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clearfix]
1. 한국어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문자 \''''이''''다. [1]
1.1. 체언
1.1.1. 근칭 대명사/관형사
말하는 이와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또는 지시관형사로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5'으로 실려 있다.
'이곳', '이것(이거)'처럼 한 단어로 실린 것들도 있다. '여기'는 약간 형식이 바뀐 예이다.* 이 이상 좋게 줄 수 없다(대명사)
* 이 사람(관형사)
1.1.2. 사람 의존명사
사람을 뜻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4'로 실려 있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것'과 유사하게 사물이나 사태에 대해서도 쓰였다.
용례: 편집하는 이, 지나가는 이
1.1.3. 이빨[齒]
척추동물의 입에 위치한 소화를 돕는 기관. 치아(齒牙)라고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3'으로 실려 있다.
1.2. 접사
1.2.1. 명사형 파생 접사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7'로 실려 있다.1. 몇몇 동사 및 형용사의 명사화: 먹이 , 벌이(동사) / 길이, 높이, 넓이(형용사) 등
1. 몇몇 명사 또는 동사어간의 사람/사물/사건화: 때밀이, 젖먹이(사람) / 옷걸이, 목걸이(사물) / 가슴앓이, 속앓이(일)
1. 몇몇 명사, 어근, 의성어ㆍ의태어의 사람/사물화: 절름발이(명사) / 멍청이, 뚱뚱이(어근) / 짝짝이(의성어ㆍ의태어)
1번 의미의 '-이'는 본래 '-의/ᄋᆡ'였다가 '-이'로 합류하였다.
1.2.2. 부사형 파생 접사
일부 용언 또는 중복된 명사에 붙어 부사를 만들어 준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30'으로 실려 있다.
1.2.3. 피사동 접사
일부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사동사나 피동사를 만든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9'로 실려 있다.보이다, 쌓이다, 높이다
1.2.4. 사람의 수량
수사 뒤에 붙어 그 사람의 수량을 나타낸다. '-이서'로 나타나기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31'로 실려 있다.친구와 '''둘이(서)''' 영화를 보러 갔다.
1.3. 어미
1.3.1. 호칭 뒤에 붙는 어미
예를 들어 '김희철'이란 사람을 친한 사람이 부를땐 '희철이'라고 부르듯이 '이' 앞에 받침이 있을경우에만 붙는다. 받침이 없을 때는 '야'가 붙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8'로 실려 있다.
1.3.2. 하게체 종결어미
상태의 서술이나 느낌을 나타낸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6'으로 실려 있다.거참, 미안허이.
1.4. 조사
1.4.1. 주격 조사 '이/가'
받침이 없을 때에는 '가'로 교체된다. 역사적으로는 '이'가 더 오래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5'로 실려 있다.
2. 1자 한자어
2.1. 理(철학)
유교에서 일컫는 만물의 근원, 본질 또는 원리. 성리학에서 기(氣)의 대립항으로 그 정의가 특히 명확하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13'으로 실려 있다.
2.2. 裏(논리)
[image]
원명제(p → q)의 가설과 종결을 모두 부정한 명제(~p → ~q), 즉 대우의 역이 바로 이이다.
원명제가 참이더라도 그의 이는 거짓일 수 있고, 반대로 원명제가 거짓이더라도 그의 이는 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의 배수는 항상 짝수이다'는 참이지만 '4의 배수가 아니면 짝수가 아니다'는 거짓이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이도 참일 것이라고 생각하면 논리적 오류 중 하나인 전건부정의 오류가 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18'로 실려 있다.
원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있었다가 빠져버렸다. 역과 대우는 가르치는데 유별나게도 이는 가르치지 않는 상황이다.
2.2.1. 관련 문서
2.3. 蝨(곤충)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1'로 실려 있다.
2.4. 二(숫자)
중세 한국어 시기에는 초성이 ㅿ이었다. 일본에서 독음이 ジ 내지는 ニ인 것과 통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7'로 실려 있다.
3. 외국어
3.1. 로마자
3.1.1. E(영어)
영어에서는 '이'에 가깝게 읽지만 다른 로마자 사용 언어들은 '에'에 가깝게 읽는 경우가 많다. E 문서 참조.
3.1.2. I
영어에서는 대모음추이의 영향으로 [아이]라고 읽으나, 프랑스어나 독일어 등에서는 'i'의 발음을 따라 [이]로 읽는다. Y 역시 '그리스에서 온 I' 식으로 읽는 언어들이 꽤 있다.
3.2. 일본어 い/イ
일본어의 문자. 히라가나 い는 以의 초서체를 땄고, 가타카나 イ는 伊의 일부를 딴 것이다.[2] 히라가나 い의 경우 잘못 쓰면 り와 조금 헷갈리기 쉽다.
이로하 순 일본 자모 순으로는 'イロハニホヘト' 식이기에 첫번째이다. 그래서 일본군 시절에는 첫번째로 명명된 무기에 "○イ" 식으로 이름을 붙였다. 음악에서 イ長調라고 쓰면 '가장조(A major)'가 된다.
4. 고유명사
4.1. 李, 한국의 성씨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14'로 실려 있다.
4.2. 彝, 중국의 이족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
4.3. 伊, 이탈리아의 약칭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9'로 실려 있다.
4.4. 爾, 김태웅의 작품
[image]
극작가 김태웅의 2000년작 희곡이자 동명의 연극. 조선 연산군 시대를 배경으로, 연산군과 장녹수, 그리고 궁중 광대인 장생과 공길의 네 사람을 통해 인간의 탐욕이 빚어낸 비극을 그려냈다. 위의 포스터 이미지와 광대들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듯, 2005년 천만 관객을 돌파한 이준익 감독의 영화 <왕의 남자>의 원작이다.
원작이라고는 하지만 영화와는 다른 점이 많은데[스포주의] , 그러거나 말거나 영화 흥행 후로는 본 연극이 공연될 때마다 꼬리표처럼 '''영화 <왕의 남자>의 원작'''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홍보된다.
4.5. Yee
4.6. 공룡의 일종
4.7. 핀란드의 도시
핀란드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오울루에서 북쪽으로 약 35km 떨어져있다. 인구는 약 11,900명(2019년). 세계에서 가장 짧은 지명이기도 하다. 해당 지명의 유래는 사미어로 "밤사이에 머물 수 있는 곳"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1] http://unicode.org/L2/L2009/09180-char-frequency.pdf[2] 두 글자 다 한국어에서도 '이' 발음이 난다. 伊는 한국어에서도 '이탈리아'의 '이'를 대신하는 용법으로 글자를 가끔 빌려서 쓰기도 한다.[스포주의] 특히 공길이 권력욕으로 인해 연산의 곁을 떠나지 못하는 것처럼 그려진 부분에서 차이가 정말 크다. 영화에서는 연산에 대한 인간적 연민 때문에 떠나지 못하는 것처럼 그려진다.