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1. 개요
生命 / life
살아있는 모든 존재들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물이 살아서 숨쉬고 활동할 수 있게 하는 힘을 말한다. 참고로 생명력은 생명의 유지력이다. 생명에 대한 일반적인 과학적 정의는 생물 문서에 나와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는 외부나 전체의 엔트로피 증가를 가속화하여 자신의 엔트로피를 낮추거나, 유지하는 개체로 보기도 한다. 이러한 주장은 슈뢰딩거의 저서 '생명이란 무엇인가?'에서 제기된 것을 계기로 대중화되었으며 사회유기체설과도 관계가 있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은 죽으면 무기체로 돌아간다.
애시당초 생물이라는 것 자체가 분류의 하나이기에 생물학적인 관점에서도 아주 명확한 정의는 없다. 보통 아래의 특성을 전부 가지거나 대부분 가지고 있는 개체는 생명으로 본다.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을 가지고 증식을 하여[2]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도 하지만 물질대사와 세포체 구조의 부족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생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인류에게 있어서 생명의 소중함은 항상 강조되어 왔고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교육받게 된다.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인 경우가 많은데, 같은 종 및 자기 자신 이외에 생물들과는 꾸준히 경쟁해서 살아갔던 동물의 특성상, 국가간의 경쟁이 개개인의 생명보다 훨씬 중요하게 여겨졌고,[3] 현재 전세계 사람들도 대부분 인간 중심적 세계관을 가지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아서 반려동물에 대해선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는 것이 보편적 가치로 받아들여지나 대다수의 가축, 그 외 벌레나 미생물, 식물 등을 대할땐 인간에게 이롭고 해롭고를 불문하고 상기한 생명의 존엄에 관한 인식이 크게 차이를 보인다.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투자하고 노력한다. 진시황이 전국방방곡곡 기를 쓰고 불사약을 찾으러 다니고 온갖 시도를 한 것도 결국 영원한 생명에 대한 욕망때문이었지만 결국 죽음을 피할 순 없었다.
생명 현상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을 생물학이라 한다. 1900년대 이전에 생물학은 종을 분류하거나 관찰하는 박물학에 가까웠다면, 그 이후의 생물학에는 다른 과학의 발전에 힘업어 분자생물학이라는 분야가 추가되어 생명 현상에 관해 보다 근본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분석하는 기법은 생물의 분류나 진화의 경로 추정에 있어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2. 창작물
게임에서는 생명 게이지가 다 떨어지면 게임 오버가 된다.
문학 작품에서도 생명은 주인공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의 운명까지도 좌우한다. 더 나아가서 전체적인 작품의 이야기를 바꾸어버리며 심지어 작품의 장르까지도 바꾸어버린다.
생명의 소중함이나 의미는 수많은 창작물 작품들의 소재다. 보통 생명을 함부로 다루면 안 되고 생명은 소중하다는 등 주인공의 선함을 강조하기 위해서 쓰이지만, 심도있게 파고 드는 작품도 있다. 불새, 강철의 연금술사 등은 생명을 소재로 한 만화다.
생명을 구해준 상대에게 반한다거나 혹은 충성하는 것은 클리셰로 자주 쓰인다.
주인공은 절대선임을 강조하기 위해 불살주의로 그려지기도하며, 반면 생명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인물은 대부분 악역이다. 다만 피카레스크나 안티히어로물처럼 주인공 또한 그런 경우도 있다.
목숨[4] 이라는 개념도 있지만, 생명은 살아있는 것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기동전사 Z 건담의 카미유 비단의 주장에 의하면, 생명은 우주를 지탱하는 힘이라고 한다.
3. 여담
사람들이 감수할 용의가 있는 위험의 최대 수준과, 그 위험을 감수할 때 얼마나 보상받고자 하는지를 조사하여 사람의 생명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면 대략 '''1000만 달러''', 한화로는 '''110억 8,500만 원'''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