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카브

 

[image]
'''회사명'''
'''㈜스튜디오 카브'''
Studio Kaab
'''대표자'''
김신화
'''창립일'''
2001년 5월 20일 (비공식)
2002년 4월 17일 (법인)
'''폐업일'''
2018년 3월 31일
'''본사'''
서울 강남구 도곡동 은하수빌딩 7층
'''업종'''
애니메이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웹사이트'''
[1][2]
[3]
1. 개요
2. 폐업
3. 스튜디오 카브의 작품들


1. 개요


한국애니메이션 제작사.
2001년 5월 20일에 설립되었고, 2002년 4월 17일 법인 전환하였다. 초기작[4]스피어즈부터 나데시코와 패트레이버의 OST를 쓰면서 오덕력을 보여주며 등장하였다.
어린이 대상 애니메이션을 주로 만들지만 험한 대사가 자주 나오는 편(...)[5]
작품별로 다양하고 상당한 개그센스를 자랑하며, 스태프 본인들도 자신들을 오타쿠라고 인정했다.
[image]
나롱이의 등장인물중 '아짱나'의 설정 중
그리고 스피어즈에서 나왔던 '''나롱이'''는 그 연장선상의 프로젝트 애니메이션인 뚜루뚜루뚜 나롱이에서 주인공을 맡게 되고 이후 르브바하프와 기가 트라이브에서도 계속하여 까메오로 얼굴을 비추며 스튜디오 카브의 대표 캐릭터로 자리잡았다.
작화는 대부분 단색의 비중이 많으며 연출은 제작사의 모토가 '저예산으로 높은 퀄리티를 뽑아내자' 라서 저예산 치고는 좋은 편이다.
2009년에 제작한 그린세이버(나롱이 시즌3) 이후에는 마법천자문 극장판, 신 머털도사, 놓지마 정신줄!! 등에 외주협력사로 참여하고 있다.
원래는 상당수의 스튜디오 카브 작품들이 카툰버스를 통해 유튜브 시청이 가능했으나 저작권 문제 혹은 판권 만료 때문인지 2018년 3월부로 삭제되면서 모든 에피소드들이 소실되었다.
다만,스튜디오 카브에서 제공사를 옮겼는지 현재 네이버 TV와 유튜브 "super surprise"채널에서 플래시를 포함한 나롱이 시리즈를 업로드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8월 25일 기준으로 무슨 이유인지 유튜브 영상들이 갑자기 비공개되면서 사라졌으며8월29일 기준으로 26일이후 올라왔던 영상들도 갑자기 사라졌다
여담이지만 스튜디오 카브 관련 홈페이지는 플라워보이 화랑 트위터 계정과 스튜디오 카브 블로그를 제외하고[6] 모두 폐쇄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우꺄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던 한 감독도 2017년 2월 5일 경 사망했다고 한다.[7][8]

2. 폐업


2010년 블로그 리뉴얼 공지가 올라온 이후 현재까지 블로그 운영이 재개되고 있지 않으며 2018년 초에는 공식 웹사이트까지 폐쇄됐다.
게다가 최근까지 스튜디오 카브에서 연재했던 웹툰 플라워보이 화랑코미코에서 삭제되고 예정된 애니메이션 제작도 감감무소식인데다가 2018년 4월 경 스튜디오 카브 본사가 위치한 도곡동 은하수빌딩 7층에 임대 광고가 붙었던 사실까지 확인되면서 스튜디오 카브가 폐업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2018년 4월 5일 갱신된 문화체육관광부 출판사 DB에는 스튜디오 카브가 폐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2018년 11월 26일 기준으로 스튜디오 카브의 법인 등기는 아직까지 살아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공식적으로는 폐업은 맞으나, 파산 및 청산 단계에 이르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부천산업진흥재단"에서는 주소를 옮겼는지 본사의 위치[9]가 다르게 나온다.
최근 터닝메카드 R 등의 제작에 외주로 참여하는 것을 보아 폐업했다기보다는 외주 전문으로만 활동하고 마지막 애니메이션 작품인 그린세이버가 10년 전 작품인 걸 보면 창작 활동을 그만둔 듯 하다. 이후 당시 중소기업청의 지원을 받아 "마법사 나롱이"라는 유아동화 컨텐츠를 2012년경 제작하기 시작하여 2014년 출시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결국 출시가 불발되었다. 또한 회사정보에 대해서 확인한 결과 스튜디오 카브는 홈페이지를 폐쇄하고, 사무실을 뺀 2018년 3월 31일에 폐업한 것이 국세청을 통해 확실하게 드러났다. 또한 외주 및 창작 작업도 2017년 후반까지만 한 것이 확인되었다. 폐업한 사유는 불명이나 재정난으로 추정된다.

3. 스튜디오 카브의 작품들


  • 클로버 4/3 - 2000년[10]
  • 스피어즈 - 2003년 7월 30일 MBC 수요일 오후 4시 30분
  • 뚜루뚜루뚜 나롱이 - 2004년 12월 24일 MBC 금요일 오후 5시 20분
  • 쾌걸롱맨 나롱이 - 2006년 1월 13일 MBC 금요일 오후 5시 20분
  •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 2007년 5월 21일 MBC 월요일 4시 20분
  • 기가 트라이브 - 2008년 10월 8일 SBS 수, 목 오후 4시
  • 그린세이버 - 2009년 11월 9일 SBS 월, 화 오후 4시
  • 플라워보이 화랑 - 2014년[11]
[1] 현재 폐쇄되었다.[2] 20년 8월 24일 기준 사이트 연결 불가.[3] 리뉴얼을 한다고 임시로 폐쇄됐지만 사실상 영구 폐쇄된 거나 다름없다. 현재까지도 소식이 없다.[4] 최초작인 '''클로버 4/3'''은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며 스튜디오 카브가 아닌 (주)네오필름의 작품이므로 일단 제외함.[5] 더불어서 쾌걸롱맨 나롱이에선 히어로 만화 라지만 영아 살해를 묘사하는 부분이 많이 나왔다. 캐릭터들의 나이는 아직 초등학생 정도의 나이 인걸 감안하면 상당히 무서운 전개가 아닐수 없다.[6] 이마저도 플라워보이 화랑 트위터 계정은 2017년, 스튜디오 카브 블로그는 2010년 기준으로 새 소식이 없어서 사실상 폐쇄로 취급한다.[7] 사실 뚜루뚜루뚜 나롱이 완성 이후 카브를 나와 일본으로 이직했다고는 하지만...[8] 생전에 클램프의 작품에 참여한거 보아 아마 매드하우스로 이직하신 듯 하다.[9] 현재 주소로 들어가 보니 스튜디오 카브의 정보가 뜨지 않고, 다른 회사의 정보가 나온다.[10] 애니메이션이긴 하지만 TV애니메이션이 아닌 인터넷용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제작당시 인터랙티브 애니메이션으로 야심차게 만들어졌으나, 제작중단으로 인해 결국 잊혀진 프로젝트가 되었다. 또한 클로버 4/3은 스튜디오 카브를 구성하는 핵심 인력이 만든 작품이긴 하나, 공식적으로는 (주)스튜디오 카브가 아닌, (주)네오필름의 작품이므로 유의하여야 한다.[11] 웹툰이 2017년 완결되고 성공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다 하였으나 웹툰으로 다음 시즌을 기약한다는 말을 마지막으로 소식이 없으며 또한 코미코 페이지가 삭제되었고 스튜디오 카브도 폐업하면서 결국 클로버 4/3과 같이 잊혀진 프로젝트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