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맹뿌

 


[image]

'''최후ㅇㅅ 한구Зㅏ지 찿Ч 3ㅏ7I'''

'''우리 츼선Σㅏ'''

'''2 //、 6、 ''' ''' ''L'' '''

'''ㅅn토n6''' '''°1 ИЦ ᄟイ'''

(원문)

최후의 한구까지 찿을때 까지

우리는 최선을 다 합시다

2011. 6. 6

'''대통령 이명박'''

1. 개요
2. 문법 문제
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 17대 대통령 이명박의 자필 서명의 필체 때문에 생긴 별명. '대통령'까지 포함해서 새토갱 어맹뿌라고도 한다. 간혹 어맹박이나 이맹뿌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2011년 6월 6일 제56회 현충일 추념식이 끝난 뒤에 이명박 대통령이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을 찾아 방명록에 남긴 필기체가 마치 '새토갱 어맹뿌'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으며, 이에 기사까지 나왔다.[1]

2. 문법 문제


잘 보면 알겠지만 문법이 많이 틀렸다. 그래서 이외수 작가는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틀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
  • '찾'을 '찿'으로 잘못 적었다.[2][3]
  • "한구 까지"는 "한 구까지"로, "찾을때 까지"는 "찾을 때까지"로 띄어서 써야 한다.
  • 또한, 문맥상으로 "다 합시다"는 "다합시다"로 붙여서 써야 한다.[4]
  • 문법도 부자연스러운데, "최후의 한구 까지 찾을때 까지"는 "최후의 한 구 찾을 때까지" 또는 "최후의 한 구까지 찾을 수 있도록"으로 쓰는 것이 자연스럽다.
  • 마지막 줄의 "우리는 최선을 다 합시다" 역시 "최선을 다합시다" 또는 "우리는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로 고치는 것이 조금 더 자연스럽다. 그리고 맨 뒤에는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
  • 날짜 마지막에도 마침표를 찍지 않았다. 이렇게 쓰이는 마침표는 '연', '월', '일' 대신 부호로서 맨 위의 글의 날짜 표기는 "2011. 6. 6."이 옳은 표기다.
이하는 교정의 예이다.

최후의 한 구까지 찾을 수 있도록

우리는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또는 최선을 다합시다.)

2011. 6. 6.

'''대통령 이명박'''


3. 여담


오인용웹툰 666부대에서도 이 이름의 이병이 단역으로 출연했다.
썰전강적들에서 강용석써먹은 적이 있고,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의 진행자인 UMC/UW는 이명박 전 대통령을 언급할 때 거의 이 별명으로 부른다.
읍니다 문서에도 사진으로 있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공문서와 방명록에도 있고, 퇴임 후 2018년 구속에 앞서 마지막으로 공개한 글의 서명에도 있다. #페이스북에 공개한 글
똑같은 이유로 만들어진 또 다른 야민정음으로 '뿌주부'가 있다. 백종원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자필로 쓴 백주부 명찰의 '백'ㅈ부분이 필기체로 인해 'ㅐ'가 'ㅂ'으로, 'ㄱ'이 'ㅜ'로 보였던 것이다. 원래는 '백'과 '박'으로 다른데 둘 다 '뿌'가 되었다.

[1] 사실 어맹뿌가 처음 알려진 건 2008년 이었으나 그때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던 걸로 보인다.[2] 사실 발음만 해보면 알 수 있는 문제다. [차즐\]로 발음하므로 이 발음을 [차ᄌᅠ/ᅟᅳᆯ\]로 분철하여 '찾을'로 쓰면 된다. 발음이 [차츨\]이 아닌 이상 'ㅊ' 받침을 쓸 하등의 이유가 없다. 애초에 현행 한글 표기 자체가 국어의 자연스러운 발음을 기준 삼아 정해진 것이다.[3] 아마도 '찾'이든, '찿'이든 이어지는 모음 어미 없이 끊어 읽으면 그 발음이 [찯\]으로 같다는 점과 초성이 'ㅊ'이라는 점에 이끌린 모양이다.[4] 다 합시다 = 함께 하자, 다합시다 = 끝까지 하자. 뜻이 전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