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깨비

 



1. 개요
2. 수수께끼의 답
2.1. 두억시니 = 첫번째 종족
2.2. 인간
2.3. 신을 잃은 종족은 없다
2.4. 정답이 없다


1. 개요


눈물을 마시는 새 제 14장 서문에 등장하는 고대의 도깨비의 이름. 이름 그대로 수수께끼를 즐긴듯 하다

극연왕 6년, 칼리도에 한 어르신이 출현했다. 자신의 이름을 수수깨비라 칭한 이 어르신은 칼리도 사람들을 상대로 한 수수께끼를 내었다. 그리고 수수께끼를 맞추는 자에게는 막대한 보상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수수께끼의 내용은 단순했다. '신을 잃은 종족은 누구인가.' 대답은 분명했다. 사람들은 모두 '두억시니'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수수깨비는 그 대답이 틀렸다고 말했다. 그리고 수수께끼에 응했다가 틀린 사람들을 괴롭혔다. 어르신은 사게 실질적인 피해를 줄 수는 없지만, 한밤중에 잠을 깬 사람이 천장에서 자신을 내려다보고 있는 4미터 크기의 얼굴을 보게 되면 그것도 대단한 피해라고 할 수 있다. 수수깨비는 그렇듯 사람을 기겁하게 만드는 장난으로 칼리도 사람들을 괴롭혔다.

지쳐버린 사람들은 수수깨비에게 인간, 도깨비, 레콘, 나가 등 닥치는대로 선민종족의 이름을 주워섬겼다. 하지만 수수깨비는 설명을 요구했고 아무렇게나 대답한 말에 설명을 덧붙일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수수깨비의 장난은 점점 심각해졌고 그 대상은 모든 칼리도 사람들에게로 확대되었다. 더 견딜 수 없게 된 칼리도 사람들은 수수깨비를 쫓아낼 방도를 고려했다. 하지만 어떤 접촉도 할 수 없는 어르신을 쫓아내는 방법은 근처의 도깨비를 모두 쫓아버리는 방법 뿐인데, 당시 칼리도에는 꽤 많은 수의 도깨비가 살고 있었고 그들 모두를 쫓아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 시기는 아직 대확장 전쟁의 초기였고 훗날의 모습과는 달리 많은 도깨비들이 세상에 흩어져 살던 시절이었다.

그 무렵, 괴로워하던 칼리도 사람들에게 극연왕이 왕의 특사를 파견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칼리도 사람들은 황송해하면서도 당황했다. 그들은 전쟁이나 반역 같은 국가적 재난도 아닌 상황에서 왕의 특사가 온다는 것은 격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경기를 일으키는 아이들의 어머니들과 사흘에 한 번 꼴로 기절해야 했던 처녀들은 왕의 결정을 크게 반겼다.

하지만 막상 도착한 왕의 특사는 칼리도 사람들을 또다시 당황하게 만들었다. 도착한 것은 레콘이었다. 레누카라는 이름의 그 레콘은 극연왕이 훗날 4대 경이라 불리워진 건설을 하던 도중 왕의 친구가 된 자였다. 사람들은 수수께끼를 푸는 일에 왜 레콘이 온 것인지 이해할 수 없었다. 또한 제아무리 레콘의 용맹이 출중하다 하더라도 물질적인 피해를 줄 수 없는 어르신에게 그것이 무슨 소용인지도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칼리도에 도착한 레누카는 별다른 설명없이 곧장 수수깨비를 찾아갔다. 수수깨비는 레누카에게도 같은 수수께끼를 내었다. 레누카는 지긋이 수수깨비를 바라보다가 벽력처럼 외쳤다.

'''"꺼―져―라―!"'''

수수깨비는 사라졌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레누카는 어처구니없어하는 칼리도 사람들을 내버려둔 채 왕에게로 돌아갔다. 레누카가 돌아가고나서 얼마 후 기이한 풍문이 나타났다. 수수깨비가 사라진 직후 레누카가 혼잣말로

'그래. 두억시니는 아니지.'

라고 중얼거린 것을 들은 사람이 있다는 풍문이었다. 하지만 그 소문은 사실로 확인되진 않았다. 그리고 칼리도 사람들에겐 다른 고민거리가 남겨졌다. 아무도 그 정답을 말하지 못했기에 칼리도 사람들은 수수깨비가 어떤 보상을 할 작정이었는지 알 수가 없었다.

칼리도 지방의 오래된 민담 中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수수깨비는 두억시니의 비밀을 알고 있었던 듯 하다.

2. 수수께끼의 답





'''알 수 없다.''' 이 수수께끼의 답이 무엇인지에 대한 작중 서술, 또는 작품 외적이라도 '''작가의 공식적인 설명이 없으므로''' 독자의 입장에서는 정답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물론 많은 독자들이 작품의 내용을 기반으로 답이 무엇인지 추리하여 의견을 제시한 바 있고, 이러한 추리의 과정과 그 결과물은 이 문서의 과거 수정 이력 및 지난 토론들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독자들이 제시한 답 중에서 독자의 주관적 추론이나 해석을 배제하고 작중 명확히 서술된 사실만으로 정답임이 증명된 사례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답들은 각각 나름의 합리성과 설득력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 중 어느것도 정답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는 여러 독자들의 다양한 의견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이하의 하위 문단에서는 여러 독자들이 제시한 답과 그 근거, 그리고 그 한계점에 대해 서술한다.

2.1. 두억시니 = 첫번째 종족


  • 설명: 당시 아라짓 왕국과 나가들에게 널리 퍼져있던 편견이다. 또한 두억시니가 신보다 위대해진 첫번째 종족의 찌꺼기이며, 첫번째 종족은 자신들의 종족신을 꾸준히 남기고자 했으나, 결국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은 다른 네 신들의 도움을 받아 자살한 것을 생각해보면 "잃었다"는 표현에 가장 걸맞은 의미이다. 또한 유해의 폭포가 사모 페이에게 수수깨비를 언급할 때 "시우쇠가 그 이유를 알려줬다."라는 말을 한 것이 첫번째 종족이라는 근거.
  • 한계: 수수깨비는 두억시니가 '답이 아니다'라고 명시했다. 또한 시우쇠 또한 유해의 폭포에게 해당 사실을 알려주며 신을 잃은 게 아니다라는 것을 알려주었고, 유해의 폭포 역시 그 말을 되물었다.

2.2. 인간


  • 설명: 신을 "잃었다"라는 말을 "신이 제 종족을 돌보지 않고, 종족은 어버이라 할 수 있는 신을 잃었다"로 해석한 경우. 이 경우 어디에도 없는 신은 신체인 케이건 드라카와 융합하여 스스로를 잊고 일개 인간으로서 살아왔기에 인간을 돌보지 않았고, 이 때문에 인간은 신을 잃었다는 해석.
  • 한계 : 시간순으로 정리할 때,
> 극연왕은 대략적으로 20살정도 되는 젊은 나이에 왕위에 오르고->78년 통치 중 초반은 나가와의 전쟁으로 보냈다->그 도중 케이건이 바라기를 훔쳐갔으며->극연왕은 오라비를 찾기 위해 남은 통치기간 대부분을 도로를 건설하는 데에 썼다->극연왕이 케이건을 찾는 동안, 혹은 그 이후에 케이건은 여름(눈물을 마시는 새)을 아내로 맞았는데 나가들이 그녀를 죽이는 바람에 케이건은 증오를 불태워 화신이 되었으면서도 어디에도 없는 신과 융합하여 나가살육신으로 만들었다.
문제는 수수깨비가 등장한 연도는 극연왕 6년, 즉 극연왕이 왕위에 오른 지 초반이라 할만한 시기다. 극연왕의 4대 경이 자체는 전쟁 중에도 만들어질 수 있지만[1], 어쩄든 아라짓 전사인 극연왕의 오빠가 전쟁에 지쳐 여동생을 배신하고 키탈저 사냥꾼에게 도망쳐 아젤키버에게 거둬지고, 여름을 아내로 맞이하고 그 여름이 나가에게 죽을 정도의 사건이 벌어지기엔 6년은 너무 짧다.

2.3. 신을 잃은 종족은 없다


  • 설명: 두억시니 = 첫번째 종족이 답이 아니라는 전제 하에, 신을 잃은 종족은 없다는 논리적 귀결. 수수깨비는 "첫번째 종족의 승천"에 대한 진실을 알고 이에 대해 다른 이들에게 알리고 싶었고, 그래서 단순한 답이 아니라 그에 대한 "설명"까지 같이 요구했다. 이를 볼때 수수깨비가 원한 것은 답보다는 설명 쪽이었고, 첫번째 종족에 대한 진실을 알리고 싶었던 것일 가능성이다.
  • 한계: 어쨌든 첫번째 종족의 관점에서, 그들은 어버이되는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과 함께 있고 싶었고, 그것을 위해 더 완전해질 수 있는 가능성마저 포기하고 있었던 종족이다. 그런 자식 되는 종족들을 위해 자신을 보지 못하는 신은 스스로 자살하였고, 이 과정을 첫번째 종족의 관점에서는 '상실'로 볼 수 있기에 신을 잃은 종족이라 표현할 수 있는 여지가 없진 않다.

2.4. 정답이 없다


  • 설명 이 수수께끼에 대해 작가가 상정한 정답 자체가 없을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이든 첫번째 종족이든 '없다'든 어느 쪽으로도 해석 가능한 여지를 열어두려는 것이 작가의 의도였을수도 있고, 더 나쁘게는 아예 수수깨끼에 대한 답 자체를 구상해두지 않았을 가능성도 없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작가가 상정한 정답이 있다 하더라도, 정답 자체가 명시되지 않아 작품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리해 나갈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관련 설정이나 서술에 오류가 있어 독자의 추리가 정답까지 이르는 길이 막혀버렸을 가능성도 있다. 이 일화 자체가 창작물에 등장하는 가상의 일화인 만큼, 작품의 내적 정합성이나 핍진성이 언제나 완벽히 충족되고 독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모든 영역에 대해 항상 대답이 제시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는 것이다.
  • 한계: 작품 외적으로 가능성이 있는 의견이기는 하나, 작품 내의 서술에는 이 의견을 뒷받침할 근거가 하나도 없고, 작품 자체가 메타픽션적 성격을 강하게 가지지 않는 이상 근거가 나올 수도 없다.. 즉 이 의견은 '눈물을 마시는 새에 등장하는 수수깨비의 수수께끼' 에 대한 독자로써의 해석이라기 보다는 창작물의 해석에 대한 일반론에 더 가깝다.

[1] 도로 건설 역시 전쟁 준비의 하나라 볼 수 있다. 보급의 원활함과 행군하는 군세의 피로를 낮추기 위해서는 도로를 만들어 길을 편하게 걷게 만들어야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