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학

 

[image]

Night School[1]
1. 개요
2. 문화에서의 야학


1. 개요


'''야간수업을 하는 비정규의 학교 또는 강습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의 정의 #

야학에 대한 정의를 단순히 '야간'이라는 시간적 구분에 따르는 것은 무의미하다. 야학을 일반 대중이 '배우는 곳'이라는 공간적이고, 눈에 보이는 것으로만 규정한 개념이다. 그래서 야학을 야간에 진행하는 대중교육'이라는 시간에 따른 단편적인 정의보다는 ''''일반 대중이 주, 야간 시간의 구분 없이 필요한 교육을 받는 곳''''이라는 정의가 합당하다.

「한국야학운동사」에서의 정의

야학은 개화기 때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비정규적인 대중교육기관이다. 수업이 주로 밤에 진행되는지라 '밤 야()' 자를 써서 '야학'이라고 주로 불려졌다. 정규교육과는 다르게 야학은 농민, 노동자 등 학교교육을 아예 받지 못하거나 부족한 사람들을 돕고자 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 제도권과는 분리된 교육기관이었기에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방식의 비제도권 교육이 시행되었다. 이 때문에 야학은 정규교육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민주화운동, 학생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 등과 결합하여 활동가들이 민중을 가르치거나 계몽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야학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2]
첫째, '''대안적 대중교육기관'''이다. 지금이야 의무교육이나 고등학교대학교에 대한 높은 진학률, 등록금을 받춰줄 수 있는 경제력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제도교육을 받고 있지만, 민주화 이전만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특히 노동자, 농민) 제도교육으로부터 비켜서 있었다. 이들은 고학은 커녕 제대로 된 교육조차 받기 힘들었다. 이들의 교육을 위해 야학은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주었다.
둘째, '''비제도권 민중교육기관'''이었다. 야학은 제도교육과는 분명 달랐다. 정식으로 인가를 받지 않은 교육기관들이 민중을 교육하였다. 야학은 공교육과도 달랐고, 사교육과도 차이가 있는 존재였다.[3] 야학은 자유롭게 교육을 진행했고, 제도교육에 소외된 자라면 누구든지 받아들여 교육시켰다. 그리하여 노동자와 농민들의 고학이나 검정고시 합격을 통해 민중의 지식 수준을 끌어올리는데 기여했다.
야학은 개화기부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를 거쳐, 대한민국에서도 못 배운 사람들을 계몽시키는데 앞장섰다. 현재는 공교육사교육 때문에 크게 약화되었지만, 지금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 문화에서의 야학


심훈의 <상록수>가 야학을 다룬 가장 대표적인 소설이다. 최용신이라는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하여 쓰여진 이 소설은 1930년대 브나로드 운동에 참여한 젊은이들이 학교를 세우고 농촌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1] 분명 있는 그대로 해석한다면 옳은 번역이지만 후술할 내용에 따르면 야학은 하고만 연관시켜서는 안된다. 그리하여 그 번역을 'Popular Education(민중교육)', 'Education for grass roots(민초교육)'으로 하기도 한다. 한편 야학 연구가 천성호는 한국에서의 야학이 'Yahak'이라는 고유명사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본다.[2] 야학 연구가 천성호는 야학을 이렇게 정의했다.
① 일반 대중을 위한 대중교육기관
② 학력 인정이 되지 않는 비제도권 교육기관
③ 민중의 정치 의식화를 위한 민중교육기관
④ 제도 교육에 대안적인 대안교육기관
⑤ 모든 이를 위한 교육기관
[3] 야학은 국가의 정식 지원을 받지 못했다. 또 그 교육체계도 공교육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그렇다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학원같은 존재도 아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