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strada 1. 개요
이탈리아어로
고속도로를 일컫는 말. 말 그대로 자동차(Auto)가 다니는 길(strada)이라는 뜻이다. 국내에는 복수형인 아우토스트라데(Autostrade)와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해당 단어는 이탈리아의 고속도로를 일컬으나, 폴란드어로도 Autostrada가 고속도로를 뜻하는 단어(외래어)인 관계로 드물게 폴란드의 고속도로를 뜻할 수도 있다.
2. 이탈리아의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인 수퍼스트라다(Superstrada)와 달리 유료로 운영된다. 노선별로 운영사가 다양하며, 이 중
Atlantia사 노선 비중이 가장 높다.
노선망전 구간이 왕복 4차로~왕복 6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왕복 8차로 이상인 구간은 없다.
[1] 가끔 왕복 5차로인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한쪽은 편도 2차로, 다른 한쪽은 편도 3차로인 경우다.이 역시, 왕복 7차로 이상인 구간은 없다.
왕복 8차로 이상인 구간이 없는 이유는, 이탈리아는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환경문제에 매우 민감하여 도로 확장을 하느니, 차라리 고속도로 주변에 공원과 녹지를 만들어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탈리아를 포함한 나머지 유럽 국가들은 정말 자동차가 필요한 사람들(화물차 기사, 버스 기사, 택시 기사 등)을 제외하고 어지간한 사람들에게는, 대중교통(고속버스, 시외버스)을 이용할 것을 정부 차원에서 권장한다.
노선번호는 대부분 두 자리 숫자에서 끊기며, 그마저도 다 채우지도 않는다(...) 나머지는 국도와 철도가 대체하는 셈. 옆 나라
프랑스처럼 고속도로만 수백 개가 있지는 않다.
제한속도는 130km/h, 그 밖의 경우에는 110km/h로 한정되어 있다.
'''세계 최초의 고속도로'''이다. 많은 사람들이
독일의
아우토반이 최초라고 알고 있지만, 1923년 이탈리아에서 밀라노와 북부 호수 지역을 연결하는 최초의 고속도로가 만들어졌다.
또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건설 시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m.kbench.com/?q=node/150139독일의 아우토반과는 다르게 '''대부분이 유료도로'''이다. 그 밖에 도로청(ANAS)에서 관리하는 공공고속도로의 경우 무료도로지만 극히 한정되어 있다.
유로트럭에서도 이탈리아를 거치려고 하면 여러 개의 톨게이트를 거쳐야만 한다.
그래서 독일과는 달리 통행료가 당연히 있다. 하지만 있는 경우가 있고 없는 경우가 있는데, 누가 봐도 공공성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무료화를 진행한다. 그러나 일부 인가 회사가 설립한 유료도로는 통행료를 내야 한다. 실질적인 부분유료화인 셈.
2014년 말 기준으로 총연장 6,844km중에 5,906km가 유료화고 937km는 무료화 되어 있다. 457km의 구간이 새롭게 계획 및 건설 중에 있다.
터널의 경우 'T+숫자'를 붙여 넘버링한다.
[image]프랑스와는 달리 조금 더 구체화되어있고 명명화 되어 있다. 보통의 유료도로인 아우토스트라다와 함께 아우토비(Autovie), 공공도로인 소시에타 아우토스트라다(Società Autostrada)와 소시에타 이탈리아나(Società Italiana)가 있다.
'''아우토스트라다(고속도로)'''
|
'''표시'''
| '''노선이름'''
| '''구간'''
| '''유럽 고속도로'''
| '''노선 총길이'''
| '''최초개통'''
|
A1
| 아우토스트라다 델 솔레
| 밀라노 - (로마) - 나폴리
| E35, E45
| 759,4Km
| 1958년
|
A2
| 아우토스트라다 델 메디데라네오
| 살레르노 - 레조디칼라브리아
| E841, E45, E90
| 432,2Km
| 1967년
|
A3
| 아우토스트라다 A3
| 나폴리 - 살레르노
| E45
| 52Km
| 1929년
|
A4
| 아우토스트라다 세레니시마
| 토리노 - 트리에스터
| E55, E64, E70
| 522,4Km
| 1927년
|
A5
| 아우토스트라다 델라 발레다오스타
| 토리노 - 몽블라산
| E25, E612
| 143,4Km
| 1961년
|
A6
| 라 포르토베네레
| 토리노 - 사보나
| E717
| 124,3Km
| 1960년
|
A7
| 아우토스트라다 데 지오비 세르발레
| 밀라노 - 제노바
| E25, E62
| 135,5Km
| 1935년
|
A8
| 아우토스트라다 데 라기
| 밀라노 - 바레세
| E35, E62
| 43,6Km
| 1924년
|
A9
| 아우토스트라다 데 라기
| 밀라노 - 키아소(스위스)
| E35
| 31,5Km
| 1925년
|
A10
| 아우토스트라다 데 피오리
| 제노바 - 벤티밀리아
| E25, E74, E80
| 158,1Km
| 1961년
|
A11
| 아우토스트라다 피렌체-마레
| 피렌체 - 피사
| E76
| 81.7Km
| 1933년
|
A12
| 아우토스트라다 아추라
| 제노바 - 체치나 / 타르퀴니아 - 로마
| E80
| 275.4Km
| 1965년
|
A13
| 아우토스트라다 A13
| 볼로냐 - 파노바
|
| 116.7Km
| 1970년
|
A14
| 아우토스트라다 아드리아티카
| 볼로냐 - 타란토
| E55
| 743.4Km
| 1966년
|
A15
| 아우토스트라다 델라 치사
| 파르마 - 라스페치아
| E33
| 108.5Km
| 1975년
|
A16
| 아우토스트라다 데 두에 마리
| 나폴리 - 카노사티풀리아
| E842
| 172.5Km
| 1969년
|
A18
| 아우토스트라다 A18
| 메시나 - 카타니아 / 시라쿠사 - 로조리니
| E45
| 116.8Km
| 1971년
|
A19
| 아우토스트라다 A19
| 팔레르모 - 카타니아
| E90, E932
| 191.6Km
| 1970년
|
A20
| 아우토스트라다 A20
| 메시나 - 팔레르모
| E45, E90
| 183Km
| 1972년
|
A21
| 아우토스트라다 데 비니
| 토리노 - 브레시아
| E70
| 238.3Km
| 1968년
|
A22
| 아우토스트라다 데 브레네르
| 브레네르 - 모데나
| E45
| 315Km
| 1968년
|
A23
| 아우토스트라다 알페-아드리아
| 팔마노바 - 타르비시오
| E55
| 119.9Km
| 1966년
|
A24
| 아우토스트라다 데 파르키
| 로마 - 테라모
| E80
| 166.5Km
| 1969년
|
A25
| 아우토스트라다 데 파르키
| 토라노 - 키에티 - 페스카라
| E80
| 115Km
| 1969년
|
A26
| 아우토스트라다 데 탈포리
| 제노바 - 그라벨로나토체
| E25, E62
| 197.1Km
| 1977년
|
A27
| 아우토스트라다 달레마나
| 메스트레 - 벨루노
|
| 82.5Km
| 1972년
|
A28
| 아우토스트라다 A28
| 포르트구루아로 - 코넬리아노
|
| 48.7Km
| 1974년
|
A29
| 아우토스트라다 A29
| 팔레르모 - 마차라델발로
| E90, E931, E933
| 114.8Km
| 1978년
|
A30
| 아우토스트라다 A30
| 카세르타 - 살레르노
|
| 55.3Km
| 1976년
|
A31
| 아우토스트라다 델라 발 다스티코
| 포레지네 - Piovene Rocchet
|
| 88.7Km
| 1976년
|
A32
| 아우토스트라다 데 프레쥐스
| 토리노 - 바르도네키아
| E70
| 73Km
| 1987년
|
A33
| 아우토스트라다 델라 랑게
| 아스티 - 알바 / 케라스코 - 쿠네오
| E74
| 85Km
| 2005년
|
A34
| 아우토스트라다 A34
| Villesse - 고리치아
|
| 17Km
| 2013년
|
A35
| 아우토스트라다 BreBeMi
| 브레시아 - 밀라노
|
| 62.1Km
| 2014년
|
A36
| 아우토스트라다 페데몬타나롬바드
| 카사노 마그나고 - 렌타테 술
|
| 21.8Km
| 2015년
|
aut CT-SR
| 아우토스트라다 카타니아-시라쿠사연결도로
| E45
| 25.2Km
| 2009년
|
'''12개의 고속도로 공사중'''
|
3. 폴란드의 고속도로
자세한 사항은
아우토스트라다(포르투갈)(
관련 위키백과 내용) 문서를 참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