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코드
C5ED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ㅇ+ㅕ+ㄱ
두벌식QWERTY
dur
세벌식 최종–QWERTY
jex
1. 驛
2. 逆
2.1. 논리학
3. 役
4. 域
4.1. 생물학


1. 驛


열차가 정차하는 정거장에 대한 내용은 역(교통) 문서로.

2. 逆



'거꾸로', '반대로' 등을 뜻하는 한자. 명사로도 쓰이고 접두어로도 쓰인다.

2.1. 논리학



[image]
원명제(p → q)의 순서를 뒤집은 명제(q → p)가 바로 역이다.
원명제가 참이더라도 그의 역은 거짓일 수 있고, 반대로 원명제가 거짓이더라도 그의 역은 참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q가 p를 포괄하지만 p가 q를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에 p → q는 성립되어도 q → p는 성립되지 못하고, 반대로 p → q는 성립되지 못해도 q → p는 성립된다. 예를 들어, '4의 배수는 항상 짝수이다'는 참이지만 '짝수는 항상 4의 배수이다'는 거짓이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일 것이라고 생각하면 논리적 오류 중 하나인 후건긍정의 오류가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이라면, p = q이다. 즉, p와 q가 같지 않다면, 어떤 명제가 참이면 그 역은 반드시 거짓이다. 수학적인 논증을 할 때 굉장히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며, 따라서 공식이나 정리 등을 보면 "a, b 등의 조건이 있을 때 p->q이이며, 그 역 또한 성립한다/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언급이 많이 나온다. 사실 역 대신 이를 써도 똑같은 결과가 나오지만, 사람들이 이보다는 역과 더 친숙하므로(...) 거의 쓰지 않는다.[1]

3. 役


특별히 맡은 소임을 나타내는 말.
또는 국가가 백성들의 노동력을 수취하던 제도.[2]
''''현역', '예비역', '복역', '징역', '역할' 등의 그 역'''이다. 참고로 연극에서 '배역'이라고 할 때도 똑같은 한자를 쓴다. 이 경우 '어떤 배우가 ○○라는 캐릭터를 연기했다'란 뜻이다. [예 : 아무개(홍길동 역), [[반대말|↔]]분(扮)]
역할이나 배역은 전자의 의미로, 현역, 예비역, 복역, 징역은 후자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어에 특히 많이 보여서 일본에서 들어온 말 같이 보이지만 한국에서도 후자의 의미로 과거부터 쓰긴 썼다.
한국사의 경제 부문에 나오는 수취 제도에서 전세, 공물과 함께 나오는 제도이다.
현재도 노동력을 수취하는 제도(병역, 징역)에 역을 붙이는 건 이러한 유래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본어에선 정말로 사용빈도가 높다. 상담역, 검사역, 퇴역 등등. 한국에서 임원이라 불리는 것을 '중역'이라 부르는 것도 그 예.
하지만 본래 한문 뜻은 전쟁으로 '전역(戰役)' 등 현대 중국어에서도 전쟁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일본어도 마찬가지인데 임진왜란을 '분로쿠의 역'이라고 부르는 등.

4. 域


'지경', '구역'을 나타내는 한자.

4.1. 생물학


domain
생물 분류 단계의 최상위 단계. 1990년 칼 워즈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5계 분류 체계에서의 원핵생물에서 고균 집단이 분리되면서 제안되었다.
세균역[3], 고균역[4], 진핵생물역이 있으며 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바이러스[5].

[1] 참고로 이는 2009년 이후에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빠졌다.[2] 네이버 국어사전 발췌.[3] 진정세균역이라고도 한다.[4] 고세균역이라고도 한다.[5] 바이러스는 생명체의 특성을 가지지만 무생물의 특성도 가지므로 완전한 생명체로 보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