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해'''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1970년
'''연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
21세기
22세기
'''밀레니엄'''
제1천년기
'''제2천년기'''
제3천년기
'''세계 각 지역의 표기'''
서기
1967년
대한민국
49년
단기
4300년
불기
2511년
황기
2627년
이슬람력
1387년 ~ 1388년
간지
병오년 ~ 정미
주체
56년
민국
56년
일본
쇼와 42년
히브리력
5727년 ~ 5728년
'''가상 연대'''
드래곤볼
732년
1. 개요
2. 사건
2.1. 실제
2.1.1. 1월
2.1.2. 2월
2.1.3. 3월
2.1.4. 4월
2.1.5. 5월
2.1.6. 6월
2.1.7. 7월
2.1.8. 8월
2.1.9. 9월
2.1.10. 10월
2.1.11. 11월
2.1.12. 12월
2.2. 가상
3. 탄생
3.1. 실존인물
3.2. 가상인물
4. 사망
4.1. 실존인물
5. 데뷔
5.1. 가수
5.2. 배우
5.3. 만화계
6. 출시
6.1. 식음료
7. 히트작
7.1. 영화
7.2. 가요
7.3. 베스트셀러
8. 달력


1. 개요


이 해에 해외 록 음악 씬에는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도어즈의 '''《The Doors》''', 지미 헨드릭스의 '''《Are You Experienced?》''',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등, 수많은 명반들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왔다. 이와 관련해 이 시기를 '''"Summer of Love"'''라고 부르기도 한다.
헐리우드에서는 당시 기준으로 파격적이었던 보니 앤 클라이드, 졸업 등의 작품이 선보이며 뉴 헐리우드(New Hollywood) 기조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1980년 천국의 문이 망하기 전까지 1970년대 내내 지속되었다.
국제연합에서는 이 해를 '세계 관광의 해'로 지정했다.
북한은 이 때부터 본격적인 막장으로 치닫았는데, 그나마 존재하던 민주주의적 요소가 완전히 말살된 때가 바로 이 해이고, 또 북한의 언론들이 유례없는 욕설과 막말을 동원하기 시작한 것도 이 때부터였다.[1]
일본 성우 쪽에서는 이 해에 태어난 성우들만 해도 모리카와 토시유키, 하야시바라 메구미, 사사키 노조무, 히야마 노부유키, 야지마 아키코, 미츠이시 코토노, 코야스 타케히토, 이시다 아키라, 나카이 카즈야 등이 있는데 하나같이 쟁쟁한 스타 성우들이다. 물론 한국 성우 쪽에서도 이 해에 태어난 성우로는 김승준이 있다.

2. 사건



2.1. 실제



2.1.1. 1월


  • 1월 1일: 육영재단에서 어린이 잡지 어깨동무#s-2를 냈다.
  • 1월 4일: 미국밴드 도어즈가 셀프 타이틀의 데뷔 앨범을 발표하였다.
  • 1월 14일: 부산 가덕도 앞바다에서 여객선 한일호가 군함 충남함과 충돌/침몰하여 93명의 사망자를 냈다.
  • 1월 19일
  • 1월 21일: 신동우 화백의 만화 <풍운아 홍길동>을 원작으로 한 국내 최초의 극장 장편 애니메이션 <홍길동>이 대한극장과 세기극장에서 개봉되었다. 이는 한국 애니메이션 태동기로써 역사에 길이길이 남았다.
  • 1월 25일: 윤보선 신한당 총재와 유진오 민중당 대통령 후보는 제2차 단독회담을 열어 두 야당의 합당에 합의하였다. 이때 당명은 '신민당'으로 결정되었다.
  • 1월 26일 - 윤보선, 백낙준, 유진오, 이범석 등 야당 대표 4명이 모여 제1차 4자회담을 열었다.
  • 1월 27일: 미국소련, 영국 3국이 우주의 평화적 개발과 이용 및 우주권에 무기를 배치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골자로 하는 우주조약을 체결했다. 이는 이후 우주개발의 기본적 규약이 되며, 다른 국가들도 반발 없이 가입한다.
  • 1월 30일 - 종전의 외환부가 한국은행으로부터 분리하면서 한국외환은행이 발족되었다.

2.1.2. 2월


  • 2월 4일: 베이징의 주중 소련 대사관이 홍위병들의 반(反)소 시위 와중에 공격받았다. 소련 정부는 분노했고, 중국은 사과하고 이후 소련 대사관을 베이징 외곽의 안전지역으로 옮길 것을 권고했다. 이는 중소 관계가 악화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건이다.
  • 2월 5일: 신민당의 대통령 후보에 윤보선, 당수에 유진오가 결정되었다.
  • 2월 7일: 신한당과 민중당이 합쳐져 '신민당'으로 정식 발족되었다.
  • 2월 9일: 경전선 철도가 순천역-광양역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 2월 11일: 2월 역류의 시작.
  • 2월 22일: 경전선 진주역- 철도가 일부구간이 개통되었다.
  • 2월 27일: 불교계에선 대처승 측과 비구승 측의 분종이 선언되었다.


2.1.3. 3월



2.1.4. 4월


  • 4월 1일: 서울 구로구에 현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전신인 '구로 수출산업단지'가 준공되었다.
  • 4월 3일: 롯데제과가 설립되었다. 이는 한국 롯데의 시초이기도 하다.
  • 4월 6일: 해럴드 홀트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한국을 방문하였다.
  • 4월 7일: 이스라엘시리아 사이에 공중전이 벌어져 시리아군의 MiG-21 7기가 격추되었다. 이는 곧 다가올 전쟁의 서곡이었다.
  • 4월 8일: 여의도 공항을 떠나 대구로 향하던 공군 제 5 공수단 소속 C-46 수송기가 청구동 주택가에 추락해 탑승 인원 12명 전원과 지상 주민 56명이 사망했다.
  • 4월 9일: 보잉B-737의 첫 비행에 성공했다. 이후 737 계열기는 세계적인 베스트 항공기로 군림하게 된다.
  • 4월 21일: 현 미래창조과학부의 전신 과학기술처가 설립되었다.[2]
  • 4월 28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67년 엑스포가 개막하였다.[3]

2.1.5. 5월



2.1.6. 6월


  • 6월 1일
  • 6월 5일: 이스라엘의 전면적 선제 기습공격으로 제3차 중동전쟁, 이른바 '6일전쟁'이 발발했다.
  • 6월 8일
    • 제7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투표 과정에서 공개/대리투표 등 부정선거가 자행되었음이 알려지면서 '총선 부정 규탄 투쟁'이 전개되었다.
    • 이스라엘 공군이 미 해군의 정보수집함 USS 리버티를 공격하여 대파시켰다. 이스라엘은 이집트 군함으로 오인하여 공격했다고 주장하나, 의도적인 공격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 6월 10일
    • 전국의 대학생들이 6.8 부정선거 사건을 규탄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때 유진오 신민당 총재는 부정선거엔 박정희 대통령도 책임이 있다고 선언하였다.
    • 이스라엘과 시리아가 UN의 중재를 받아들여 교전행위를 중단함[4]으로써 제3차 중동전쟁이 끝났다. 이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골란 고원과 시나이 반도, 동예루살렘을 획득한다.
  • 6월 27일: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현금 자동인출기가 등장했다.

2.1.7. 7월



2.1.8. 8월



2.1.9. 9월



2.1.10. 10월



2.1.11. 11월


  • 11월 20일: 여야 협상대표가 합의 의정서를 조인하였다.
  • 11월 30일: 남예멘인 예멘 인민민주공화국[5]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이로서 예멘도 분단국가로서 독립하게 된다.

2.1.12. 12월



2.2. 가상


  • 6월: 빙과의 과거 배경. 가미야마 고등학교에서 동맹휴학이 벌어진다.
  • 10월: 지탄다 에루의 외숙부 세키타니 준이 퇴학당한다.

3. 탄생



3.1. 실존인물



3.2. 가상인물



4. 사망



4.1. 실존인물



5. 데뷔



5.1. 가수



5.2. 배우



5.3. 만화계



6. 출시



6.1. 식음료


  • 롯데제과
    • 4월: 쿨민트껌, 바브민트껌, 영양드롭프스, 링그선드, 소프트캬라멜, 크림산도, 빠다크림빵

7. 히트작



7.1. 영화


  • 청춘극장

7.2. 가요


  • 남진 - 가슴 아프게
  • 문주란 - 돌지 않는 풍차
  • 배호 - 돌아가는 삼각지, 안개 낀 장충단공원
  • 이미자 - 섬마을 선생님
  • 정훈희 - 안개

7.3. 베스트셀러


  • 순애보 - 박계주 저.
  •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 박계향 저.

8. 달력




[1] 당시 김일성이 "전투적인 화법을 사용하라"라고 지시한 것이 시발점이었다고 한다.[2] 과학의 날은 이를 기념해 제정되었다.[3] 여담으로 이때는 중화민국중국 대표로 엑스포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9년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캐나다 정부는 중화민국이 국호를 대만으로 변경하는게 필수 의무라고 강조했고, 중화민국측은 이를 받아들일수 없어 아예 대회 자체를 불참하였다.[4] 이집트요르단은 전쟁수행능력을 상실했다.[5] 이름에서 보듯 사회주의 국가였다.[6] KOF 시리즈에선 시공이 꼬여서 용호의 권 시리즈와 생일만 같은뿐 연도는 다르다. KOF에서는 1971년생.[7] KOF 시리즈에선 시공이 꼬여서 용호의 권 시리즈와 생일만 같은뿐 연도는 다르다. KOF에서는 1971년생.[8] KOF 시리즈에선 시공이 꼬여서 용호의 권 시리즈와 생일만 같은뿐 연도는 다르다. KOF에서는 1971년생.[9] 용과 같이 제로 마지마 파트 물장사에서 선샤인 메인 호스티스, 용과 같이 극 2에서는 포샤인 오너[10] 둘 다 1963년에 통합해 현재의 감사원이 됨.[11] 여동생이 카트린 드뇌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