTX 탈선사고 당시 경부고속철도가 손상되자 급하게 한 쪽만 우선 복구한 뒤 모든 열차를 해당 선으로 통행시키는 교행 방식으로 운행했던 것이 그 예. 그래서 각 주요역에는 반대편 선로로 들어가는 분기기가 있어 정차 직전에 반대편 선로에서 나와 역에 정차할 수 있다.[24]
국내에서 이 차량을 운전하기 위해서는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가 있어야 한다.
차량들은 주로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관리한다. 그밖에 호남고속선에서는 호남철도차량정비단이 있으며 강릉선의 강릉차량사업소[25]이문차량사업소[26]도 정비를 맡는다

6. 운임


KTX의 운임 및 요금
구분
까지
기본운임
km당 운임
특실(우등실)요금
기존선
80km
8,400원
112원 12전/km
구간운임의 40%
준고속선
60km
140원 20전/km
구간운임의 20%
고속선
50km
164원 41전/km
구간운임의 40%
해당 이용구간에 따라 기본요금 거리가 달라질 수 있음. (기존선-고속선 연계이동 및 일반열차 환승 등))
부당요금: 부정한 방법으로 할인요금 지불, 운임 미지불, 정기 승차권 부정 사용, 불법 발권 등 정당하지 못한 승차권
벌칙: 부가운임 수수 혹은 법률조치(구류, 징역, 과료의 형)

7. 노선 및 운행 정보


2021년 1월 기준 KTX 노선도
열차번호는 2004년 개통때부터 2006년까지는 경부선은 #001~099번대, 호남선은 #200번대를 사용했으나, 2006년 12월 개정 이후 #001~099번대 열번을 폐지하고 경부선 #100번대/호남선 #500번대로 개정하여 2020년까지 사용했으며, 2021년 중앙선 KTX 개통으로 경부고속선 KTX에 다시 #000번대가 부여될 예정이다.
2004년 4월 개통 이후 서울~ 부산 무정차 KTX가 있었지만 수요 부족으로 7개월만에 사라지고 동대구역 정차 열차로 변경되었다.[27] 당시 소요시간은 2시간 34분이었고, 상행 2회, 하행 2회 총 4편을 운행했었다. 2010년 12월 1일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이후 무정차 KTX가 재신설되었고 2015년 3월까지 운행되었다.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2시간 17분이 걸렸다. 하지만 4월 2일 시간표 개정으로 다시 폐지되었다. 사실 2010년 12월 1일 운행 당시에는 2시간 8분이었으나, 신경주역, 울산역 분기기 문제로 인한 서행과 그 외 요인 등으로 시간이 조금씩 늘어났다. 보통 전구간 고속선 경유 기준으로 2시간 30~40분대로 소요되는 열차가 가장 많이 배치되어 있으며, 고속선 상의 전 역[28]을 정차하는 2시간 50분대 열차가 하루에 두 편 있다. 3시간 걸리는 구포/수원 경유 열차랑 크게 차이가 없다.
상행은 하루에 1번, 하행은 하루에 2번 대전역, 동대구역 단 두 역에만 정차하며 부산역까지 2시간 28분에 운행하는 열차가 있었는데, 무정차 KTX와 마찬가지로 2015년 4월 2일자로 사라졌다. 대신 하루 1번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만을 경유하여 포항역까지 2시간 15분에 가는 열차가 있었으나 하행은 이번 8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사라졌다. 거기다 서울~부산 사이의 경우 대전, 대구 도심구간 개통과 함께 울산역, 신경주역 분기기 수리 완료로 대전, 동대구 이외에 한 역에 더 정차하면서도 2시간 29분대로 열차 운행이 가능해졌다. 기존 2시간 28분대 서대동부 열차에 정차역이 하나 더 추가된 것.
하지만 2016년 12월 9일자 시간표 개정으로 하행 2편(#117 9:00~11:15, #165 20:30~22:46), 상행 3편(#122 9:35~11:51, #142 15:10~17:25, #170 22:10~다음 날 00:26)의 열차가 다시 단 두 역에만 정차하게 되었다. 다이어 상의 소요시간은 2시간 15~16분. 경부고속선 2단계 분기기 문제로 인해 감속크리가 걸렸을 당시의 서울-부산 무정차 소요시간보다 더 빠르다(!) 더불에 서대동부에 광명역만 추가로 정차하는 열차도 주말 포함 하행 3편(#113 7:50~10:07, #205(평일은 #295) 14:15~16:32. 행신역에서 13:50 출발. 295열차는 산천 편성. #217 22:50~01:15. 금토일 한정), 상행 1편(#212 15:20~17:37. 금토일 한정) 이때의 소요시간은 다이어 상으로 2시간 17분(!). #217만 2:25분이다. 이 역시 초창기 서대동부 소요시간보다 3~10분 이상 빠르다. 한 곳의 고속열차 역에만 정차 시에는 소요시간이 2시간 20분 초반인 것을 감안하면… 이와 반대 급부로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만 경유하여 포항역으로 가는 열차와 광명역 착발 열차 편성은 없어졌다.
2~3시간에 1대 정도로 구포역을 경유하는 열차수원역을 경유하는 열차가 있는데, 구포를 경유하는 열차는 동대구역 밑으로는 기존 경부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경부고속선 2단계를 이용하는 열차보다 시간이 더 걸려서 약 3시간이 걸리고 수원을 경유하는 열차는 서울에서 대전까지 기존 경부선을 이용해 약 3시간 20분 정도 걸린다. 같은 기존선 이용인데도 시간 차이가 20분 이상 나는 이유는 동대구~부산역 거리가 서울~대전역 거리보다 가깝기 때문이다.[29] 한때는 서울과 부산을 오갈 때 평일 기준으로 할인카드에 수원 경유 열차를 선택해 무인발매기 등 각종 할인을 받으면 무궁화호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가격으로 휠씬 빠르고 쾌적하게 갈 수 있었으나, 현재는 파격가 할인으로 미리 끊어놓지 않았다면 이렇게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KTX를 탄 다음 환승하는 승차권에서 환승열차의 요금이 할인되는 구간이 있다. 물론 대전, 대구 시내구간이 개통된 후에는 서울 ~ 부산 간 소요시간이 2시간 30분이 평균으로 다시 크게 줄어들었다. 광명 출발이면 2시간 10분대도 가능하다.
호남선, 전라선에서는 3~4시간에 1대 꼴로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열차가 있다.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열차는 오송역에서 호남고속선을 이용하지 않고 대전조차장역까지 경부고속선을 이용하고 익산역까지 기존선으로 이용하기에 호남선 기준 목포역까지 약 3시간 30분~ 3시간 40분이 걸리고 여수엑스포역까지는 3시간 30여분이 걸린다. 서대전 경유 KTX 대부분은 익산역에서 시종착한다.[30]그리고 이 열차들은 새벽이나 밤 시간대 열차가 아니더라도 할인이 된다. 게다가 이마저도 서대전역이나 과장을 좀 보태서 수요의 절반이 군인인 계룡역 때문에 예매를 빨리 하지 않으면 할인 혜택을 받기 힘들다.
그리고 승차율이 저조하거나 일찍 예매하는 열차들에 대해서는 최대 20%까지 할인된다. 그냥 승차권 예매를 했을때 "파격가 할인" 같은 할인 승차권은 최대 30%까지 할인한다! 주로 2일 전에 예매했을 때까지되고 그 이후로는 5%~10% 할인도 양반일 정도로 보기가 힘들다. 가끔씩 이 할인가 확인을 통해 열차 좌석 점유율(?)[31]을 대략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매우 이른 새벽이나 오후 9시 이후의 열차는 20% 할인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리고 금요일 ~ 일요일에는 할인을 보기가 매우 힘들다. 다만 새벽시간대나 오후 9시 이후 열차는 제외.
코레일에서 2019년 3월부터 일부 KTX 열차에 한해 승객 대피 도우미를 시범 운영하고, 4월부터 모든 KTX 열차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7.1. 운행계통




7.1.1. 현행


2021년 1월 5일 적용
열차번호
운행 노선
기점역
종점역
운행 횟수(왕복)
비고
1~74
80~98[요일]
100, 181, 183, 185[요일]
188, 194, 196[요일]
경부선
행신역
서울역
부산역
월 40.5회
화~목 40회
금 45.5회
토 46.5회
일 46회

101~112
161~166[요일]
행신역
서울역
부산역
월 7회
화~목 6회
금~토 8회
일 7.5회
구포 경유
116~120[32]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
월 2회
화~일 2.5회

121~128
170~173[요일]
서울역
부산역
월~목 4회
금 5회
토~일 6회
수원 경유
201~224
281~288[요일]
경전선
행신역
서울역
마산역
진주역
월~목 12회
금~토 16회

231~254[33]
291~298[요일]
동해선
행신역
서울역
포항역
월~목 13회
금~토 14회

401~440
491~492[요일]
호남선
행신역
서울역
용산역
광주송정역
목포역
월~목 20회
금~토 21회

471~478
481~486[34]
9484[요일]
행신역
서울역
용산역
서대전역
익산역
목포역
매일 7회
서대전 경유
501~524
541~544[요일]
전라선
행신역
서울역
용산역
여수엑스포역
월~목 12회
금 12.5회
토 14회
일 13.5회

581~584
587~590[35]
용산역
전주역
여수엑스포역
월~목 3회
금~일 4회
서대전 경유
701~714
781~782[요일]
중앙선
청량리역
안동역
월~금 7회
토~일 8회

801~828
851~864[요일]
강릉선
서울역
청량리역
강릉역
월~목 14회
금 19회
토~일 21회

841~848
881~886[요일]
서울역
청량리역
동해역
월~목 4회
금 6.5회
토 7회
일 6.5회

  • 기타[39]
    • 109 편성[36]: 대통령 전용 열차 편성번호. 평상시에는 대통령 전용 칸[37]을 제외하고 일반 시민들도 이용할 수 있다.
    • 300번대(301~380, 40왕복): 경부고속선 SRT. 운행거리: 400.1 km.
    • 600번대(601~622, 11왕복): 호남고속선 SRT. 운행거리: 289.7 km(광주송정행)[38]
    • 650번대(651~668, 9왕복): 호남고속선경유 목포행 SRT. 운행거리: 356.5 km(목포행)
    • 900번대: 회송열차(비대기 회송 등)
    • 4000번대: 임시편성 열차. 설, 추석 명절 기간이나 연휴 기간 등 평시보다 수요가 늘어날 것이 예상될 때 정규편성 이외에 추가로 투입되는 열차에 부여되는 열번이다. 이는 KTX뿐만 아니라 무궁화호와 같은 일반 여객 열차와 열차 번호를 공유한다.
    • 7000번대: 시운전 / 비상 대기 열차. 개통 전 영업 시운전을 하기 위해 7000번대 열번을 부여 받는다.
    • 지금은 사라진 무정차 KTX는 000번대를 부여받았다. 001, 002 열차가 대표적 사례였으나 현재는 일반적인 경부선 노선이 사용중.

7.1.2. 개통예정


  • 중앙선/동해선/대구선(안동역-...-부전역/동대구역[40]) : 2022년 이후
  • 인천발 KTX(송도역-초지역-어천역-[41]) : 인천광역시는 광역시들 중에 유일하게 KTX 정차역이 없어, 수인선/안산선을 활용하여 수도권 서남부 지역에 고속철도를 정차시키자는 의견이 계속 있었고[42] 실제로 이 의견을 여러 지자체장들[43]이 개진하면서 어천삼각선을 골자로 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결국 2019년에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2024년 이후 개통 예정.
  • 수원발 KTX(수원역-서정리역(미정차)-[44]) : 일 4~6왕복의 수원 경유 KTX가 수요을 감당하지 못하자, 현재의 서울역-대전역의 기존선 루트가 아닌 운행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지제연결선을 골자로 하는 계획이 논의되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2024년 이후 개통 예정.
  • 서해선, 경전선[45],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 등 : 완공되거나 개량이 끝나면 KTX-이음이 운행할 예정이다.
  • 수서광주선[46] : 중앙선 서울 구간의 용량 포화로 수요를 수서역으로 돌리기 위해 건설될 예정.

7.1.3. 폐지


  • 경부고속철도
    • 김천/구미 경유 동대구 종착 운행 계통 폐지(2007년 6월 1일 개통 ~ 2010년 11월 1일 폐지)[47]
    • 김천역, 구미역 정차역 삭제 (상단 운행 계통 폐지로 인한 정차역 삭제)
    • 서울 - 부산 간 무정차 운행 계통 폐지(2015년 4월 2일 폐지 / 열차번호는 하행 #1, 상행 #2)[48]
    • 광명역 착발 KTX-산천 운행 계통 폐지 (2016년 12월 9일 시각표 개정으로 폐지)
    • #241 열차가 주말하행 한정으로 정차한다.
  • 경전선
    • 함안역 정차역 삭제 (2012년 12월 5일 개통 ~ 2015년 4월 2일 폐지)
  • 호남고속철도
    • [49]
      • 2016년 국토교통부에서 서대전역 경유 목포행과 여수엑스포행을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목포행은 하술하는 김제, 장성 경유편만 살아남았고, 나머지 서대전 경유편은 모두 익산역, 서대전역 종착으로 바뀌었다.
      • 2019년 9월 16일부터 김제역, 장성역 정차역 부활 (하루 상하행 각각 2회 정차)
    • 광주역 정차역 삭제 (상단 운행 계통 폐지로 인한 정차역 삭제)[50]
  • 경강선[52]
    • 인천공항T1, 인천공항T2 경유 (800~900번대)[51]
      • 인천공항T2 - 인천공항T1 - 검암 - (경의선) - 서울 - 진부(오대산) - 강릉
      • 인천공항T2 - 인천공항T1 - (용산선) - 진부(오대산) - 강릉
    • 상봉 종착 운행계통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대수송기간 이후 폐지)
  • 용산역 착발 경부, 경전, 동해선 KTX: 2018년 7월 1일 시각표 개정으로 용산착발 경부, 경전, 동해선 KTX가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용산역에서 착발하던 경부, 경전, 동해선 KTX 편성은 서울역 착발로 환원되었다.
  • 인천국제공항발 KTX(인천공항T2 ~ 서울): 2018년 3월 23일 운행 중지 이후 2018년 7월 30일부로 폐지[53]

7.1.4. 폐지예정



7.2. 역별 정차 구분


2021년 1월 기준.
  • 아래에서 '경부선 계열'은 경부선(대전/동대구/부산)과 동부경전선(마산/진주)과 동해선(포항)을, '호남선 계열'은 호남선(광주송정/목포)과 전라선(여수EXPO)을, '강릉선 계열'은 중앙선(안동)과 강릉선(강릉)[54]과 영동선(동해)을 의미한다.
  • 경부고속선 및 호남고속선의 경우, 기존선상의 역임에도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역은 고속선 역으로 분류하였다.
  • KTX 편성이 폐지된 역과 추후 개통될 역은 제외하고, 1달 이내 개통예정인 역은 취소선을 긋는다.
  • 정차여부 옆에 ★ 표시는 시종착역을 의미한다.
  • 경부고속선
정차역
정차여부
경부선 계열
호남선 계열
강릉선 계열
행신역
선택정차★(수원 경유열차 미운행)
무정차
[55]
서울역
필수정차
선택정차
선택정차 [56]
용산역
무정차[57]
필수정차
무정차[58]
용산역에서 강릉선으로 분기 ⮕
영등포역
필수정차(수원 경유 경부선만 운행)
무정차
N/A
시흥연결선에서 경부고속선으로 분기 ⮕
광명역
선택정차(수원 경유 경부선은 미운행)
N/A
천안아산역
⬅ 오송역에서 호남고속선으로 분기
오송역
선택정차(수원 경유 경부선은 미운행)
N/A
⬅ 대전조차장에서 호남선으로 분기
대전역
필수정차[경부고속-단축]
N/A
김천구미역
선택정차
동대구역
필수정차[경부고속-단축]
⬅ 동대구역에서 경부선으로 분기
건천연결선에서 동해선으로 분기 ⮕
신경주역
선택정차
(구포 경유열차 및 경전/동해선 미운행)
N/A
울산(통도사)역
부산역
필수정차
  • 경부선
정차역
정차여부
경부선(수원)
경부선(구포)
동부경전선
⬅ 시흥연결선 분기 (서울 방면)
수원역
필수정차
N/A
[59]
[60]
동대구역에서 경부고속선으로 분기 ⮕
경산역
N/A
선택정차
밀양역
필수정차
선택정차
⬅ 미전신호소에서 경전선으로 분기
구포역
N/A
필수정차
N/A
⬇ 부산역
  • 경전선
정차역
정차여부
⬅ 미전신호소 분기 (서울 방면)
진영역
선택정차
창원중앙역
선택정차
(단, 창원중앙역과 창원역 중 1개역 필수정차)
창원역
마산역
필수정차
진주역
필수정차
  • 동해선
정차역
정차여부
건천연결선 (서울 방면) ⮕
포항역
필수정차
  • 호남고속선
정차역
정차여부
호남선(공주)
호남선(서대전)
전라선(공주)
전라선(서대전)
⬅ 오송역 분기 (용산 방면)
공주역
선택정차
N/A
선택정차
N/A
익산역
필수정차
필수정차[61]
필수정차
익산역에서 전라선으로 분기 ⮕
⬅ 호남선으로 분기
정읍역
선택정차
필수정차
N/A
광주송정역
필수정차[62]
나주역
선택정차
목포역
필수정차
  • 호남선
정차역
정차여부
호남선(서대전)
전라선(서대전)
⬅ 대전조차장 분기 (용산 방면)
서대전역
필수정차[63]
필수정차
계룡역
필수정차
논산역
⬇ 익산역
전라선으로 분기 ⮕
[64]
김제역
필수정차
N/A
⬇ 정읍역
장성역
필수정차
N/A
[65]
⬇ 광주송정역 (목포 방면)
  • 전라선
정차역
정차여부
전라선(공주)
전라선(서대전)
익산역 분기 (용산 방면) ⮕
전주역
필수정차
필수정차[66]
남원역
필수정차
곡성역
선택정차
구례구역
순천역
필수정차
여천역
선택정차[67]
여수EXPO역
필수정차
  • 중앙선
정차역
정차여부
중앙선
강릉/영동선
용산역 분기 (서울 방면) ⮕[68]
청량리역
필수정차[69]
상봉역
무정차
선택정차
양평역
선택정차
서원주역
선택정차[70]
서원주역 분기 (강릉 방면) ⮕
원주역
필수정차
N/A
제천역
단양역
선택정차
풍기역
영주역
필수정차
안동역
  • 강릉선
정차역
정차여부
강릉선
영동선
서원주역 분기 (청량리 방면) ⮕
만종역
선택정차[71]
횡성역
선택정차
둔내역
평창역
진부(오대산)역
⬅ 남강릉신호장에서 영동선으로 분기
강릉역
필수정차
N/A
  • 영동선
정차역
정차여부
⬅ 남강릉 분기 (청량리 방면)
정동진역
필수정차
묵호역
동해역

7.3. 특별 배차


국군수송사령부가 KTX 일부 편성의 일반실 객차를 통째로 빼내서 군전세객차로 운영하고 있다. 아무나 그냥 타는 건 아니고, 대령 이하 전 장병 및 2급 이하 대한민국 군무원만 국방수송정보시스템(dtis)에서 승차권을 신청한 후 좌석이 배정되면 승차확인증을 뽑아서 TMO로 가야 한다. 인트라넷, 인터넷 모두 가능하므로 행정병 등이 아니라도 이용 가능하며 경부선, 호남선, 강릉선 구간에서 운영 중이다.
정부세종청사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을 위해 KTX 2칸을 전세내서 서울-오송 구간 운행 중. 운행 시간은 서울 기준 7시와 7시 30분. 요금은 원래 운임의 3분의 1밖에 안 된다. 그걸 알고 그렇게 오송행 티켓을 끊어서 맘대로 악용했다간 공권력의 철퇴와 함께 짤리는 것도 슬픈데 연금마저 대폭 깎여버리는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상황을 겪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 열차들은 운행 시간이 새벽이다. 제일 늦은 열차가 광명 기준 7시 20분. 이건 공무원들에게 주는 코레일톡+ 전용 아이디가 있어야 저값으로 발매가 되고 나머지 열차는 본인 아이디를 써서 표를 끊어야 한다. 공무원 전용 좌석을 구매할 수 있는 멤버십 번호로는 해당 열차만 결제가 가능하다. 특히 7시 20분차는 경쟁률이 쎄다. 특히 비나 눈이 오는 날에는 7시 열차도 경쟁률이 어마무시하다. 이유는 2016년 연초에 세종청사 셔틀버스가 논산천안고속도로 정안 IC[72] 부근 눈길에 미끄러져 사고가 나서 공무원 몇 명이 크게 다치거나 사망했기 때문. 9시 뉴스에도 나온 대형사고였다.
대통령 전용의 KTX 특동도 있다. 항목 참조.

7.4. 패스(pass)


KTX를 이용할 수 있는 패스로는 문화누리레일패스가 있다. 문화누리레일패스는 기초생활수급자와 법정 차상위계층만 이용 가능하고, 그 외의 발권 자체가 막혀 있으니 사실상 보통 사람들은 이용 불가. 가격은 59,800원(2일)/74,800원(3일)으로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만 발급가능한 문화누리카드로만 결제가능하다. 2010년 겨울 내일로 시즌에는 KTX도 이용가능한 KTX 내일로도 내놓았지만 영 실적이 좋지 않았는 데 가장 큰 이유는 가격으로 당시 일반 내일로가 54,700원이었는데 KTX내일로는 178,200원이었다. 3배 이상 비쌌으니 잘 팔릴 리가 없었던 것. 결국 2011년 여름 내일로부터는 KTX 내일로를 없애버렸다. 비싼 값 때문에 실패했으니 앞으로도 일반인을 위한 KTX 패스가 나올 일은 없을 듯했으나 2017년 프리미엄 내일로를 내놓으면서 다시 KTX 탑승가능 패스가 나왔다. 하지만 2010년에 나왔던 KTX 내일로와는 달리 평일[73] 한정으로 역 매표창구에서 좌석 지정을 받아야 하며 그것도 2회만 지정 받을 수 있다. 프리미엄 내일로의 가격은 11만 원(5일)/12만 원(7일). 하지만 이것마저 영 판매량이 좋지 않았는지 2018년 여름 내일로부터는 폐지되었다. 대신 KTX표를 구매할 경우 60% 할인을 받을 수 있게 했다. 할인은 1일 1회 가능하며 최대 3회까지 받을 수 있다.
2020년부터 판매하는 내일로 2.0의 경우 패스 사용 기간중 최대 2회까지 무료로 좌석지정이 가능하다. 단 1일 2회 지정은 불가능하다.

7.5. 통일 이후 예상[74]


[image]
남한 주도로 통일된다면 경부고속철도, 수색-광명 고속철도와 직결이 예정되는 경의고속철도의 건설이 가시화 될 것이다. KTX의 경로는 광명 - 서울 - 수색[75] - (행신)[76] - 개성 - 사리원 - 평양 - 신안주 - 정주청년 - 신의주청년[77]이 가능성이 높으며, SRT의 경로,경우는 수서 - 삼성 - 서울[78] - 대곡[79] - 개성 - 사리원 - 평양 - 신안주 - 정주청년 - 신의주청년[80]의 경로로 예상할 수 있다. 다만 당장 신의주까지 건설하기는 곤란할 것이고, 1차로 개성, 2차로 평양까지 연결한 뒤, 최종적으로 신의주까지 연결될 것이라 봐야 한다. 단순히 철도만 까는 것이 아니라, 전력 공급을 위한 공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동북아에서 대한만국의 또다른 관문이 될 수 있는 나진 방면으로도 고속철도 건설이 예상되며, 경로는 서울(or 수서) - 청량리 - 원산 - 함흥 - 청진 - 나진으로 될 가능성이 크다.
이 부분의 내용은 본문인 남북통일/인프라 문제/교통으로.

7.6. 서비스



7.6.1. 잡지


전 좌석에는 KTX 매거진이 꽂혀있다. 산천에는 레일러도 있었다.

7.6.2. 무선인터넷(Wi-Fi)


옛날에는 천원짜리 무선인터넷 카드를 사서 즉석복권 같이 생긴 부분을 긁어내면 1일용 아이디가 나와서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의 유료서비스였고, 특실에서는 승무원에게 요청하면 무료로 제공했었다. 언제 긁든지 로그인 후 당일 이용 가능이었기 때문에 1일 왕복이라면 1회 구입만으로도 왕복이용이 가능했었고, 굳이 당장 안 쓰더라도 특실에 승차할 때 받아둔 후 다음에 일반실에 승차할 때 필요하면 이용할 수도 있는 구조였으나 2011년 8월 11일부터 와이파이 서비스가 전면 무료로 개방되었다.#[81]
[image]
예전 속도는 이랬었는데 2012년 하반기에 LTE망을 사용하는 AP로 교체되어 기존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빨라지고, AP도 더 촘촘히 설치되었다. 다만 기기 하나당 30MB까지만 쓸 수 있으나 재접속하면 계속 쓸 수 있었다. 지금은 용량 확충작업을 해서 용량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82] 2018년 4월 기준 SSID는 KTX-WiFi이다.
예전까진 2개 객차 간격으로 AP가 설치되어 있어 Wi-Fi를 이용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이용하는데 제약을 두지 않았지만 2012년 즈음부터 20MB로 사용 용량을 제한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20MB만 사용 가능하다고 솔직하게 했지만 반발이 많았는지 최근에는 1시간 이내의 웹서핑, 10분 이내의 동영상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사용이 가능하다고 돌려 말하고 있다. 당연히 사용 가능 용량은 20MB 그대로였다. 20MB로 1시간이나 웹서핑을 하는 건 글만 있는 웹서핑 했을 때나 가능한 이야기고, 평균적으로 20분 내외로 전부 소진해버린다. 2014년 기준으로 용량이 30MB로 올랐지만 속도가 지독히 느리고 연결이 불안정했었고 2016년 1월 경부터는 별도의 앱 필요 없이 Wi-Fi에 접속한 후 보여지는 캡티브 포탈에서 5초 정도 광고를 시청한 후 와이파이 접속이 되도록 바뀌었고 용량 제한도 없어졌지만, 20분마다 새로 광고를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역시 2개 객차에 AP 1대로는 빠른 속도를 장담할 수 없었지만... 2017년 3월 경 한국철도공사에서 KTX 와이파이에 대해 대대적인 수술을 거행했다. 기존과 달리 무려 1개 객차에 2대의 AP가 설치 되었으며, 인터넷 용량 역시 월 50TB에서 월 130TB로 늘어나 기존에 비해 속도가 무척이나 빨라졌다. 특히 KTX-1 2호차는 좌석 수가 적고, 입석승객이 없는 만큼 거의 빛의 속도라고 한다.

7.6.3. 일반실


산천에는 4호칸에 스낵바가 있었으나 수요가 별로 없고 좌석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부 철거해버렸다. 단 대통령 전용열차인 KTX-산천 109호기는 철거하지 않았다.

7.6.4. 특실


[image][image]
[image][image]
  • 제공물품
    • 300ml 생수가 무제한 무료로 제공된다.[83] 승무원에게 지급되는 KTX-산천 특실 서비스 생수와 다르게 KTX-1 특실 서비스 생수는 자판기에서 버튼을 길게 눌러서 뽑아 마시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예전에는 아무나 뽑아먹을 수 있었으나 2018년부터 승차권을 인식시켜야만 뽑아먹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아무나 생수를 가져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 이어폰안대(요청시에는 승무원들이 지급해준다.)
    • 경쟁사 열차[84]가 다니기 시작한 이후로는 경쟁사를 의식했는지 물티슈, 쿠키[85]견과류 믹스[86]를 제공한다. SRT에서는 구강청결제도 주는데 KTX는 그런거 없다.
    • 신문도 비치되어 있는데, 명절 대수송 기간에는 없을 때가 많다.
    •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도 받을 수 있는 듯.
  • 2019년 명절 기준 특실 옆 통로에 자판기가 설치되어 그냥 버튼만 누르면 나오도록 되어있었다.
  • 2020년 6월 기준 코로나의 여파로 인하여 쿠키가 들은 상자를 통로에 비치 알아서 가져가는 것으로 바뀌었다.
  • 2020년 8월 1달간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위해 특실에서 쿠키와 견과류 대신 마스크와 물티슈같은 위생용품이 제공된다.
  • 2021년 2월 1일 기준으로 견과류 박스는 두면 알아서 가져가는 식이고, 생수는 KTX는 자판기, 산천은 견과류와 같다. 수면안대도 요청 시 제공된다.
  • 만약 열차 안에서 식사를 해야 한다면 KTX-1 특실을 추천한다. 단 진행방향 맨 앞 좌석은 간이테이블이기 때문에 테이블 크기가 작으므로 피해야 한다.
-
한편 KTX-이음에는 열화버전인 '우등실'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항목 참조.

8. KTX특송


[image]
고속버스시외버스의 시종착 터미널 간 택배 서비스와 동일한 개념으로, KTX 객실통로의 선반 적재공간을 이용해 서류나 소화물의 당일 배송이 가능한 KTX 특송서비스가 있다. 긴급하게 배송할 물품이나 육류 및 수산물 등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질이 쉬운 특수 물품을 배송하는 경우에 상당히 유용한 서비스.
문제는 KTX의 주요 정차역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다른 택배에 비해 비싼 가격이다. KTX가 정차하는 모든 역들이 아닌 전국 16개 역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경부선·호남선 공통은 서울역, 광명역, 천안아산역, 오송역에서만 특송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경부선 중 오송역보다 남쪽 구간은 대전역, 동대구역, 울산역, 부산역에서만, 경전선마산역만, 동해선포항역에서 이용이 가능하고, 호남선용산역, 광주송정역, 익산역, 목포역만, 전라선전주역, 여수엑스포역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기본운임은 6,000원에서 9,000원 수준이지만 각종 할증 요인이 따라 붙으면 10,000원 단위를 넘기는 배송료가 나올 수 있다. 그래도 KTX 왕복 운임에 비해서는 저렴한 편이고 사안에 따라 긴급한 배송 건이라면 괜찮을 듯 하다. 전국 16개 역에서만 이용이 가능한 부분처럼 모든 KTX 열차마다 특송취급을 하는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코레일네트웍스 KTX특송 홈페이지를 확인하자.
KTX 특송으로 운송되는 물품은 발송자가 직접 KTX 특송서비스가 있는 KTX역의 특송사무실에 방문하여 접수하거나 추가요금을 지불하고 주소지에서 픽업 서비스를 통하는 방식(픽업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특송 고객센터로를 통한 접수가 가능하다.)이 있다. 마찬가지로 수령자 역시 열차 도착시간에 맞춰 도착역에 나가서 기다리거나 역에 나갈 여유가 되지 않으면 추가요금을 내고 퀵서비스를 통해 최종 목적지까지 물품을 배송받을 수 있다.(마찬가지로 특송 고객센터를 통한 접수가 가능하다.) 역별 운영시간과 시간표 등 자세한 사항들은 코레일네트웍스 KTX특송 홈페이지로. KTX 특송서비스는 과거 소화물차를 통해 배송하던 철도 소화물택배와 달리 여객열차에 물품을 적재하는 방식이므로 오히려 고속버스택배와 유사하다.

9. 차내방송


차내에 설치된 모니터 4대에서 안전 관련 안내방송, 정차역 안내방송, 그리고 연합뉴스에서 제공하는 영상이 나온다. 사용 운영체제는 Windows 7. 'KTX PLAYER 4'라는 전용 프로그램[87]에 열번을 넣으면 자동 작동.[88] 연합뉴스TV 뉴스뿐만 아니라 CJ E&M, SPOTV, STN SPORTS 등의 방송국에서 제작한 프로그램들도 나온다. 문제점은 같은 걸 다시 틀어주고, 스포츠 경기를 보여줄 때도 1달 전 것을 틀어준다.
정차역 자동안내방송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는데, GPS가 먹통이 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재생한다고 한다.
2010년 경부선 2단계 개통 전까지의 차내방송 시그널은
  • 시발역: 숙명가야금연주단
  • 중간정차역: 서울 새울 가야금 삼중주단 <캐논변주곡>
  • 종착역: 서울 새울 가야금 삼중주단 <캐논변주곡> / 스티브 바라캇 였다.[89]
2006년쯤부터 2010년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전까지는 출발시에 굿모닝 KTX라는 영상이 나왔다. 현재는 KTX 미니 캐릭터들이 나온다.(내용은 똑같다.)
2010년 11월 1일 부로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과 함께 차내방송이 다음과 같이 개정되었다.

>몽금포 타령(가야금 Ver.)
  • 시발역 대기: 김소연 kiss the rain(2020.7.28 까지), 감성밴드나봄-몽금포 타령(가야금 Ver.)(2020.7.29 부터)

Jesus Bleibet Meine Freude

  • 시발역: Depapepe [90]


>California Vibes


>Same Road, Same Reason
  • 종착역 진입: Acoustic Alchemy

>Happiness
  • 종착역: [91]이외에 KTX-산천 140000번대 차량에서만 아리랑이 나왔었다. 현재는 다른 차량처럼 Happiness로 송출중.
통상적으로 <Same road Same reason>와 종착역 안내방송→국민의 철도 코레일→열차팀장/승무원 안내방송→<Happiness> 순으로 송출된다.

2010년부터 KTX 정차역 안내방송은 대원방송 소속 고구인 성우가 맡고 있다. 그리고 영어 안내방송은 리사 켈리가 맡고 있다.

10. 문제점




11. 이용객


2018년 고속철도 (KTX / SRT) 정차역별 고속철도 승하차 인원 현황

승차
하차
승차+하차
역 목록
KTX
승차합계
SRT
승차합계
KTX
하차합계
SRT
하차합계
KTX
승하차 총합
SRT
승하차 종합
전체
승하차 종합
인천국제공항역
14,696
-
13,990
-
28,686
-
28,686
검암역
21,738
-
20,116
-
41,854
-
41,854
행신역
770,568
-
721,378
-
1,491,946
-
1,491,946
서울역
13,821,606
-
14,181,231
-
28,002,837
-
28,002,837
용산역
4,923,025
-
5,137,021
-
10,060,046
-
10,060,046
영등포역
147,258
-
149,336
-
296,594
-
296,594
광명역
4,696,528
-
4,738,698
-
9,435,226
-
9,435,226
수원역
583,343
-
624,341
-
1,207,684
-
1,207,684
수서역
-
7,120,882
-
7,158,895
-
14,279,777
14,279,777
동탄역
-
1,343,917
-
1,314,185
-
2,658,102
2,658,102
평택지제역
-
564,384
-
562,509
-
1,126,893
1,126,893
천안아산역(아산역)
3,326,931
895,431
3,277,052
926,090
6,603,983
1,821,521
8,425,504
오송역
2,839,965
832,285
2,743,629
826,917
5,583,594
1,659,202
7,242,796
대전역
4,888,131
1,548,219
4,903,041
1,547,437
9,791,172
3,095,656
12,886,828
김천(구미)역
877,692
283,589
873,705
279,070
1,751,397
562,659
2,314,056
동대구역
6,054,561
2,546,290
6,051,142
2,525,760
12,105,703
5,072,050
17,227,753
경산역
48,959
-
42,331
-
91,290
-
91,290
신경주역
607,137
334,842
600,709
341,651
1,207,846
676,493
1,884,339
포항역
1,115,682
-
1,085,362
-
2,201,044
-
2,201,044
밀양역
270,477
-
273,212
-
543,689
-
543,689
구포역
479,414
-
489,696
-
969,110
-
969,110
울산역
2,136,326
997,451
2,129,478
1,043,879
4,265,804
2,041,330
6,307,134
부산역
5,827,047
2,955,444
5,742,556
2,989,036
11,569,603
5,944,480
17,514,083
진영역
110,124
-
101,054
-
211,178
-
211,178
창원중앙역
763,277
-
775,167
-
1,538,444
-
1,538,444
창원역
184,220
-
180,819
-
348,389
-
348,389
마산역
408,956
-
390,867
-
799,823
-
799,823
진주역
157,353
-
164,421
-
321,774
-
321,774
서대전역
502,880
-
436,986
-
939,866
-
939,866
공주역
85,429
26,499
83,105
27,088
168,534
53,587
222,121
계룡역
126,715
-
109,233
-
235,948
-
235,948
논산역
96,325
-
92,767
-
189,092
-
189,092
익산역
1,372,368
620,809
1,333,029
610,122
2,705,397
1,230,931
3,936,328
정읍역
292,509
126,589
287,237
120,553
579,746
247,142
826,888
광주송정역
2,106,885
1,351,037
2,123,859
1,276,949
4,230,744
2,627,986
6,858,730
나주역
317,612
142,608
319,858
141,507
637,470
284,115
921,585
목포역
706,879
270,757
711,150
269,385
1,418,029
540,142
1,958,171
전주역
883,019
-
858,979
-
1,741,998
-
1,741,998
남원역
175,482
-
173,569
-
349,051
-
349,051
곡성역
37,485
-
42,715
-
80,200
-
80,200
구례구역
35,555
-
35,964
-
71,519
-
71,519
순천역
692,023
-
691,601
-
1,383,624
-
1,383,624
여천역
220,116
-
212,995
-
433,111
-
433,111
여수엑스포역
506,540
-
527,737
-
1,034,277
-
1,034,277
청량리역
955,085
-
821,196
-
1,776,281
-
1,776,281
상봉역
243,121
-
246,688
-
489,809
-
489,809
양평역
123,083
-
102,368
-
225,451
-
225,451
만종역
304,005
-
317,897
-
621,902
-
621,902
횡성역
86,535
-
83,141
-
169,676
-
169,676
둔내역
52,921
-
54,981
-
107,902
-
107,902
평창역
116,493
-
125,638
-
242,131
-
242,131
진부(오대산)역
232,430
-
234,550
-
466,980
-
466,980
강릉역
1,634,532
-
1,561,776
-
3,196,308
-
3,196,308
출처 : 2018년 철도통계연보
일부 역들에서 예상 외로 승객수가 많게 나온다면 통계 자료에 오류가 있는게 아니라 다른 이유가 있어서 그렇게 나온 것일 확률이 높다. 환승역 같은 경우엔 환승 수요 때문에 이용률이 뻥튀기 되는 감이 있다.
2018년과 2019년 승하차 총 승객 대조

12. 기타


[image]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경부고속도로에 있던 광고판. 경부고속도로 신탄진 IC에서 2km정도 북쪽(대전과 청주의 경계선),[92] 경부고속선과 만나는 지점에 있었다. 꽉 막힌 명절 연휴[93]에 저 광고판과 그 옆을 바로 쏜살같이 지나가는 KTX를 보고 있으면... 그야말로 도발이었다.
개통을 앞둔 2004년 3월 네이버의 인조이재팬 게시판에 플래시 영상이 올라왔는데, KTX가 딱히 신칸센의 위치를 넘볼만큼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음해성 네타가 적지 않았다. 물론 국내 철도 동호인들의 반응은 차분했으나 이러한 음해는 현재진행형.
개통 초기에 YTN의 두 기자가 서울에서 대전까지 각각 KTX와 고속버스를 비교체험 하기도 했었다.체험! 고속철 VS 고속버스 ① 체험! 고속철 VS 고속버스 ② 체험! 고속철 VS 고속버스 ③(PC에서만 재생 가능)
프라레일 2019년에 60주년 기념으로 프라레일이 KTX를 내놓았다.
최근에 140000호대 KTX-산천들의 구동음이 달라졌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여행중 KTX 안에서 혹은 KTX 정차역에서 지갑 등을 분실하였고, 해당 역에서 습득하여 보관중일 경우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KTX 정차역까지 KTX를 통해 무료로 분실물을 배송해주기도 한다. 의외로 택배 배송은 불가능하다고 하며, 환승을 해야만 도달할 수 있는 역이여도 배송이 가능하다.(예시: 강릉역에서 대전역일 경우 서울역을 거쳐서 배송)

기존선 경유 노선(수원/구포/서대전 경유)보다 바로 다음에 출발한 전용선 노선이 보통 더 빨리 도착한다. 돈 아끼는 것보다 시간 아끼는 것이 더 중요하면 좀 기다려서라도 전용선 노선 타자. 그러나 전라선 KTX는 거의 대부분 다음에 출발한 기차는 서대전 경유와 무관하게 어쨌든 더 늦게 도착한다. 아무튼 소요시간을 잘 보고 예매해야 한다.
2020년 9월 1일 BTS 방탄소년단 멤버 정국의 생일 축하와 더불어 빌보드 차트 1위를 축하하기 위해 20량짜리 KTX 열차 전체가 축하 메시지로 도배되었다. KTX 열차에 광고가 랩핑된 건 2013년 이후 처음이다. 지하철역 광고판 등 유명인의 생일을 축하하는 광고가 게재되는 사례는 많으며, 2013년에도 SKT의 LTE-A를 부분랩핑하여 광고했지만, KTX 열차 전체에 랩핑 광고를 해달라는 제안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한다. 이를 두고 코레일 내부에서도 공기업에서 상업성이 담긴 광고를 싣는 것에 대해 찬성과 반대 측으로 나뉘었지만 갑론을박 끝에 해당 광고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코로나 19로 경영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한류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우세했다고 전했다.KTX랩핑광고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객실 내에 CCTV가 설치될 예정이다. #

13. 관련 문서



14. 둘러보기




[1] 신의주청년역 이후 압록강철교를 거쳐 중국까지 갈 것이다.[2] 개통 당시 철도청.[3] 준고속열차인 EMU-260이 KTX-이음이라는 명칭을 받아 KTX 카테고리 내로 편입되면서 준고속철도 브랜드도 겸하게 되었다. 물론 이는 국제철도연맹이나 대한민국 철도사업법 상 기준이며, 전세계 적으로는 개량된 기존선에서 200km/h 이상 주행가능할 경우 고속철도라 규정하므로 그냥 통칭해 고속철도 브랜드라 해도 문제는 없다.[4] 보통 전산상에서는 '케이티엑스'로 또박또박 읽어준다.[5] 몇 년 후 새마을호 계통열차는 영문명에 Express가 돌아오긴 했다.[6] 대한뉴스의 지도를 보면 지금의 경부고속선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실제 경부고속선은 대한뉴스의 지도와는 달리 천안아산역대전역 사이 구간이 청주(오송역) 쪽으로, 신경주역부산역 사이 구간이 울산(울산역) 쪽으로 약간 꺾여 있다.[7] CWR(연속용접레일)이란 것으로, 기존 철로와 달리 이음매가 없어 진동 등이 적다.[8] 이는 위의 디스커버리 다큐에서도 나온다.[9] 지금은 폐지되었지만 과거에는 대전역과 동대구역을 모두 무정차 통과하고 곧장 부산역으로 가는 편성과 동대구역만 중간정차 후 부산역으로 가는 편성이 있기는 했다.[10] 정확히 따지자면 TGV 레조는 1992~96년에 생산되었기 때문에 1994년 당시에는 구형 기종은 아니라지만, 얼마 있지 않아 신형 기종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구형 기종인 셈이었다. 그렇다고 KTX-1이 그렇게 구형차량은 아니었던 게, 당시 기존 레조는 물론이고 이후 만들어진 TGV 듀플렉스 차량에도 없었던 외부 행선 LED 안내판을 TGV 계열 차량 중 처음 도입했고, 일부 전장품을 듀플렉스 차량과 공용, 회생제동 추가 등 오리지널 레조보다 상당히 개량되어서 도입된 차량이다. 즉, 레조에서 듀플렉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단계의 차량이라 볼 수 있다.[11] 계획상, 동력차는 대우와 현대가 5대5, 보조동력차(부스터카)는 한진이 전부, 객차는 현대, 대우, 한진이 4대4대2로 제작할 예정이었지만 이후 전부 현대가 제작하게 되었다. 이유는 빅딜.[12] 이렇게 잔고장이 많았던 주요원인은 시운전 기간이 KTX-1 대비 부족했기 때문이다.[13] Express train이 아닌 Train express가 된 까닭은 그저 어감이 좋아서. 사실 높으신 분들이 그냥 KTE로 하려 했으나, 당시 실무진들이 죽을 힘으로 설득해서 KTX가 되었다 카더라. 원래 KTX-1이 TGV를 베이스로 제작된 것이라 명칭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그냥 TGV라고 했었다. 여담으로 KTE 이름은 장난감 기차 제조사인 '아이다'에서 KTX라는 명칭 대신 KTE, KTE 산천호로 사용하고 있다.[14] 서울-울산 항공점유율 65% → 26%, 서울-부산 항공점유율 45~48% → 21~26%.[15] 에어부산이 김포-대구 노선을 2017년 10월 20일에 재개통했으나 2019년 9월 1일에 다시 단항. 이후 2020년 11월 기준으로 진에어에서 다시 운항 시작함.[16] KTX 특실로 승차권을 끊으면 최소 13,200원이다.[17] 최저운임구간을 특실로 2번 해본 사람의 후기로는 뻘짓이라는 느낌 맞고, 그돈이 좀 많이 아까웠다 그냥 다른데 돈쓰자는 반응을 보였다.[18] 지연이 심할 땐 시속 315km/h까지 올리기도 한다. 참고로 KTX의 설계 최고속도는 330km/h이다.[19] KTX-1은 터널 진입시, 고속주행이라 하더라도 월일시로 바뀌며, KTX-산천은 터널 내에서도 주행속도가 나온다.[20] 코레일에서는 6자리 규격을 만들어 모든 차량에 붙였다. 승하차문 주변에 적혀있다.[21] 하지만 원주강릉선 자체가 차후 별도의 250km/h급 차량인 KTX-이음의 운행이 예정된 구간이고, 현재 KTX-I, KTX-산천이 예비차 없이 다소 빡빡하게 운행되는 상황인데다 120000, 130000호대가 주식회사 SR이 운행하는 SRT#s-5로 차출된지라 중앙선과 경강선에 EMU-250의 운행이 본격화 되면, 이 차량들은 경부/호남선 투입 차량으로 차출될 가능성도 있다. 어차피 중앙선과 경강선에서는 최고 250km/h 이상 속도를 낼 수 없다.[22] 한국철도가 소유 중이지만, (주)SR에 임대하여 SRT로만 운행된다. 130000호대는 아예 SR이 구입해간 차량.[23] KTX가 입선하는 다른 기존선이나 준고속용 선로는 일반적인 복선 방식.[24] 물론 선두 열차 사고 시 앞 열차를 추월할 수 있도록 운행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기는 중간중간 설치되어있다. 물론 이런 상황 시 사실상 단선에 양방향으로 오고가는 열차의 속도 관제는 TVM430 시스템이 모두 관리한다.[25] 주로 140000호대 차량들이 주박하거나 정비받는다[26] 150000호대 차량들이 배정되어 있다[27] 이 열차 역시 얼마 안 가 사라졌다.[28] 서울, 광명, 천안아산, 오송, 대전, 김천(구미), 동대구, 신경주, 울산(통도사), 부산[29] 보통 구포 경유 KTX로 동대구~ 부산은 1시간 10분이 소요되고 수원 경유 KTX로 서울~대전은 1시간 40~45분이 소요된다.[30] 하지만 전주시의 관광수요를 눈치챈 한국철도가 금,토,일 익산행 열차의 종착역을 전주역으로 연장했다.[31] 승차율이 매우 저조할수록 할인율이 높아진다.[요일] A B C D E F G H I J K L M 특정 요일 한정운행[32] 118열차는 월요일 미운행[33] 237, 242열차는 특정 요일 한정운행[34] 484열차는 특정 요일 한정운행[35] 589, 590열차는 특정 요일 한정운행[36] 이전에는 112편성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109편성이 맞다.2017년 12월 19일에 112호기로 위장했기에 이런 오해가 일어났던 것.[37] 객차 2량이 대통령 전용 칸이다. [38] 호남고속선 개통 전에는 광주선 KTX(용산-광주)에 부여된 번호였다.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광주선 KTX가 폐지되며 해당 번호들이 결번으로 남고 650번대와 660번대에 서대전 경유 KTX가 배당받았다가 SRT 개통 후 호남고속선 SRT가 이 번호대를 배당받았다.[39] 숫자 크기순[40] 운행계통은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2021년 1월 개통되는 청량리역~안동역을 제외한 중앙선 전구간도 복선전철화하면 동해선 신경주-부전을 경유해 부전역까지 갈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설된 안동역에서 동대구역 방면 표지판이 발견되어 동대구역행 계통도 생길 가능성이 있다.[41] 이후 어천삼각선 - 경부고속선[42] 상록수역 ~ 성균관대역 연결선을 설치하여 수인선 - 안산선을 거쳐 경부고속선에 합류하자는 주장도 있었지만 출처1 출처2 기존선 구간이 길어지는 데다 건설비용이 어천삼각선보다 싸다는 보장은 없다. 그리고 이 일대가 개발이 많이 진행돼서 주민들이 지하화 요구를 하면 공사비용은 안드로메다로 가게 된다. 결국 이 제안은 타당성이 떨어져 무산되었다.[43] 유정복 전 인천광역시장 등[44] 이후 지제연결선-평택지제역-수서평택고속선-경부고속선 접속부(경부고속선 기점 59.2km 지점)-경부고속선[45] 부전-마산 복선전철[46] 삼동-부발/원주 구간은 경강선 이용.[47] 원래부터 김천(구미)역 개통 이전까지만 한시적으로 운행하기로 합의하고 개통했었다. 대전역까지는 고속선을 이용했고 옥천역부터 동대구역까지는 기존선을 이용했다. 당시 열차번호는 600번대였다.[48] 이 열차가 운행할 때까지만 하더라도 대전역과 동대구역을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유일한 열차였다. (폐지 이후에는 대전역과 동대구역을 통과하는 열차는 없다.) 이후 호남고속선과 포항역 KTX가 개통되며 열차 운행 변경 시 수송수요 및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보다 많은 고객에게 열차 이용 기회를 확대하고자 운행 중지됐다고 하는데, 이는 코레일에 직접 문의해 확인한 사항이다. 2017년 2월에 국토교통부에서 제3차 철도산업발전 기본계획(’16~‘20)을 발표하면서 같이 무정차 KTX에 대한 부활이 같이 담겨져 있었다. # 그 후 한 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8년 10월에 나온 두 개의 언론 기사를 보면, 국토부에서 안전 문제와 선로 용량 등을 이유를 들어 입장을 바꾼 것으로 확인되어 사실상 부활은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49]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서대전~익산 구간 호남선 기존선 경유에서 오송~익산 구간 호남고속선 경유로 운행계통이 변경되었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전주역이나 익산역에서 시종착한다.[50] 호남고속선 개통에 맞추어 광주역 착발과 광주송정역 착발로 분할되어 있던 KTX 편성을 광주송정역 착발로 통합했다.[51]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대수송기간에만 운행했다.[52] 2018년 3월 23일 기준 운행계통명[53]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 기간(7/12 - 8/18) 한정으로 인천공항T2 - 인천공항T1 - 광주송정으로 임시열차를 하루 하행 4회, 상행 3회 운영했다.[54] 단, 중앙선 개통 전까지는 현행 유지한다.[55] 인천국제공항발 KTX 폐지. 한편 이완 별개로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 KTX를 정차시키는 계획이 존재한다.[56] 단, 평일에 운행하는 강릉선 계열 KTX 편성은 모두 서울역에서 시종착한다. 중앙선 KTX 편성은 서울역으로 들어오지 않는다.[57] 당역에서 착발하는 경부선 계열 편성이 서울역 착발로 통합되었다.[58] 강릉선 계열 KTX는 당역에서 경원선 초입부를 타고 가야 하는 선로 구조상 당역 정차가 불가하다. 1/2번 타는곳이 위치한 선로 쪽으로 가는데 해당 타는곳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열차와 ITX-청춘 열차 전용이라 완전 고상홈으로 되어 있어 KTX 승객을 승하차시킬 수 없다. [경부고속-단축] A B 경부고속선 일부 편성이 이 역에서 종착한다.[59] 현재 수원 경유 KTX는 경부선(부산 방면)만 운행중[60] 김천역구미역 KTX 폐지[61] 서대전 경유 편성은 이 역에서 종착한다. 일부 편성은 목포역 또는 여수EXPO역까지 연장 운행한다.[62] 호남고속선 일부 편성이 이 역에서 종착한다.[63] 호남기존선 편성 중 일부가 이 역까지 단축운행한다.[64] 서대전 경유 목포행 편성은 기존선으로만 운행한다.[65] 광주역 KTX 폐지[66] 서대전경유 전라선 편성 중 일 1왕복이 이 역까지 단축운행한다.[67] 서대전 경유 열차는 상행 1편성만 정차한다.[68] 강릉/영동선 열차만 서울역 방면으로 들어간다.[69] 강릉/영동선은 주말에 투입되는 일부 편성이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중앙선은 모두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70] 서원주역에 정차하는 강릉/영동선 열차는 만종역을 무정차 통과한다.[71] 만종역에 정차하는 강릉/영동선 열차는 서원주역을 무정차 통과한다.[72] 거기서 얼마 안 가면 세종청사다.[73] 월~목요일[74] 신의주청년역 이후 압록강철교를 거쳐 중국까지 갈 것이다.[75] 수색-광명 고속철도 계획의 존재로 인해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지어진다. 이름만 다를 뿐 큰 차이는 없다.[76] 수색-광명선 완공 이후에는 고양기지선이 경부고속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분기하는 노선이 되므로 운영을 한다면 경의본선 경유 지선으로 운행할 듯 하다.[77] 이후 압록강철교를 거쳐 중국까지 갈 것이다.[78] 단 서울역은 이미 KTX가 존재하기에 통과할 가능성이 더 높다.[79] 여기까지 GTX A선과 공유한다. 다만 대곡역 역시 인근 행신역의 존재로 인해 통과할 수도 있다.[80] 이후 압록강철교를 거쳐 중국까지 갈 것이다.[81] 참고로 역에서 노트북을 5,000원에 빌릴수 있다. 내리는 역에서 반납하면 된다. 그러나 반납 시간이 밤 10시 이후이면 불가능하다.[82] 원래 객차 2개를 공유기 1대로 커버했었는데, 이제는 객차 1개에 공유기 2대로 거의 4~5배 가까이 사용용량이 늘어났고 1대당 총 데이터량까지 확충했다.[83] KTX-산천은 특실칸이 1량뿐이라 생수자판기가 없고 승무원이 돌아다니며 쿠키와 함께 나눠주는데, 경우에 따라 1회 이상 지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84] 서울~부산 정가 기준 SRT가 KTX보다 7600원이 저렴하다.[85] 계절마다 종류가 변경됨[86] 이전엔 허니버터 아몬드를 제공했었다. SRT와는 달리 꿀땅콩이 없다.[87] 당연히 일반인은 구할 수 없다.[88] 예전에는 Windows 2000, Windows XP를 사용했었으나 객실 모니터와 방송컴퓨터를 교체하면서 Windows 7으로 변경되었다. 무궁화호는 여전히 Windows XP 사용 중[89] 스티브 바라캇이 한국에 와서 KTX를 타보고 자기 곡이 나오는데 깊은 감명을 받은 모양이다.[90] '주 예수, 인간 소망의 기쁨'이라는 이름의 바흐 클래식 원곡이 있다.[91] 시간에 따라 버전이 달랐었다. 처음에는 독주로 했는데, 나중에 팝 밴드가 다 같이 연주하는 버전으로 했는데 2014년경 다시 독주로 변경됨. 배우 이하늬와 그녀의 가족이 만든 곡이다.[92] 행정구역 상으로는 충북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매봉리에 있다. 사실 경부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부산 방향으로는 처음, 서울 방향으로는 마지막으로 만나는 지점이기도 하다.[93] 마침 이 구간은 명절때마다 전통적인 헬게이트가 열리는 회덕JC가 멀지 않은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